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9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경희법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965611 

인공자궁과 그 법적 함의 - 이 특수한 가정적 현실을 둘러싼 법적 접근을 위하여
= Legal Implications on Artificial Wombs: For Legal Approaches Surrounding this Specifically Hypothetical Reality


 
제어번호 101965611
저자명 안성준 ( Seong Jun Ahn )
학술지명 慶熙法學
권호사항 Vol.51 No.2 [2016] 
발행처 慶熙大學校 경희법학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13-457(45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6년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한국학술정보

 
초록
지금까지 우리가 상정하였던 자연적인 출산이나 보조생식기술과 복제기술의 발달을 이용한 출산의 가능성이 대두되어 왔지만 이는 모두 여성의 자궁을 전제로 한 것이다. 여성의 자궁 없는 출산이 가능하다면 이는 ‘생식혁명의 정점’이라고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인공자궁의 개발로 여성에 있어서 고유한 고통인 출산은 선택의 문제로 되고, 불임치료나 동성부부에게 희망적인 수단이 마련되지만, 동시에 미지의 세계에 대한 불안과 위험을 야기한다. 이 글은 아직까지 개발되지는 않았지만 곧 개발될 수 있는 새로운 생명공학 기술에 관하여 ‘규범적 측면에서 선제적 대응’이란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체외발생은 1920년대 생물학자나 소설가의 상상에서 태동되지만, 이제는 그 기술이 발달하여 인공자궁내막이나 인공자궁태반의 개발이 현실화되었으며, 전문가들은 10∼20년 안에 인공자궁이 현실화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현대 생명공학 영역에서 제한 내지 권한 근거로서 인간 존엄의 원리는 상호 갈등상황에 있고, 인공자궁의 연구와 사용 역시 같은 문제를 노정하고 있다. 정당화 기준으로서 인간 존엄의 원리가 인공자궁기술과 관련하여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 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인공자궁기술이 현실화될 경우 인공자궁을 이용하기 위한 태아의 배출이 기존 형법상 낙태행위의 개념과 조화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낙태 허용기준으로서 독자적인 생존가능성은 더 이상 유지될 수 없는 이론이 되고, 낙태의 본질적 의미가 변화되어 여성에게 낙태가 인정될 경우라도 그것이 바로 사태(死胎)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므로, 낙태되어 배출된 아이의 보호문제도 새로 대두될 것이다. 인공자궁기술은 배아나 태아의 지위를 모체와 독립적으로 파악할 필요를 낳게 한다. 모와 제3자가 생성중인 미생아의 권리침해, 인공자궁기구의 오작동이나 정전으로 인한 태아의 권리침해, 인공자궁에서 배양되는 배아의 처분가능성 등에 관한 문제는 새로운 법적 규제가능성을 시사한다. 대리모와 관련된 윤리적 논쟁이나 친부모 관계 설정의 문제는 합법적으로 기획되는 인공자궁기술의 사용으로 다소 쉽게 해소될 수도 있다. 그럼에도 출산주의 원칙과 관련하여 자기 자궁을 이용하여 출산하지 않은 모에게 친모의 지위를 부여하기 위하여는 친모의 개념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고, 유전적 부모도 친부모로 파악하려는 접근방식의 도입 여부를 검토해야 할 것이다. 인공자궁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인류에게 혜택이 되기 위하여 이 논문에서 제기된 쟁점들과 이 논문에서 미처 언급하지 못한 내용을 지속적으로 검토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앞으로 발전된 논의를 기대해 본다.



주제어
인공자궁  , 체외발생  , 생명공학  , 인간 존엄  , 낙태  , 배아  , 친생자관계  , artificial womb  , ectogenesis  , biotechnology  , human dignity  , abortion  , embryo  , biological parents - child relation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7
59 18 인체실험 인간배아복제의 연구윤리에 관한 연구 / 장선아 2007  626
» 14 재생산 기술 인공자궁과 그 법적 함의 - 이 특수한 가정적 현실을 둘러싼 법적 접근을 위하여 / 안성준 2016  623
57 1 윤리학 미국의 생명공학연구 규제입법의 헌법적 함의 / 이상경 2013  599
56 14 재생산 기술 새로운 임신 기술과 '위험', 그리고 아픈 아이들 : 보조생식술 결과의 국제비교를 중심으로 / 하정옥 2012  593
55 14 재생산 기술 원저 : 한국의 보조생식술을 시행 받은 불임환자들의 상담실태에 대한 조사 / 김라현 외 7인 2011  589
54 14 재생산 기술 ‘세 부모 아이’ 대 ‘세 사람 아이’/하대청,차승현,김근,이연호,백수진,김명희 2015  584
53 15 유전학 자유주의 우생학과 생명정치 : 유전자 결정론과 생명계급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 김광연 2014  571
52 14 재생산 기술 수정란과 배아의 지위에 관한 윤리적 고찰 / 김광연 2016  563
51 14 재생산 기술 연구 목적의 난자 기증에 대한 윤리적 고찰 : 한스 요나스(H. Jonas)의 책임윤리를 중심으로 / 이종민 2012  551
50 12 낙태 낙태에 있어 사람의 시기와 낙태의 허용범위에 관한 형사법적 고찰 / 김정오 2016  530
49 12 낙태 낙태에 관한 유럽인권재판소의 입장 : 대한민국에서의 논의에의 시사점 / 오미영 2014  525
48 14 재생산 기술 배아연구에 관한 법·윤리적 고찰/ 김향미 2009  520
47 10 성/젠더 생명공학과 여성의 행위성 : 시험관아기 시술과 배아복제 연구 사이에서 / 조주현 2005  513
46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 연구와 기독교의 대응 : 베아줄기세포 연구의 위험성에 대하여 / 윤재지 2015  500
45 1 윤리학 생명윤리 법제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에 관한 연구 / 안영하, 서순택, 우제창, 오정균, 엄애용 2014  489
44 14 재생산 기술 체세포복제배아 줄기세포의 최근 연구 동향과 관련 윤리지침 / 권복규, 안경진 2007  478
43 12 낙태 14일 이전 배아의 도덕적 지위 / 유호종 2001  448
42 14 재생산 기술 한국 생명의료기술의 전환에 관한 연구 : 재생산기술로부터 생명공학기술로 / 하정옥 2006  441
41 14 재생산 기술 법과 종교를 위한 공동체 윤리- 종교적 관점에서 본 배아의 생명권/유경동 2015  433
40 1 윤리학 미국법의 현대적 과제 ; 미국의 인간배아줄기세포 연구의 규제 동향 / 김민우, 류화신 2015  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