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1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성균관법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576103 

낙태에 관한 유럽인권재판소의 입장 :  대한민국에서의 논의에의 시사점
= Jurisprudence of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on Abortion - Its Implications on Discourses in Korea


 
제어번호 100576103
저자명 오미영(Mi-Young Oh) 
학술지명 성균관법학
권호사항 Vol.26 No.4 [2014] 
발행처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발행처URL http://web.skku.edu/~icls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05-239(35쪽)
발행년도 2014년
KDC 360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교보문고

 
초록
낙태를 형벌로서 처벌할 것인지, 금지할 것인지 아닌지 또한 제한적으로 허용한다면 어떠한 기준에서 어느 범위까지 허용할 것인지의 문제는 매우 오래전부터 논의되어 온 주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적인 주목을 받을 만한 사건이 있을때 마다 사회 각계각층의 격렬한 논쟁을 유발하고 있으며 이는 낙태 또는 인공임신중절을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형벌로서 처벌하는 우리나라의 경우 더욱 그러하다. 아울러 낙태의 허용여부 및 제한적 허용의 범위에 관한 논의에 있어 법률적, 신학적, 도덕적, 과학적, 사회학적, 페미니즘적 접근을 포함하는 다양한 접근은 낙태에 관한 논의를 더욱 복잡하다. 이는 낙태와 관련한 본질적인 문제가 “인간으로서의 범위”가 어디까지인가 “법률로서 보호받는 생명의 범위”가 어디까지인가 하는 인간과 생명에 관한 본질적인 질문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낙태에 관하여는 현재까지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대부분의 논의는 형법적, 헌법적 내지는 비교법적 연구에 그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고 생각된다. 이에 이 논문은 유럽공동체의 기본적 인권규범인 유럽인권협약에 의해 설립된 유럽인권재판소의 낙태 관련 판례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에서의 낙태 관련 논의에 하나의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 글은 유럽인권협약과 유럽인권재판소 제도를 개관함과 아울러 관련 판례를 분석하고 글의 후반부에서는 향후 우리나라에서의 낙태와 관련한 논의에 시사점과 제안을 담고 있다.

 


 
목차
Ⅰ. 서론
Ⅱ. 유럽인권협약과 유럽인권재판소 체제의 조망
1. 유럽인권협약
2. 유럽인권재판소
3. 유럽인권재판소 판례의 국제적 의의
Ⅲ. 유럽국가에 있어서의 낙태관련 입법 현황
Ⅳ. 유럽인권위원회와 유럽인권재판소 판례의 입장
1. 낙태에 관한 유럽인권재판소의 입장
2. 낙태에 관한 유럽인권재판소의 판례
Ⅴ. 대한민국의 현황과 유럽인권재판소의 판례의 시사점
1. 대한민국의 법체제
2. 유럽인권재판소 판례의 시사점
Ⅵ. 결론


주제어
Fetus  ,Embryo  ,Abortion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Europe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헌법재판소  ,유럽인권위원회  ,태아  ,European Commission of Human Rights  ,Korean Constitutional Court  ,Korean Criminal Code  ,배아  ,유럽인권협약  ,유럽인권재판소  ,낙태  ,인공임신중절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1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 고독사 연구 및 접근의 관점 / 권혁남 2014  858
20 9 보건의료 고령화시대 노인인권에 대한 기독교윤리적 고찰 / 이연순 2015  670
19 12 낙태 낙태에 대한 여성의 인식과 태도 / 김도경 외 2013  538
» 12 낙태 낙태에 관한 유럽인권재판소의 입장 : 대한민국에서의 논의에의 시사점 / 오미영 2014  525
17 10 성/젠더 입원약정서의 연대보증조항에 대한 환자의 건강권 측면에서의 검토 / 홍관표 2015  451
16 14 재생산 기술 재생산권 개념의 역사화ㆍ정치화를 위한 시론 / 하정옥 2013  441
15 15 유전학 생명과학기술의 또 다른 그늘 / 김상현 2014  426
14 10 성/젠더 성적소수자의 인권형성 과정과 사회복지의 역할 연구 / 남궁선 2008  410
13 1 윤리학 이항녕 선생과 법과 도덕 : 생명윤리법을 중심으로 / 이인영 2013  338
12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윤리적 가치관 유형과 인권감수성/김성은 2015  338
11 17 신경과학 뇌 과학의 관점에서 본 배아의 생명권 / 유경동 2014  335
10 14 재생산 기술 이주여성의 재생산권에 대한 국제인권법적 보호 / 이진규 2010  333
9 10 성/젠더 탈북여성의 북한, 중국, 한국에서의 결혼생활을 통해본 인권침해와 정체성 변화과정 / 이화진 2010  329
8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의 효력에 관한 소고 / 한삼인, 김상헌 2013  294
7 10 성/젠더 의약품 접근권과 특허권의 충돌 문제에서 나타나는 건강권의 비용과 법적 고찰 / 정민수 2015  287
6 9 보건의료 다산 정약용의 『목민심서』에 나타난 자(慈)의 원리와 한국 HIV·AIDS 감염인의 인권을 위한 의료인의 역할/정창록 외 2014  281
5 10 성/젠더 페미니즘과 가톨릭 생명문화/이연숙 2016  274
4 9 보건의료 결핵환자의 인권향상을 위한 법적 고찰 / 이세경 2016  263
3 1 윤리학 빅데이터 활용과 인권보호 / 김영진 2017  253
2 5 과학 기술 사회 생명공학특허에 있어서 인권 문제 / 박성호 2008  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