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광고홍보학보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290155 

낙태 예방 공익 캠페인 메시지 연구
= A Study on an Effective Anti-abortion Public Campaign Message


 
제어번호 100290155
저자명 조수영(Cho, Sooyoung)
학술지명 한국광고홍보학보(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권호사항 Vol.17 No.1 [2015] 
발행처 한국광고홍보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36-166(31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5년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주)누리미디어

 
초록
본 연구는 효과적인 낙태 예방 및 원치 않는 임신 예방 공공 캠페인을 실행함에 있어 캠페인 메시지의 주체와 공포소구의 강도에 따라 수용자가 느끼는 위협과 효능감의 지각 및 메시지 수용 혹은 거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는 2(메시지 주체: 아기/생명의 소중함 vs. 여성/여성건강 손실) X 2(공포소구 강도: 고 vs. 저) 개체 간 온라인 실험연구로 진행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메시지 주체는 위협의 지각에 차이를 만들지 않았으나, 공포소구의 강도는 위협의 지각에 영향을 미쳤다. 즉, 공포소구가 높을수록 수용자들은 낙태가 위험하며 심각한 행위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높은 공포소구 집단은 낮은 공포소구 집단보다 낙태에 대해 더욱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동시에 메시지에 대한 저항과 회피도 더 높았다. 낙태 예방 공익 캠페인 메시지의 경우 공포수준이 높으면 수신자들이 심리적으로는 메시지를 회피하면서도 이로 인해 낙태에 대한 부정적 태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메시지 주체는 수용자의 메시지 수용/거부에 유의미한 차이를 만들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여성들은 자신이 원치 않는 임신이나 낙태를 경험할 가능성이 낮고, 낙태가 위험하다고 생각할수록, 더불어 낙태 예방에 대한 효능감이 높을수록 낙태 예방을 위해 피임을 하겠다는 의지가 높게 나타났다.

 

목차
1. 연구목적
2. 이론적 배경
3. 연구문제 및 연구 모형
4. 연구방법
5. 연구결과
6. 결론 및 논의


주제어
낙태 예방 공익 캠페인  ,병행과정 확장 모델  ,공포 소구  ,여성 건강  ,Anti-Abortion PSA  ,Extended Parallel Process Model  ,Fear Appeal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46 14 재생산 기술 난임 치료 중인 여성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김미옥 외 2016  57
45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을 향한 모성론과 재생산 구조의 여성주의적 고찰 / 이경애 2016  66
44 14 재생산 기술 난임여성의 삶에 관한 주관성 연구 / 김상희 2016  70
43 14 재생산 기술 여성의 난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기다림과 만남” / 정영민 외 2017  93
42 10 성/젠더 젠더 통제의 변화와 여성 노동자의 생활경험 / 김상숙 2018  97
41 13 인구 직장 기혼 여성의 첫 자녀 출산의사와 관련된 근로 및 출산장려제도 요인 분석 /이승주 외 2017  100
40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에 관한 문화적 학습 및 재생산의 경로: 중국 농촌 여성의 사례 / 이현정 2010  104
39 13 인구 무자녀율 변화 추세 및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에 관한 연구 / 김한곤 2014  132
38 14 재생산 기술 난임여성의 자아존중감, 신체상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 / 황란희 2017  135
37 20 죽음과 죽어감 헤게모니 경합의 장(場)인 정신보건: 중국 개혁시기 여성주의 NGO와 의료전문가의 자살예방 접근방식에 관한 민족지적 연구 / 이현정 2011  137
36 12 낙태 낙태에서 장애여성의 자기결정권에 관한 역량 강화/김문정, 심지원 2018  141
35 10 성/젠더 성매매특별법에 따른 성제공자 처벌의 헌법 상 목적의 정당성 / 박경신 2018  164
34 10 성/젠더 여성주의 윤리학적 시각에서 본 싱글 여성의 생식권 문제 / 닝멍 2019  206
33 9 보건의료 HIV 감염인 남편과 살아가는 여성의 삶의 경험 / 서명희 2017  211
32 12 낙태 낙태죄 폐지논란으로 바라본 여성 주체성 회복의 필요성과 개선방안 / 문한나 2017  214
31 14 재생산 기술 출산테크놀로지에 대한 여성학적 접근 : 시험관 아기 기술을 중심으로 / 조영미 1994  229
» 12 낙태 낙태 예방 공익 캠페인 메시지 연구 / 조수영 2015  238
29 10 성/젠더 페미니즘과 가톨릭 생명문화/이연숙 2016  274
28 14 재생산 기술 장애여성의 경험과 관점으로 다시 제기하는 재생산권리 / 나영정 2016  277
27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의 효력에 관한 소고 / 한삼인, 김상헌 2013  2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