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위기관리논집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492641 

‘원치 않은 삶’ 소송과 의료과오책임 - 인간존엄성 위기 논의를 중심으로



 
제어번호 100492641
저자명 Hwa Shin Ryoo
학술지명 한국위기관리논집
권호사항 Vol.11 No.3 [2015] 
발행처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발행처URL http://www.cemtp.re.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09-327(19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5년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학술교육원

 
초록
본 논문은 선천성 장애아의 ‘원치 않은 삶’ 소송에 관한 연구이다. 원치 않은 삶 소송은 원고(장애아)가 (의사를 상대로) 선천성 장애를 갖고 태어날 가능성을 부모에게 제대로 고지하지 않은 과실로 인해 자신이 장애를 갖고 출생하게 되었다는 것을 원인으로 한 손해배상소송이다. 이 소송의 특징은 원고가 장애를 갖고 출생한 것이 인공임신중절로 출생하지 않는 것과 비교하여 손해라고 주장하는 데에 있다. 이 연구에서는 ‘원치 않은 아이’가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과 ‘원치 않은 삶’ 소송의 유래와 정의를 살펴보고, 손해 및 손해액 평가의 문제를 인간 존엄과 가치의 침해 여부와 관련하여 검토해 보았다. 이를 위하여 관련 국내 판례와 프랑스의 페르쉐(Perruche) 사건과 같은 외국의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의사의 과실이 존재하는 한 원치 않은 삶 소송을 인정하는 것이 오늘날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산전 진단의 목적과 장애아의 인간 존엄 및 복지 증진을 위해 보다 더 바람직하다고 본다. 이 때 손해배상책임의 대상이 되는 손해는 부모의 낙태결정권의 침해로 인하여 장애를 동반한 출생에 이르게 되었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할 것이다.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Ⅰ. 들어가며
Ⅱ. ‘원치 않은 아이’ 의 유형과 ‘원치 않은 삶’ 의 정의
1. ‘원치 않은 아이’ 의 소송 원인
2. ‘원치 않은 삶’ 소송의 유래와 용어 정의
Ⅲ. 오늘날 ‘원치 않은 삶’ 소송에서의 의료과오책임 논쟁
1. 인간 존엄 위기 논의와 법률적 쟁점
2. 장애아의 손해배상청구 여부
3. 비교법적 고찰
Ⅳ. 프랑스의 ‘원치 않은 삶 소송’, 세칭 “페르쉐(Perruche) 사건”의 검토
1. 사실관계
2. 재판과정 및 판결요지
3. 세칭 반(反)페르쉐법의 제정
Ⅴ. 나오며: 원치 않는 삶 소송의 발전 방향
참고문헌


주제어
Wrongful Life  , Unwanted child  , Responsibility of Medical Malpractice  , 원치 않은 삶  , 원치 않은 아이  , 손해로서의 아이  , 의료과오책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688 1 윤리학 보호의무에 관한 소고 / 원종욱 2016  248
2687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자가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정현정 2015  248
2686 9 보건의료 유령수술행위의 형사책임 - 미용성형수술을 중심으로 -/황만성 2015  248
2685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Industrialization of Medicine and Medical Professionalism: Bioethical Critiques / Lee Paul Inkook 2015  248
2684 1 윤리학 데이터 소유권 개념을 통한 정보보호 법제의 재구성 / 박상철 2018  247
2683 19 장기 조직 이식 조혈모세포 이식 혈액암 환자의 간호요구도 / 김은자 2018  247
2682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죽음불안 및 죽음준비도가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 김명회 2018  247
2681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의 신경세포분화 연구 동향 / 홍성회 외 2013  247
2680 8 환자 의사 관계 노인 암 환자에서 공유의사결정 인식정도와 수술의사결정 갈등 요인 / 윤영신, 김명희, 박정하 2014  247
2679 15 유전학 유전자활용에 따른 형사법적 문제점과 개선방안 : 범죄수사를 위한 유전자채취와 활용에 대한 문제점을 중심으로 / 임석원 2014  246
2678 1 윤리학 비판적 사고와 글쓰기에 기초한 의료윤리와 전문직업성 교육 / 전대석 외 2017  246
2677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존엄사)에 관한 헌법이론적 논의 : 독일의 논의를 중심으로 2010  246
2676 2 생명윤리 한국 생명윤리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진교훈 2017  246
2675 14 재생산 기술 인도의 상업적 대리모 연구 / 허라금 2015  246
2674 9 보건의료 국내 의약외품 관련 사회문제 분석을 통한 새로운 규제 가이드라인 제언 / 안영진 2016  246
2673 13 인구 인구감소에 따른 사회 지속발전 가능성 강화전략 / 박종서 2016  246
2672 20 죽음과 죽어감 어린이를 위한 죽음교육의 가능성과 필요성 / 박시내 2011  245
2671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과 AI시대의 법적 과제와 전망/김승래 2018  245
2670 20 죽음과 죽어감 의학적 의사결정에서 덕과 인 함의:『논어』를 중심으로 / 손보미 2017  245
2669 9 보건의료 병원감염 사건에서 증명책임 완화에 관한 입법적 고찰 - 개정 독일민법을 중심으로 -/유현정 2015  2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