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64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조사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459344 

연구논문 : 낙태에 대한 태도와 종교: 한국, 일본, 미국, 필리핀 국제비교분석
= Religion and Attitudes towards Abortion: A Cross-National Comparison among Korea, Japan, the United States, and the Philippines


 
제어번호 101459344
저자명 김상욱 ( Sang Wook Kim )  , 김성건 ( Sunggun Kim )  , 김병수 ( Byung Soo Kim )
학술지명 조사연구(Survey research)
권호사항 Vol.16 No.4 [2015] 
발행처 한국조사연구학회 
발행처URL http://www.kasr.org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15-146(32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5년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한국학술정보

 
초록
이 연구는 낙태에 대한 태도가 종교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며 그러한 차이는 또한 사회에 따라 어떠한 변이를 나타내는가 하는 문제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려는 목적을 지닌다. 종교에 대한 사회과학적 접근에서 대단위 국제비교분석 자료를 활용한 계량분석의 토대가 비교적 척박한 한국사회의 현실에서 낙태와 종교 사이의 유기적 연관성을 탐구하려는 문제의식에서 비롯된 이 연구에서는 국내 외 기존연구들을 통해 이론적 경험적 정합성이 확보된 6가지 연구가설들을 제시하고, 이들에 대한 검증을 ISSP의 〈종교〉모듈조사 자료에 포함된 4개국(한국, 일본, 미국, 필리핀)을 대상으로 시도하였다. 검증 결과 3가지 가설은 지지되었고 3가지는 기각되었다. 구체적으로 말해, 모든 비교대상 국가들에서 종교인들보다는 비종교인들이 낙태에 대해 개방적인 태도를 나타냈으며([H1]), 그와 같은 개방성은 한국의 경우 복음주의 개신교도보다는 불교도에게서([H2]) 그리고 한국과 미국의 경우에는 개신교도보다는 가톨릭교도에게서 확연히 보편적인([H3])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필리핀의 경우 가톨릭, 개신교, 이슬람의 순으로 개방성이 클것이라는 예측([H4])은 지지를 받지 못 하였으며, 아울러 비교대상 국가들을 통틀어서 사회경제적으로 발전된 나라일수록([H5]) 그리고 사회인구학적으로 활동적인 인구집단일수록([H6]) 개방성이 클 것이라는 예측 또한 지지되지 않았다. 비단 긍정 혹은 부정의 비율을 넘어 이와 같은 결과는 상당한 정도의 이론적·경험적 함의 및 시사점을 보유하는 것으로서 이들과 관련한집중적인 논의가 말미에 제시되었다.


주제어
낙태에 대한 태도  , 종교  , 종교집단  , 국제비교분석  , 사회경제적 특성  , 사회인구학적 특성  , attitudes towards abortion  , religion  , religious groups  , cross-national comparison  , ISSP  ,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44 13 인구 저출산에 따른 국가의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 정연숙 2006  374
43 9 보건의료 고령화 사회와 간병범죄 / 이철호 2016  430
» 12 낙태 연구논문 : 낙태에 대한 태도와 종교: 한국, 일본, 미국, 필리핀 국제비교분석 / 김상욱 외 2015  1834
41 20 죽음과 죽어감 환경윤리학에서의 사회생물학적 접근의 한계와 가능성 / 노희정 2012  253
40 20 죽음과 죽어감 유비쿼터스시대의 윤리적 행동에 관한 연구 : 과학기술문명사회의 공유와 감시체제를 중심으로 / 이지향 2015  210
39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 수혜자의 가족 및 의료인 지지와 희망이 사회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김옥수 외 2016  232
38 17 신경과학 뇌과학 시대와 인지사회학 / 차영화 2016  586
37 9 보건의료 위험사회와 관료책임 / 김병섭 외 2016  208
36 9 보건의료 한국의 메르스 사태는 어떻게 정치화되었는가? / 장경은 외 2016  168
35 9 보건의료 환자의 안전과 환자안전법제에 관한 고찰 / 신은주 2015  229
34 1 윤리학 노인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 김충묵 외 2016  2537
33 1 윤리학 연구논문 : 노인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 김충묵 외 2016  573
32 1 윤리학 일본 개정 행정불복심사법에 관한 고찰 -공정성과 준사법절차를 중심으로- / 박웅광 2016  324
31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자가간호이행, 사회적 지지, 생리학적 지표 / 김현경 2013  372
30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이식 스트레스와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함아름 2012  355
29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 가족의 삶의 질 영향요인 / 김소영 2016  243
28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자가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정현정 2015  248
27 19 장기 조직 이식 심장이식 수혜자의 이식 후 사회적지지, 우울 및 건강상태 / 박병준 2012  479
26 18 인체실험 스포츠사회과학 연구에서 생명윤리의 문제: IRB의 적용 / 김동규 외 2015  443
25 1 윤리학 현대 사회에서 정의감의 문제/고현범 2014  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