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08
발행년 : 2010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인하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박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977201 

미생물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과 약제내성 기작 연구를 위한 유전정보의 활용


 
 
기타서명 The Complete Microbial Genome Sequencing and Application of Genetic Information for Mechanisms

               of Antibiotic Resistance
저자 차선호
형태사항 iv, 72 p. ; 26cm
일반주기 인하대학교
              지도교수:박창신
              참고문헌 : p.57-60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인하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2010. 2
DDC QU470 21
발행국 인천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0
소장기관 인하대학교 도서관


 
초록
국내에서 분리된 병원성 미생물 2종(NG, AB)의 유전체 염기서열을 분석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특히 데이터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finishing을 상황별로 세부적으로 기술하였으며 이는 다양한 종류의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에서 발생 가능한 문제에 대해 실질적인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완전하게 분석된 유전체 염기서열은 생물정보학적 기법을 통해 유전자를 예측하고 해석하였고 병인과 관련된 주요 유전자의 구조적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균주에 대한 유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NG는 분석된 유전정보를 활용하여 약제내성 연구 및 진단을 위한 DNA chip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미생물 전장 염기서열 분석은 ‘draft sequencing phase’와 ‘finishing phase’로 구분되는 ‘whole genome shotgun sequencing’ 방법을 각 미생물의 유전체 특성에 따라서 다소 변형하여 적용하였다. 대량의 염기서열을 생산하는 ‘draft sequencing phase’에서 NG는 대장균을 이용한 ‘in vivo shotgun clone library’를 제조하였고 AB는 oil-emulsion PCR을 이용한 ‘in vitro shotgun clone library’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클론은 sanger sequencing 또는 454 sequencing으로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NG는 17,650개 그리고 AB는 862,301개의 shotgun reads를 각각 생산하였으며 이들을 어셈블하여 585개 그리고 219개의 염기서열 조각, 즉 ‘contig'를 생성할 수 있었다. Contig의 길이는 수백 bp에서 수백만 bp로 다양하였고 이들 간의 연결정보를 찾고 contig간의 ‘gap'을 closing 하는 ‘finishing phase’에서는 clone이나 PCR 또는 기존에 알려진 동종의 유전체 정보와의 비교를 통해 contig 간의 새로운 연결정보를 확인한 후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또한 반복서열로 인한 어셈블 오류를 해결하기 위해 fosmid clone을 선별하여 shotgun sequencing으로 별도 분석 후 어셈블에 참여 시키는 방법을 추가 하였다. 구조적으로 분석이 까다로운 부위는 DMSO나 betain 등 반응 첨가물과 dGTP를 포함한 PCR 산물을 제작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최종 분석 완료된 NG의 유전체는 2,674개의 유전자가 예측된 2,232,025bp 크로모좀 1개와 12개 유전자가 예측된 4,152bp 플라스미드 1개로 구성되고 54개의 tRNA, 4개의 rRNA cluster를 갖고 있다. AB는 3,715개의 유전자가 예측된 3,940,614bp 크로모좀 1개와 101개, 8개의 유전자가 각각 예측된 74,451bp, 8,041bp 플라스미드 2종으로 구성되고 71개의 tRNA, 6개의 rRNA cluster를 갖고 있다.
NG는 주변 환경에 적응 및 생존을 위해 매우 중요한 메커니즘으로 알려진 Type IV secretion system(TFSS)을 갖고 있었으며 또한 약재 내성 획득, 항원 다양성 및 숙주 면역반응 조절 등과 연관된 DNA uptake sequence, IS element, prophage, correia elements, transposases 등 다양한 종류의 반복서열이 확인되었다.
NG는 유전체 분석결과와 더불어 기존에 알려진 유전정보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내성과 관련된 GryA 등 11종의 유전자에 대한 SNP 분석용 DNA 칩을 제작하였다. 이는 국내에서 분리된 NG 균들의 내성 관련 SNP를 쉽게 분석함으로써 병원균의 약재 내성기작을 연구하기위한 수단으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목차
서론 1
1. 미생물 유전체 전장 염기서열 분석의 필요성 1
2. 국내외 연구 동향 2
3. 유전체 전장 염기서열 분석기술의 발전 3
4. 유전체 전장 염기서열 분석방법과 Finishing의 필요성 3
5. 미생물 유전체 전장 염기서열의 활용 4
재료 및 방법 5
1. 재료 5
2. 방법 5
(1) Draft Sequencing 5
(2) Finishing 8
(3) Annotation 10
(4) NG DNA chip 개발 10
결과 및 고찰 11
1. Shotgun clone & Fosmid clone library 염기서열 분석 11
2. Draft Sequence의 Assembly 14
3. Finishing 19
(1) Low quality regions in contig 19
(2) Spanned(captured) gap closing 20
(3) Unspanned(uncaptured) gap closing 21
(4) Hard stop 및 homopolymers 해결 22
(5) Repeated sequence 분석 23
(6) NG Finishing 25
(7) AB Finishing 33
4. 최종 assemble 상태 확인 35
5. Fosmid library assemble 정보 활용 37
6. Primary Annotation 38
7. RNA 분석 40
8. Repeats Analysis 43
(1) Repeat 정의 및 분석 43
(2) Repeat coverage 44
(3) Repeat Type 분류 45
9. Comparative genome analysis 46
(1) Plasmid 비교 분석 50
(2) Gonococcal genetic island (GGI) 분석 51
10. 약제 내성 연구용 NG chip 개발 검토 52
(1) 약제 내성 및 virulence 유전자 비교 52
(2) 약제 내성 유전자 SNP 분석용 DNA chip 제작 54
결론 55
Reference 57
첨부 1. Fosmid clone positions in NG genome 6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18 인체실험 과학기술 연구윤리 고찰 / 김현진

