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51
발행년 : 200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대한의학유전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2587110 

유전상담과 전문 유전상담사 수요에 대한 전국적인 조사
= National survey for genetic counseling and demands for professional genetic counselor


 
제어번호 82587110
저자명 정윤석(Yoon-Sok Chung)  ,김숙령(Sook Ryung Kim)  ,최지영(Jiyoung Choi)  ,김현주(Hyon J. Kim)
학술지명 대한의학유전학회지
권호사항 Vol.4 No.2 [2007] 
발행처 대한의학유전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67-178(12쪽)
발행년도 2007년
KDC 517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교보문고

 
초록
목적 : 최근 들어서 국내 의료계에서도 Non-MD 전문 유전상담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유전상담과 전문유전상담자 수요에 대한 전국적 기초조사를 수행함으로서, 향후 중장기 계획 Master plan을 가지고 유전상담교육 및 상담사 배출을 체계적으로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방법 : 2007년 9월 3일부터 2007년 10월 4일까지 1개월 동안 이메일, 전화, 팩스, 직접수령의 방법으로 의료기관, 유전자 검사평가원에 등록된 비 의료기관, 정책연구기관, 자조회 등을 통하여 주임연구원, 교수 등을 대상으로 총 16문항의 설문을 하였다. 결과 : 설문 내용의 분석 결과 “유전상담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지”에 대하여 응답자의 90명(88%)에서 유전상담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으며, 그 중 “매우 필요하다”는 답변은 31명(34%)으로 나타났다. 또 “응답자 또는 응답자가 근무하는 기관에서는 의학유전학 석사학위 이상의 교육을 받은 전문직 유전상담사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지”에 대한 문항에서는 필요하다는 의견이 68명(77%)을 차지하였고, 그 중 “매우 필요하다”는 의견은 16명(23%)의 결과를 보였다. 전문 유전상담에 대한 수가 책정이 건강보험급여로 인정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응답자가 78명(77%)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23명(29%)이 매우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이에 전문 유전상담사를 채용할 계획이 있다고 응답한 57명의 답변으로, 5년 이내 채용계획이 있다는 의견이 41명(71%)이었고, 채용 시 기대하는 담당 업무는 “유전 카운슬링” 34명(60%), “학술담당” 24명(42%), “교육담당” 10명(18%), “임상검사담당” 11명(19%)으로 나타났다. 결론 : 이번 조사에는 대상자 650명 중에 총 102명이 설문에 응하였고, 국내 유전상담과 전문 유전상담사 수요에 대한 전국적 기초조사 결과를 토대로, 향후 5-10년 중장기계획을 가지고 유전상담교육, 유전 상담의 의료보험 적용과 전문 유전상담사 배출을 체계적으로 하는데 있었으며 이에 효율적인 유전질환 관리와 국가차원의 시스템 구축 및 유전질환 환자에 대한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서론
대상 및 방법
결과
고찰
감사의 글
한글요약
참고문헌
별첨) 설문 내용


주제어
National survey  ,Genetic counseling  ,Professional genetic counselo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51 1 윤리학 현행 형집행정지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이석배 2013  4160
50 15 유전학 GMO의 윤리적 문제 / 이종원 2014  2628
49 15 유전학 유전자 조작 생물(GMO)에 대한 초,중,고 학생들의 인식 조사 / 이혜정, 이진경, 민윤숙, 최진영, 심규철 2010  2346
48 18 인체실험 물리적 인장 자극에 의한 줄기세포의 분화에 동반되는 미토콘드리아의 특성 변화에 관한 고찰 / 신지원 외 2015  1172
47 15 유전학 공공 유전체 데이터베이스 확립 과정에 나타난 정보 공유와 사유화 사이의 긴장 / 조은희 2015  998
46 18 인체실험 착상 전 유전진단으로 획득된 비정상 배아를 이용한 유전질환 인간 배아줄기세포 수립 연구 동향 / 설혜원 외 2015  890
45 14 재생산 기술 인공자궁과 그 법적 함의 - 이 특수한 가정적 현실을 둘러싼 법적 접근을 위하여 / 안성준 2016  623
44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 관련 발명의 특허법적 보호와 쟁점 / 김원준 2012  563
43 18 인체실험 재생의학 기술 개발을 위한 세포접착 제어를 통한 중간엽 줄기세포의 기능 조절 연구 / 강정미 2016  547
42 15 유전학 임상유전학의 ‘신 놀이’ 비판 : 도덕적 트랜스휴머니즘의 정립을 위한 시론 / 이을상 2014  515
41 15 유전학 한국인 유전성 유방암 가계에서 BRCA1/2 유전자 돌연변이 사실에 대한 가족과의 의사소통 실태 / 강은영 외 2011  509
40 1 윤리학 생명윤리 법제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에 관한 연구 / 안영하, 서순택, 우제창, 오정균, 엄애용 2014  489
39 19 장기 조직 이식 종설 : 조직 및 장기 재생 분야에서의 3D 프린팅 기술의 적용 현황 / 안치범 외 2015  488
» 15 유전학 유전상담과 전문 유전상담사 수요에 대한 전국적인 조사 / 정윤석 외 2007  477
37 15 유전학 체육철학 : 유전자도핑과 생명윤리 -스포츠를 중심으로- / 이문성 2014  447
36 15 유전학 산전 유전자 검사 / 한유정 외 2011  437
35 15 유전학 유전자검사와 유전자치료에 관한 쟁점사항과 사회적 수용도 / 이인영 2005  430
34 1 윤리학 생명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른 형사입법의 회고와 전망 / 이인영, 김성천 2007  427
33 15 유전학 유전자 변형식품에 대한 고객인식과 구매의도 관계에서 지각위험 조절효과 분석 / 유영애, 우성근, 권기완 2014  427
32 14 재생산 기술 일본「재생의료안전법」이 한국 생명윤리 관련 규제에 주는 시사점 / 김보배 2015  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