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여성학논집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960201 

공적개발원조(ODA) 출산조절을 통해 본 수원국 여성 행위자 :  라오스 터울조절과 라오룸(Lao-loum)족 여성들의 낙태를 중심으로
 = Recipient Women Agents in ODA Birth Control Project : Based on Birth Spacing Campaign and Lao-loum Women’s Abortion in Laos


 
제어번호 101960201
저자명 김양희 
학술지명 여성학논집(Women's Studies Review)
권호사항 Vol.33 No.1 [2016] 
발행처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Korean Women's institute Ewha Womans University) 
발행처URL http://home.ewha.ac.kr/~kwiewha/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34(32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6년
등재정보 KCI등재
소장기관 이화여자대학교 중앙도서관
중단사유 저작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 논문은 원문이 제공되지 않습니다.


 
초록
이 연구는 공여국과 국제기구들을 중심으로 개도국을 대상으로 기획, 실행되고 있는 공적개발원조(ODA) 프로젝트가 현지 여성 ‘수혜자’들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지고 있는가라는 질문에서 출발했다. 현재 공여국과 국제기구들이 개도국에서 실시하고 있는 많은 여성대상 개발원조 프로젝트들은 수원국의 빈곤 여성들을 사업의 소극적, 수동적 ‘수혜자’로 상정하고 수적 확대와 양적 성과 측정 등을 중심으로 진행돼 왔다. 그러나 이 여성들은 단순히 사업의 혜택을 수동적으로 ‘받는’ 수혜자가 아니라, 자기 삶의 기획을 위해 적극적, 능동적으로 개발 프로젝트에 협력, 타협, 거부하는 행위자적 면모를 보인다. 현재 라오스 정부와 공여기관의 주도로 라오스 전역에서 상시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여성대상 출산조절사업은 피임약, 콘돔 등 ‘근대적’ 피임 방법을 여성들에게 제공하고 있지만, 정작 마을 여성들은 전통적으로 해왔던 한약 낙태와 인공중절수술을 더 선호한다. 여성들의 낙태는 남성중심적 문화, 여성의 취약한 지위, 마을 및 공동체 위계구조의 아래에 위치한 ‘하위주체’로서 여성들이 처한 중층적 억압의 결과이다. 동시에 이는 국가와 공여기관의 일방적인 피임 지식과 방법의 전파, 확산에 대한 여성들의 불신과 외면을 드러내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여성들은 공여국과 공여기관 주도의 출산조절에 따른 ‘계몽’을 불신하고 기존의 방식을 고수함으로써 소극적 의미의 ‘저항’을 하고 있다. 이 연구는 한국 ODA 담론에서 여성 ‘수혜자’에 대한 관심과, 그들의 사회적, 문화적 맥락을 고려한 사업 기획과 형성을 촉구하는 의미를 갖는다.

 

목차
I. 문제제기
Ⅱ. 여성, 개발, 행위성
1. 여성과 개발에 관한 이론적 논의
2. 연구 대상과 방법
Ⅲ. 라오스 터울조절 캠페인과 여성 행위자
1. 라오룸족 여성의 낙태
2. 중층적 억압
3. 저항으로서 낙태의 의미
VI. 결론


주제어
행위자  ,낙태  ,중층적 억압  ,출산조절  ,Birth Control  ,Layered Oppression  ,Induced-abortion  ,Agent  ,공적개발원조(ODA)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608 1 윤리학 영상정보처리장치(CCTV)와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연구 / 장성수 2014  413
3607 18 인체실험 IRB 전문인력양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 수요자 요구 분석 / 김난희 2015  413
3606 20 죽음과 죽어감 독일의 연명치료중단 판례와 입법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 이희훈 2014  413
3605 18 인체실험 인간대상연구에 있어서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역할에 관한 한국과 미국의 규제법 비교 / 박수헌 2013  413
3604 9 보건의료 만성질환 의료이용 분석과 개선방안 - 고혈압, 당뇨병을 중심으로 - / 박은자 외 2016  412
3603 10 성/젠더 형사법상 성적 자기결정권 본질 및 성적 자기결정권 보호증진을 위한 입법과제 검토 / 윤덕경 2012  412
3602 12 낙태 한국의 낙태규제정책 / 조희원 2013  412
3601 12 낙태 상권 : 낙태와 헌법 -헌재 2010헌바402결정과 관련하여- / 박승호 2014  412
3600 20 죽음과 죽어감 사회복지사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 및 임종의료결정 도움 경험 등에 관한 비교 연구 -노인요양병원과 장기요양 입소시설을 중심으로 / 한수연 2016  411
3599 10 성/젠더 성적소수자의 인권형성 과정과 사회복지의 역할 연구 / 남궁선 2008  410
3598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의료윤리에서의 원리형량 : 로버트 알렉시의 원리형량론을 중심으로 / 장희숙 2014  410
3597 9 보건의료 의료법 개정에 따른 의사의 설명의무책임에 대한 연구 : 의료법 제24조2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권영직 2018  408
3596 19 장기 조직 이식 심장이식 수혜자의 체험 / 장유하 2018  408
3595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 있어 전자동의(Electronic Informed Consent) 획득: 미국 지침에 따른 고려사항을 중심으로/김은애 2015  408
3594 14 재생산 기술 일본「재생의료안전법」이 한국 생명윤리 관련 규제에 주는 시사점 / 김보배 2015  408
3593 20 죽음과 죽어감 몸의 생의학적 의미와 생명정치 / 이을상 2010  408
3592 9 보건의료 병원감염관리 표준지침에 대한 인지도 및 수행도 / 이수정 2017  407
3591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과 보험상품 개발 / 김석영, 이선주 2016  407
3590 12 낙태 태아를 위한 기독교 윤리학적 책임과제 / 강요한 2002  407
3589 14 재생산 기술 생명복제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줄기세포 연구를 중심으로 / 박진성 2010  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