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0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광고홍보학보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290155 

낙태 예방 공익 캠페인 메시지 연구
= A Study on an Effective Anti-abortion Public Campaign Message


 
제어번호 100290155
저자명 조수영(Cho, Sooyoung)
학술지명 한국광고홍보학보(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권호사항 Vol.17 No.1 [2015] 
발행처 한국광고홍보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36-166(31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5년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주)누리미디어

 
초록
본 연구는 효과적인 낙태 예방 및 원치 않는 임신 예방 공공 캠페인을 실행함에 있어 캠페인 메시지의 주체와 공포소구의 강도에 따라 수용자가 느끼는 위협과 효능감의 지각 및 메시지 수용 혹은 거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는 2(메시지 주체: 아기/생명의 소중함 vs. 여성/여성건강 손실) X 2(공포소구 강도: 고 vs. 저) 개체 간 온라인 실험연구로 진행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메시지 주체는 위협의 지각에 차이를 만들지 않았으나, 공포소구의 강도는 위협의 지각에 영향을 미쳤다. 즉, 공포소구가 높을수록 수용자들은 낙태가 위험하며 심각한 행위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높은 공포소구 집단은 낮은 공포소구 집단보다 낙태에 대해 더욱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동시에 메시지에 대한 저항과 회피도 더 높았다. 낙태 예방 공익 캠페인 메시지의 경우 공포수준이 높으면 수신자들이 심리적으로는 메시지를 회피하면서도 이로 인해 낙태에 대한 부정적 태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메시지 주체는 수용자의 메시지 수용/거부에 유의미한 차이를 만들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여성들은 자신이 원치 않는 임신이나 낙태를 경험할 가능성이 낮고, 낙태가 위험하다고 생각할수록, 더불어 낙태 예방에 대한 효능감이 높을수록 낙태 예방을 위해 피임을 하겠다는 의지가 높게 나타났다.

 

목차
1. 연구목적
2. 이론적 배경
3. 연구문제 및 연구 모형
4. 연구방법
5. 연구결과
6. 결론 및 논의


주제어
낙태 예방 공익 캠페인  ,병행과정 확장 모델  ,공포 소구  ,여성 건강  ,Anti-Abortion PSA  ,Extended Parallel Process Model  ,Fear Appeal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의 기준과 절차 : 대법원 2009. 5. 21. 선고 2009다17417 판결이 가지는 문제점을 중심으로 / 이석배 2009  7190
1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중단의 형법이론적 근거 / 손미숙 2016  1185
18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환자에서 혈장 내독소 농도가 생존기간에 미치는 영향 / 이진아 외 4인 2014  979
17 20 죽음과 죽어감 장기요양 시설 사회복지사의 사전의료의향서 지식 및 노인환자 임종의료결정에서의 역할 이해도 / 한수연 2015  564
16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의 생명 종결 결정에 관한 연구 : 입법적 실천 방안을 위한 미국과의 비교법적 모색 / 엄주희 2013  481
15 20 죽음과 죽어감 사별 가족 연구 동향 분석 : 1994년부터 2013년 상반기까지 / 차유림 2014  468
14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 장기 기증자 가족의 의료 비용 부담과 국가 보조금 / 이재헌, 이원정, 이나경, 이재명 2015  445
1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 의료 결정의 딜레마와 그 사회적 맥락 / 박경숙, 서이종, 안경진 2015  434
12 15 유전학 인간 내성 리트로 바이러스(HERV)와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HIV)의 상관관계 / 옥미선 외 2015  385
11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지시서에 관한 프랑스의 입법 동향 / 이지은 2015  370
10 18 인체실험 인간 배아줄기세포 유래의 혈액모세포 및 기능성 혈관세포 분화 방법과 특성 연구/ 길창현 2016  358
9 15 유전학 '혼인종료 후 300일 이내에 출생한 子'의 친생추정에 관한 연구 / 승이도 2015  339
8 15 유전학 대장균의 항균제 내성과 독력 유전자의 분석을 활용한 융합기술연구 / 한재일 외 2015  326
7 20 죽음과 죽어감 거버넌스관점에서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의 문제점과 합리화방안에 관한 고찰 / 전수영 2015  275
6 2 생명윤리 규범 중심의 생명윤리 논의에 대한 비판 : 행위의 통합성을 중심으로 / 김수정 2011  274
5 15 유전학 유전성 내분비 질환의 분자유전학적 진단 / 최진호 외 2010  261
» 12 낙태 낙태 예방 공익 캠페인 메시지 연구 / 조수영 2015  238
3 1 윤리학 황우석 사태 前後 일간지의 건강의료보도 태도 변화 연구 :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을 중심으로 / 서한기 2007  235
2 20 죽음과 죽어감 고령화 사회에서 근로세대와 은퇴세대간의 보건의료 혜택과 부담의 정의로운 분배 / 박상혁 2014  223
1 1 윤리학 기업범죄에 있어 대향적 관여자의 형사책임 / 홍태석 2016  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