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3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공간과 사회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136161 

메르스 사태의 지리학과 생명권력의 정치
= Geography of MERS outbreak and politics of bio-power


 
제어번호 101136161
저자명 최병두(Byung-Doo Choi) 
학술지명 공간과 사회
권호사항 Vol.53 No.- [2015] 
발행처 한국공간환경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73-192(20쪽)
발행년도 2015년
KDC 300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교보문고
 
초록
2015년 5월 20일 첫 황자가 발생하면서 시작된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MERS) 사태는 이 바이러스의 높은 치사율과 예기치 못한 전파 경로 때문에 사태 관련 당사자들뿐만 아니라 전체 국민을 불안과 혼돈의 도가니 속에 몰아넣었다. 이 사태는 일단 7월 말 종식이 선언되었지만, 사회경제적으로 엄청난 충격을 주었음에도 이에 대해 아무도 책임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이번 사태의 심각성을 고려해서, 앞으로 유사한 사태가 반복되지 않도록 대안적 정책과 깊이 있는 학문적 분석이 요구된다. 이글은 지리학적 관점에서 이번 메르스 사태의 발생 및 전개 그리고 이에 대한 병원과 정부의 대응 과정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번 메르스 사태는 학문적으로 여러 측명에서 분석되어야 하겠지만, 특히 이 글은 메르스 사태의 지리학에 초점을 두고, 메르스를 포함해서 현대 사회에서 새로운 전염병이 등장하는 지리적 배경과 공간적 전파에 관한 문제, 이러한 전염병의 출현과 확산에서 병원이라는 장소의 문제, 전염병의 확산에 따른 확진 환자 및 이들과 접촉한 사람들의 격리와 감염을 우려한 일반인들의 이동성 위축의 문제, 끝으로 가장 심각한 점으로 관련된 지리정보의 통제와 질병 관리에 관한 생명권력의 정치의 문제 등을 고찰하고자 한다.

 

목차
1. 서론: 메르스 사태, 무엇이 문제인가?
2. 메르스 전염병의 발생 배경과 공간적 전파
3. 전염병의 진원지 또는 허브로서 병원의 장소학
4. 사회심리적 불안과 공간적 격리/이동의 지리학
5. 생명권력과 지리정보의 통제를 둘러싼 정치
6. 결론: 메르스 사태의 교훈과 대책


주제어
diffusion of contagious disease  ,placeness of commercial hospital  ,the MERS outbreak  ,생명권력의 정치  ,의료지리정보의 통제  ,socio-spatial isolation of actual and potential patients  ,control of medical geographical information  ,politics of bio-power  ,환자의 상회공간적 격리  ,메르스 사태  ,병원의 장소학  ,전염병의 확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33 2 생명윤리 생명윤리문화에 있어서 낙태에 대한 소고 / 정화성 2018  233
32 12 낙태 낙태의 윤리에서 인격체 논변, 종의 원리, 그리고 생명의 권리 / 장동익 2018  215
» 9 보건의료 메르스 사태의 지리학과 생명권력의 정치 / 최병두 2015  404
30 12 낙태 헌법재판소의 낙태결정(2010헌바402)에 대한 헌법적 검토 / 정철 2013  583
29 12 낙태 생명권에 관한 헌법적 논의 / 김민우 2013  529
28 12 낙태 생명권력과 우생주의, 그리고 장애인의 생명권 / 김도현 2016  211
27 12 낙태 낙태에 있어 사람의 시기와 낙태의 허용범위에 관한 형사법적 고찰 / 김정오 2016  530
26 2 생명윤리 태아의 헌법상 지위= The constitutional status of fetus / 고봉진 2016  334
25 20 죽음과 죽어감 회생불가능한 환자의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헌법적 고찰 :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입법적 연구를 중심으로 / 강혜경 2016  539
24 14 재생산 기술 국제인권법상 재생산권에 관한 소고/장복희 2015  249
23 2 생명윤리 인간 자유의 토대와 한계/구인회 2015  106
22 14 재생산 기술 법과 종교를 위한 공동체 윤리- 종교적 관점에서 본 배아의 생명권/유경동 2015  433
21 8 환자 의사 관계 생명윤리에서 생명권과 자기결정권 / 이석배 2007  3702
20 12 낙태 14일 이전 배아의 도덕적 지위 / 유호종 2001  448
19 12 낙태 임신중절의 핵심쟁점과 윤리적 논쟁들에 관한 연구 / 문수례 2007  4929
18 17 신경과학 뇌 과학의 관점에서 본 배아의 생명권 / 유경동 2014  335
17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 고독사 연구 및 접근의 관점 / 권혁남 2014  859
1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의료책임법상의 과제 / 이무송 2010  473
15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권의 헌법적 근거와 연명치료중단에서의 생명권의 보호범위 / 엄주희 2013  879
14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법적 고찰 / 조한상, 이주희 2013  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