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9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조사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459344 

연구논문 : 낙태에 대한 태도와 종교: 한국, 일본, 미국, 필리핀 국제비교분석
= Religion and Attitudes towards Abortion: A Cross-National Comparison among Korea, Japan, the United States, and the Philippines


 
제어번호 101459344
저자명 김상욱 ( Sang Wook Kim )  , 김성건 ( Sunggun Kim )  , 김병수 ( Byung Soo Kim )
학술지명 조사연구(Survey research)
권호사항 Vol.16 No.4 [2015] 
발행처 한국조사연구학회 
발행처URL http://www.kasr.org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15-146(32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5년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한국학술정보

 
초록
이 연구는 낙태에 대한 태도가 종교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며 그러한 차이는 또한 사회에 따라 어떠한 변이를 나타내는가 하는 문제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려는 목적을 지닌다. 종교에 대한 사회과학적 접근에서 대단위 국제비교분석 자료를 활용한 계량분석의 토대가 비교적 척박한 한국사회의 현실에서 낙태와 종교 사이의 유기적 연관성을 탐구하려는 문제의식에서 비롯된 이 연구에서는 국내 외 기존연구들을 통해 이론적 경험적 정합성이 확보된 6가지 연구가설들을 제시하고, 이들에 대한 검증을 ISSP의 〈종교〉모듈조사 자료에 포함된 4개국(한국, 일본, 미국, 필리핀)을 대상으로 시도하였다. 검증 결과 3가지 가설은 지지되었고 3가지는 기각되었다. 구체적으로 말해, 모든 비교대상 국가들에서 종교인들보다는 비종교인들이 낙태에 대해 개방적인 태도를 나타냈으며([H1]), 그와 같은 개방성은 한국의 경우 복음주의 개신교도보다는 불교도에게서([H2]) 그리고 한국과 미국의 경우에는 개신교도보다는 가톨릭교도에게서 확연히 보편적인([H3])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필리핀의 경우 가톨릭, 개신교, 이슬람의 순으로 개방성이 클것이라는 예측([H4])은 지지를 받지 못 하였으며, 아울러 비교대상 국가들을 통틀어서 사회경제적으로 발전된 나라일수록([H5]) 그리고 사회인구학적으로 활동적인 인구집단일수록([H6]) 개방성이 클 것이라는 예측 또한 지지되지 않았다. 비단 긍정 혹은 부정의 비율을 넘어 이와 같은 결과는 상당한 정도의 이론적·경험적 함의 및 시사점을 보유하는 것으로서 이들과 관련한집중적인 논의가 말미에 제시되었다.


주제어
낙태에 대한 태도  , 종교  , 종교집단  , 국제비교분석  , 사회경제적 특성  , 사회인구학적 특성  , attitudes towards abortion  , religion  , religious groups  , cross-national comparison  , ISSP  ,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9 12 낙태 한국의 낙태규제정책 / 조희원 2013  412
28 12 낙태 낙태에 관한 유럽인권재판소의 입장 : 대한민국에서의 논의에의 시사점 / 오미영 2014  525
27 12 낙태 새로운 정책유형으로서 도덕정책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한국에서의 적용가능성 탐구: 낙태정책을 중심으로 / 노종호 2014  219
26 12 낙태 도덕의 법적 강제에 관한 소고 - 낙태, 동성애 그리고 간통에 대한 판결검토를 중심으로 - / 조해현 2015  345
» 12 낙태 연구논문 : 낙태에 대한 태도와 종교: 한국, 일본, 미국, 필리핀 국제비교분석 / 김상욱 외 2015  1834
24 12 낙태 통계로 본 가족실태 및 태도와 그 사목적 의의 / 조세희 2015  271
23 12 낙태 낙태 예방 공익 캠페인 메시지 연구 / 조수영 2015  238
22 12 낙태 공적개발원조(ODA) 출산조절을 통해 본 수원국 여성 행위자 : 라오스 터울조절과 라오룸(Lao-loum)족 여성들의 낙태를 중심으로 / 김양희 2016  334
21 14 재생산 기술 인공자궁과 그 법적 함의 - 이 특수한 가정적 현실을 둘러싼 법적 접근을 위하여 / 안성준 2016  623
20 12 낙태 낙태 문제에 대한 조셉 플레처(Joseph Fletcher)의 상황윤리(Situation Ethics) 관점에서 본 이해와 비판 / 지장규 2008  1193
19 12 낙태 낙태에 있어 사람의 시기와 낙태의 허용범위에 관한 형사법적 고찰 / 김정오 2016  530
18 11 피임 응급피임약의 여성적 관점에 대한 성찰/유혜숙 2015  580
17 12 낙태 낙태 논의에 있어서 태아의 존재론적 위상과 도덕적 위상 / 유호종 2003  266
16 2 생명윤리 생명권과 생명가치에 대한 연구 :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을 중심으로 / 김휘원 2010  741
15 12 낙태 인공유산에 대한 이해와 목회적 돌봄 / 이주형 1999  468
14 12 낙태 생명/이미지/정치 : 생명 윤리와 생명 정치 사이에서 -낙태를 중심으로- / 공병혜 2014  466
13 12 낙태 임신중절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목진수 2014  593
12 1 윤리학 형법에 있어서 생명의 보호 / 이재석 2013  265
11 12 낙태 성적 시민권의 부재와 사회적 고통 : 한국의 낙태 논쟁에서 여성 경험의 재현과 전문성의 정치 문제 / 백영경 2013  735
10 12 낙태 낙태논쟁 속 법담론의 탈관계성 비판 : 낙태죄 헌법소원을 중심으로 / 이선순 2014  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