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79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민간경비학회보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829123 

고령화 사회와 간병범죄
= Population Aging and Caregiving Crime


 
제어번호 101829123
저자명 이철호(CheolHo Lee) 
학술지명 한국민간경비학회보
권호사항 Vol.15 No.1 [2016] 
발행처 한국민간경비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99-130(32쪽)
발행년도 2016년
KDC 350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판매처 교보문고

 
초록
프란츠 카프카(Franz Kafka)의 단편소설《변신》은 가족 이야기라 할 수 있다.《변신》이라는 작품을 통해 카프카가 보여주는 무서운 진실은 세상에서 가장 순수하고 아름다운 사랑, 곧 가족간의 사랑조차경제적인 관계에 토대를 두고 있다는 통찰이다. 우리 사회의 가정에서는 일어나서는 안되는 사건들이 발생하고 있다. 가족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살인 등의 범죄가 일어나고 있다. 또한 생활수준의 향상과 의료기술의 진전은 대한민국이 전세계적으로 가장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11년 65세 이상 인구의 비율이 11.4%이며,향후 고령화 속도가 더욱 빨라져 2026년에는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보인다. 고령화사회는 기대수명의 연장이라는 긍정적인 면도 있지만 치매환자의 증가로 치매환자 등의 간병으로 인한 ‘간병 살인’, ‘간병 자살’ 등의 가족간 범죄가 발생하는 부정적인 부분이 있다. 간병살인이나 간병자살 등 간병범죄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등장하고 있다. 식물인간 아들을 25년 돌본 아버지, 아내 병 수발 26년 들던 노인이 극단적 선택을 했다는 소식이 잇따랐다. 얼마 전엔 아이돌 스타 아버지가 치매 앓던 부모와 함께 세상을 등졌다. '간병 살인'이라는 말이 낯설지 않다. 본고에서는 사회문제화 되고 있는 간병범죄에 대한 시론적(試論的) 연구로서 법사회학적 방법으로 고찰한다.간병범죄에 대한 사회적 대응방안으로 첫째, 간병가족의 자살 및 살인사건 현황에 대한 정확한 파악이 필요하다. 둘째, 간병 문제를 개인의 문제, 한 가족의 문제로 접근해서는 해결할 수 없고, 사회복지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점이다. 셋째, 시범 실시되고 있는 포괄간호서비스제도에 대한 확대가 필요하다. 아울러 ‘생명보험전매제도(lifesettlement)’의 도입을 제시하였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 론
Ⅱ. 한국사회와 고령화 문제
Ⅲ. 고령화 사회와 간병범죄 문제
IV. 결 론


주제어
고령화사회  ,간병범죄  ,간병살인  ,간병자살  ,치매  ,Population Aging  ,Caregiving Crime  ,Caregiving Homicide  ,Caregiving Suicide  ,Dementia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339 18 인체실험 임상 적용을 위한 인간 배아줄기세포 배양 환경에 관한 연구 동향 / 정주원 외 2015  138
338 18 인체실험 패널토론을 적용한 대학생의 생명윤리 의사결정에 나타난 의사결정 변화 양상과 내용 분석 / 문성채 2015  267
337 18 인체실험 인체유래물의 법적 지위에 대한 인격적 측면에서의 고찰 -인격성의 본체로서 DNA의 성격을 중심으로- / 유지홍 2015  237
336 13 인구 정부 저출산 대책 Bridge Plan 2020 / 정윤순 2016  291
335 13 인구 프랑스의 저출산 문제 해소 요인 / 이문숙 2016  588
334 13 인구 저출산 정책으로써 출산장려금의 정책 효과성 연구: 서울 25개 자치구들을 중심으로 / 김민곤 외 2016  314
333 9 보건의료 보건관련 교수들의 생물테러 교육현황에 관한 연구 : 응급구조학, 임상병리학과 기타 보건관련학교수를 대상으로 / 천병철 외 2012  298
332 9 보건의료 전염병의 경로 추적 및 예측을 위한 통합 정보 시스템 구현 / 김은경 외 2013  638
331 15 유전학 경북 동부지역 꿀벌에서 주요 병원체의 분자생물학적 검출 / 우인옥 외 2013  151
330 9 보건의료 병원체의 다중적 구성 / 김기흥 2015  124
329 9 보건의료 외래침입 병원체에 의한 작물 병 발생 및 분포 / 조원대 외 2005  659
328 9 보건의료 원격의료의 법리와 실현 / 윤석찬 2015  148
327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마지막 단계 / 박충구 2015  182
326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에서 증인인 담당의사의 신문 등에 관한 연구 -환자 측 소송대리인의 입장에서- / 박태신 2015  340
325 9 보건의료 의료 광고 상황에서 관계적 규범에 따른 효과적인 가격 프로모션 전략 / 김재휘 외 2015  156
324 1 윤리학 IoT 환경의 의료 정보보호와 표준 기술 / 우성희 2015  196
323 9 보건의료 메르스 사태의 지리학과 생명권력의 정치 / 최병두 2015  404
322 2 생명윤리 간호대학 1학년 학생을 위한 생명의료윤리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 정계선 2016  229
321 9 보건의료 의료서비스 규제개혁을 위한 핵심 덩어리 규제의 식별 / 김성준 외 2016  138
» 9 보건의료 고령화 사회와 간병범죄 / 이철호 2016  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