발행년 2008 

  • 조회 수 200

18 인체실험 연구윤리 교육활동에 대한 조명과 사례연구를 적용한 중등교육과정의 연구 / 이상희

발행년 2013 

  • 조회 수 135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연구실 단기 교육 프로그램 / 이재인 외

발행년 2013 

  • 조회 수 82

18 인체실험 패널토론을 적용한 대학생의 생명윤리 의사결정에 나타난 의사결정 변화 양상과 내용 분석 / 문성채

발행년 2015 

  • 조회 수 267

15 유전학 인간유전체 연구와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 방안 / 정창록

발행년 2015 

  • 조회 수 324

15 유전학 국제 사회에서 유전체 의료의 지적재산권 연구 / 김한나

발행년 2015 

  • 조회 수 330

15 유전학 미생물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과 약제내성 기작 연구를 위한 유전정보의 활용 / 차선호

발행년 2010 

  • 조회 수 540

1 윤리학 지식정보 자산인 빅데이터(Big Data)활용에 관한 연구 / 김선영

발행년 2016 

  • 조회 수 913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신장 공여자의 공여 후 적응 경험 / 강다해솜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1824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병동 말기 암환자 가족의 돌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김계숙

발행년 2016 

  • 조회 수 483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의 봉사경험에 대한 심층적 이해 - 질적 사례 연구 - / 심세화

발행년 2016 

  • 조회 수 364

19 장기 조직 이식 인체유래물 기증자의 동의 및 동의철회의 법적 문제 / 이한주

발행년 2016 

  • 조회 수 348

15 유전학 한국의 인간 유전체 연구에 있어 개인 프라이버시권과 국제데이터공유원칙 적용의 문제점 / 김한나 외

발행년 2015 

  • 조회 수 306

9 보건의료 라틴아메리카 국가와 우리나라의 의약품 인허가제도 및 관리체계 비교연구 : 멕시코와 브라질을 중심으로 / 송주현

발행년 2014 

  • 조회 수 491

18 인체실험 스포츠사회과학 연구에서 생명윤리의 문제: IRB의 적용 / 김동규 외

발행년 2015 

  • 조회 수 443

18 인체실험 건국대학교 의과대학에서의 임상연구를 위한 기반 조성에 관하여 / 배진우

발행년 2003 

  • 조회 수 1535

18 인체실험 웨스턴 연구윤리심의위원회의 특성 / 신희영

발행년 2007 

  • 조회 수 129

18 인체실험 연구윤리에서 다루어지는 위험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연구심의과정상의 위험 / 남수진 외

발행년 2015 

  • 조회 수 242

18 인체실험 공동임상연구윤리위원회(공동IRB) 설립과 초기 운영과정에서의 협력 거버넌스 - 대구공동IRB 사례 / 김향미

발행년 2015 

  • 조회 수 700

18 인체실험 우리나라 임상연구심의위원회의 현황 / 김옥주

발행년 2002 

  • 조회 수 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