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64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민간경비학회보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829123 

고령화 사회와 간병범죄
= Population Aging and Caregiving Crime


 
제어번호 101829123
저자명 이철호(CheolHo Lee) 
학술지명 한국민간경비학회보
권호사항 Vol.15 No.1 [2016] 
발행처 한국민간경비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99-130(32쪽)
발행년도 2016년
KDC 350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판매처 교보문고

 
초록
프란츠 카프카(Franz Kafka)의 단편소설《변신》은 가족 이야기라 할 수 있다.《변신》이라는 작품을 통해 카프카가 보여주는 무서운 진실은 세상에서 가장 순수하고 아름다운 사랑, 곧 가족간의 사랑조차경제적인 관계에 토대를 두고 있다는 통찰이다. 우리 사회의 가정에서는 일어나서는 안되는 사건들이 발생하고 있다. 가족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살인 등의 범죄가 일어나고 있다. 또한 생활수준의 향상과 의료기술의 진전은 대한민국이 전세계적으로 가장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11년 65세 이상 인구의 비율이 11.4%이며,향후 고령화 속도가 더욱 빨라져 2026년에는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보인다. 고령화사회는 기대수명의 연장이라는 긍정적인 면도 있지만 치매환자의 증가로 치매환자 등의 간병으로 인한 ‘간병 살인’, ‘간병 자살’ 등의 가족간 범죄가 발생하는 부정적인 부분이 있다. 간병살인이나 간병자살 등 간병범죄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등장하고 있다. 식물인간 아들을 25년 돌본 아버지, 아내 병 수발 26년 들던 노인이 극단적 선택을 했다는 소식이 잇따랐다. 얼마 전엔 아이돌 스타 아버지가 치매 앓던 부모와 함께 세상을 등졌다. '간병 살인'이라는 말이 낯설지 않다. 본고에서는 사회문제화 되고 있는 간병범죄에 대한 시론적(試論的) 연구로서 법사회학적 방법으로 고찰한다.간병범죄에 대한 사회적 대응방안으로 첫째, 간병가족의 자살 및 살인사건 현황에 대한 정확한 파악이 필요하다. 둘째, 간병 문제를 개인의 문제, 한 가족의 문제로 접근해서는 해결할 수 없고, 사회복지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점이다. 셋째, 시범 실시되고 있는 포괄간호서비스제도에 대한 확대가 필요하다. 아울러 ‘생명보험전매제도(lifesettlement)’의 도입을 제시하였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 론
Ⅱ. 한국사회와 고령화 문제
Ⅲ. 고령화 사회와 간병범죄 문제
IV. 결 론


주제어
고령화사회  ,간병범죄  ,간병살인  ,간병자살  ,치매  ,Population Aging  ,Caregiving Crime  ,Caregiving Homicide  ,Caregiving Suicide  ,Dementia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44 13 인구 저출산에 따른 국가의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 정연숙 2006  374
» 9 보건의료 고령화 사회와 간병범죄 / 이철호 2016  430
42 12 낙태 연구논문 : 낙태에 대한 태도와 종교: 한국, 일본, 미국, 필리핀 국제비교분석 / 김상욱 외 2015  1834
41 20 죽음과 죽어감 환경윤리학에서의 사회생물학적 접근의 한계와 가능성 / 노희정 2012  253
40 20 죽음과 죽어감 유비쿼터스시대의 윤리적 행동에 관한 연구 : 과학기술문명사회의 공유와 감시체제를 중심으로 / 이지향 2015  210
39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 수혜자의 가족 및 의료인 지지와 희망이 사회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김옥수 외 2016  232
38 17 신경과학 뇌과학 시대와 인지사회학 / 차영화 2016  586
37 9 보건의료 위험사회와 관료책임 / 김병섭 외 2016  208
36 9 보건의료 한국의 메르스 사태는 어떻게 정치화되었는가? / 장경은 외 2016  168
35 9 보건의료 환자의 안전과 환자안전법제에 관한 고찰 / 신은주 2015  229
34 1 윤리학 노인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 김충묵 외 2016  2537
33 1 윤리학 연구논문 : 노인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 김충묵 외 2016  573
32 1 윤리학 일본 개정 행정불복심사법에 관한 고찰 -공정성과 준사법절차를 중심으로- / 박웅광 2016  324
31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자가간호이행, 사회적 지지, 생리학적 지표 / 김현경 2013  372
30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이식 스트레스와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함아름 2012  355
29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 가족의 삶의 질 영향요인 / 김소영 2016  243
28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자가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정현정 2015  248
27 19 장기 조직 이식 심장이식 수혜자의 이식 후 사회적지지, 우울 및 건강상태 / 박병준 2012  479
26 18 인체실험 스포츠사회과학 연구에서 생명윤리의 문제: IRB의 적용 / 김동규 외 2015  443
25 1 윤리학 현대 사회에서 정의감의 문제/고현범 2014  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