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9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성균관법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576103 

낙태에 관한 유럽인권재판소의 입장 :  대한민국에서의 논의에의 시사점
= Jurisprudence of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on Abortion - Its Implications on Discourses in Korea


 
제어번호 100576103
저자명 오미영(Mi-Young Oh) 
학술지명 성균관법학
권호사항 Vol.26 No.4 [2014] 
발행처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발행처URL http://web.skku.edu/~icls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05-239(35쪽)
발행년도 2014년
KDC 360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교보문고

 
초록
낙태를 형벌로서 처벌할 것인지, 금지할 것인지 아닌지 또한 제한적으로 허용한다면 어떠한 기준에서 어느 범위까지 허용할 것인지의 문제는 매우 오래전부터 논의되어 온 주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적인 주목을 받을 만한 사건이 있을때 마다 사회 각계각층의 격렬한 논쟁을 유발하고 있으며 이는 낙태 또는 인공임신중절을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형벌로서 처벌하는 우리나라의 경우 더욱 그러하다. 아울러 낙태의 허용여부 및 제한적 허용의 범위에 관한 논의에 있어 법률적, 신학적, 도덕적, 과학적, 사회학적, 페미니즘적 접근을 포함하는 다양한 접근은 낙태에 관한 논의를 더욱 복잡하다. 이는 낙태와 관련한 본질적인 문제가 “인간으로서의 범위”가 어디까지인가 “법률로서 보호받는 생명의 범위”가 어디까지인가 하는 인간과 생명에 관한 본질적인 질문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낙태에 관하여는 현재까지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대부분의 논의는 형법적, 헌법적 내지는 비교법적 연구에 그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고 생각된다. 이에 이 논문은 유럽공동체의 기본적 인권규범인 유럽인권협약에 의해 설립된 유럽인권재판소의 낙태 관련 판례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에서의 낙태 관련 논의에 하나의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 글은 유럽인권협약과 유럽인권재판소 제도를 개관함과 아울러 관련 판례를 분석하고 글의 후반부에서는 향후 우리나라에서의 낙태와 관련한 논의에 시사점과 제안을 담고 있다.

 


 
목차
Ⅰ. 서론
Ⅱ. 유럽인권협약과 유럽인권재판소 체제의 조망
1. 유럽인권협약
2. 유럽인권재판소
3. 유럽인권재판소 판례의 국제적 의의
Ⅲ. 유럽국가에 있어서의 낙태관련 입법 현황
Ⅳ. 유럽인권위원회와 유럽인권재판소 판례의 입장
1. 낙태에 관한 유럽인권재판소의 입장
2. 낙태에 관한 유럽인권재판소의 판례
Ⅴ. 대한민국의 현황과 유럽인권재판소의 판례의 시사점
1. 대한민국의 법체제
2. 유럽인권재판소 판례의 시사점
Ⅵ. 결론


주제어
Fetus  ,Embryo  ,Abortion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Europe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헌법재판소  ,유럽인권위원회  ,태아  ,European Commission of Human Rights  ,Korean Constitutional Court  ,Korean Criminal Code  ,배아  ,유럽인권협약  ,유럽인권재판소  ,낙태  ,인공임신중절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9 12 낙태 한국의 낙태규제정책 / 조희원 2013  412
» 12 낙태 낙태에 관한 유럽인권재판소의 입장 : 대한민국에서의 논의에의 시사점 / 오미영 2014  525
27 12 낙태 새로운 정책유형으로서 도덕정책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한국에서의 적용가능성 탐구: 낙태정책을 중심으로 / 노종호 2014  219
26 12 낙태 도덕의 법적 강제에 관한 소고 - 낙태, 동성애 그리고 간통에 대한 판결검토를 중심으로 - / 조해현 2015  345
25 12 낙태 연구논문 : 낙태에 대한 태도와 종교: 한국, 일본, 미국, 필리핀 국제비교분석 / 김상욱 외 2015  1834
24 12 낙태 통계로 본 가족실태 및 태도와 그 사목적 의의 / 조세희 2015  271
23 12 낙태 낙태 예방 공익 캠페인 메시지 연구 / 조수영 2015  238
22 12 낙태 공적개발원조(ODA) 출산조절을 통해 본 수원국 여성 행위자 : 라오스 터울조절과 라오룸(Lao-loum)족 여성들의 낙태를 중심으로 / 김양희 2016  334
21 14 재생산 기술 인공자궁과 그 법적 함의 - 이 특수한 가정적 현실을 둘러싼 법적 접근을 위하여 / 안성준 2016  623
20 12 낙태 낙태 문제에 대한 조셉 플레처(Joseph Fletcher)의 상황윤리(Situation Ethics) 관점에서 본 이해와 비판 / 지장규 2008  1193
19 12 낙태 낙태에 있어 사람의 시기와 낙태의 허용범위에 관한 형사법적 고찰 / 김정오 2016  530
18 11 피임 응급피임약의 여성적 관점에 대한 성찰/유혜숙 2015  580
17 12 낙태 낙태 논의에 있어서 태아의 존재론적 위상과 도덕적 위상 / 유호종 2003  266
16 2 생명윤리 생명권과 생명가치에 대한 연구 :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을 중심으로 / 김휘원 2010  741
15 12 낙태 인공유산에 대한 이해와 목회적 돌봄 / 이주형 1999  468
14 12 낙태 생명/이미지/정치 : 생명 윤리와 생명 정치 사이에서 -낙태를 중심으로- / 공병혜 2014  466
13 12 낙태 임신중절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목진수 2014  593
12 1 윤리학 형법에 있어서 생명의 보호 / 이재석 2013  265
11 12 낙태 성적 시민권의 부재와 사회적 고통 : 한국의 낙태 논쟁에서 여성 경험의 재현과 전문성의 정치 문제 / 백영경 2013  735
10 12 낙태 낙태논쟁 속 법담론의 탈관계성 비판 : 낙태죄 헌법소원을 중심으로 / 이선순 2014  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