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38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공간과 사회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136161 

메르스 사태의 지리학과 생명권력의 정치
= Geography of MERS outbreak and politics of bio-power


 
제어번호 101136161
저자명 최병두(Byung-Doo Choi) 
학술지명 공간과 사회
권호사항 Vol.53 No.- [2015] 
발행처 한국공간환경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73-192(20쪽)
발행년도 2015년
KDC 300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교보문고
 
초록
2015년 5월 20일 첫 황자가 발생하면서 시작된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MERS) 사태는 이 바이러스의 높은 치사율과 예기치 못한 전파 경로 때문에 사태 관련 당사자들뿐만 아니라 전체 국민을 불안과 혼돈의 도가니 속에 몰아넣었다. 이 사태는 일단 7월 말 종식이 선언되었지만, 사회경제적으로 엄청난 충격을 주었음에도 이에 대해 아무도 책임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이번 사태의 심각성을 고려해서, 앞으로 유사한 사태가 반복되지 않도록 대안적 정책과 깊이 있는 학문적 분석이 요구된다. 이글은 지리학적 관점에서 이번 메르스 사태의 발생 및 전개 그리고 이에 대한 병원과 정부의 대응 과정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번 메르스 사태는 학문적으로 여러 측명에서 분석되어야 하겠지만, 특히 이 글은 메르스 사태의 지리학에 초점을 두고, 메르스를 포함해서 현대 사회에서 새로운 전염병이 등장하는 지리적 배경과 공간적 전파에 관한 문제, 이러한 전염병의 출현과 확산에서 병원이라는 장소의 문제, 전염병의 확산에 따른 확진 환자 및 이들과 접촉한 사람들의 격리와 감염을 우려한 일반인들의 이동성 위축의 문제, 끝으로 가장 심각한 점으로 관련된 지리정보의 통제와 질병 관리에 관한 생명권력의 정치의 문제 등을 고찰하고자 한다.

 

목차
1. 서론: 메르스 사태, 무엇이 문제인가?
2. 메르스 전염병의 발생 배경과 공간적 전파
3. 전염병의 진원지 또는 허브로서 병원의 장소학
4. 사회심리적 불안과 공간적 격리/이동의 지리학
5. 생명권력과 지리정보의 통제를 둘러싼 정치
6. 결론: 메르스 사태의 교훈과 대책


주제어
diffusion of contagious disease  ,placeness of commercial hospital  ,the MERS outbreak  ,생명권력의 정치  ,의료지리정보의 통제  ,socio-spatial isolation of actual and potential patients  ,control of medical geographical information  ,politics of bio-power  ,환자의 상회공간적 격리  ,메르스 사태  ,병원의 장소학  ,전염병의 확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1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안에 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 / 고준기, 조현, 이강호 2014  396
217 8 환자 의사 관계 개인의료정보보호법 제정의 필요성과 입법방향 / 이한주 2014  394
21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의 허용요건에 관한 법적 쟁점과 과제/ 김민우 2017  393
215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 논란을 통해서 본 죽음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 / 이상선 2014  389
214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에 적합한 공통도덕 모색/목광수,류재한 2015  385
213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의 고귀성과 삶의 존엄성 : 연명의료 제도화를 위한 한 가지 제언 / 강철 2014  380
212 8 환자 의사 관계 수술환자의 권리보호에 대한 형사법적 쟁점 -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중심으로 -/유재근 2015  378
211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심의위원회(IRB)의 기능과 법적 책임 / 김기영 2012  375
210 20 죽음과 죽어감 임종기 연명치료 중단관련 특성과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노인환자의 태도 / 정승윤 2014  370
209 20 죽음과 죽어감 우리나라 일부 병원에서 환자, 보호자, 의료진의 연명치료 중지 관련 의사결정에 관한 태도 연구 / 권복규 외 8인 2010  370
208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지시서에 관한 프랑스의 입법 동향 / 이지은 2015  370
207 15 유전학 국제 공공재의 특징을 갖는 유전체 의료 / 김한나 외 2016  369
206 20 죽음과 죽어감 소아청소년 호스피스.완화의료 / 강경아 황애란 2012  366
205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법제화에 관한 최근동향 / 주호노 2013  365
204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의 도덕적 근거와 시행방안에 관한 연구 / 문노을 2014  361
203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에 관한 가족들의 선택방안 /양인권 2015  361
202 10 성/젠더 위해 의료사건 예방을 위한 의료감정의 계량적 접근 / 윤성철 2016  359
201 20 죽음과 죽어감 생애말기 환자의 커뮤니티 케어에 대한 연구 /김수정 2018  354
200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에서 과실과 인과관계의 증명 : 병원감염 판결을 중심으로/유현정 2014  353
199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행위와 대리승낙 / 이석배 2014  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