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17
발행년 : 2011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철학논총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60115482 

과학기술시대에서 새로운 윤리학 근거짓기
= Foundation of New Ethics in Technology Age


 
제어번호 60115482
저자명 이재성(Yi Sae-Seong) 
학술지명 哲學論叢(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권호사항 Vol.66 No.- [2011] 
발행처 새한철학회(영남철학회@@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발행처URL http://www.saehanphilosophy.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19-338(20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년
KDC 105
등재정보 KCI등재
소장기관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판매처 (주)누리미디어

 
초록
근대를 살찌운 '아름다운' 공식, 즉 과학이 더 발전하면 더 나은 기술로 이어지고 그 기술은 다시 모든 인류에게 더 풍요롭고 더 나은 세상을 도래하게 한다는 이 아름다운 공식의 거대한 서사가 이제 종말을 고하고 있다는 사실이 더욱 확실해지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우리는 우리의 미래세대에게 말해 줄 만한 제대로 된 그 어떤 이야기도 준비하지 못한 채 여전히 저 근대의 공식을 만지작거리고 있다. 새로운 이야기, 즉 '새로운 윤리학의 근거지음'이 절박한 이유다. 만일 우리가 새로운 윤리학의 근거짓기를 시작해야 한다면 그것은 아마도 어떻게 근대의 인간이 마침내 자신의 파괴적인 습성을 인정하고, 자신의 후회를 최소화할 방법을 찾아 낼 수 있는지를 설명할 수 있는 그 지점에서 시작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필자는 근대의 절정인 인간중심주의적 세계관을 극복하고 인간의 "삶의 형식"을 새롭게 주조할 수 있는 새로운 윤리학을 근거지울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필자는 이 글에서 인간이 처한 이 절박한 삶의 형식의 위기상황에서 근대가 낳은 인간중심주의가 갖는 한계가 무엇인지를 짚어내면서 새로운 윤리학을 근거짓기 위한 방법적 절차를 탐색하고자 한다. 그것은 우선 인간의 삶의 형식을 새롭게 구성하는 새로운 윤리학의 단초를 제안하는 일이다(2). 그런 후 인간중심주의적 관점의 협소함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윤리학을 제안할 것이다. 이 새로운 윤리학은 인간중심주의를 관점 찾기의 과정과 연관해서 비판하면서 인간중심의 세계관의 주요 관심을 협소화하는데 초점을 맞추게 될 것이다(3). 이러한 논증 과정에서 필자는 지금까지의 윤리학이 취해 온 인간중심주의 관점을 포기하고 더 나은 관점, 즉 새로운 윤리학의 구조인 책임의 반인간중심주의적 성격을 고찰하면서(4), 이 글을 마무리할 것이다(5).

 

목차
1. 과학기술시대에 새로운 윤리학의 근거짓기가 필요하다
2. 인간중심주의의 한계와 새로운 윤리학의 단초
3. 인간중심주의 세계관의 협소화와 그 결과
4. 새로운 윤리학 : 반인간중심주의의 근거로서의 책임
5. 나가는 말


주제어
윤리학  ,정치철학  ,환경철학  ,생태윤리  ,윤리학  ,과학  ,기술  ,근거지음  ,인간중심주의  ,자연중심주의  ,책임  ,ethics  ,political philosophy  ,environmental philosophy  ,eco-ethics  ,science  ,technology  ,foundation  ,anthropocentrism  ,nature-centrism  ,responsibility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97 18 인체실험 세계 각국의 인간 배아줄기세포주 분석 및 이용 연구 현황 / 정주원 외 2012  148
96 18 인체실험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동결에 이용되는 동결방지제에 대한 연구 / 정주원 외 2013  150
95 18 인체실험 인간 배아줄기세포와 인간 역분화줄기세포의 유전체 수준 비교 / 백진아 외 2013  139
94 18 인체실험 미분화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동정을 위한 특성분석 방법 / 태지윤 외 2013  362
93 18 인체실험 인간 배아줄기세포 배양에서 마이코플라즈마 오염 시 제거를 위한 연구 / 윤보애 외 2014  390
92 18 인체실험 인간배아복제 연구에 관한 헌법학적 고찰 / 민경식 외 2014  936
91 18 인체실험 임상등급 인간 배아줄기세포주 확립 연구 동향 / 설혜원 외 2014  316
90 18 인체실험 배아복제 기술의 윤리적 문제와 줄기세포 연구의 한계 / 김광연 2015  2242
89 18 인체실험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Non-coding RNAs의 기능 / 백진아 외 2015  107
88 18 인체실험 인체유래물의 법적 지위에 대한 인격적 측면에서의 고찰 -인격성의 본체로서 DNA의 성격을 중심으로- / 유지홍 2015  237
87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과 노인간호실천과의 관계 / 홍소형 외 2016  483
86 12 낙태 생명권에 관한 헌법적 논의 / 김민우 2013  527
85 14 재생산 기술 인공자궁과 그 법적 함의 - 이 특수한 가정적 현실을 둘러싼 법적 접근을 위하여 / 안성준 2016  623
84 15 유전학 인간유전체 연구와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 방안 / 정창록 2015  323
83 15 유전학 국제 사회에서 유전체 의료의 지적재산권 연구 / 김한나 2015  330
82 15 유전학 인간 유전체에 관한 윤리 교육 연구 / 정은경 2004  140
» 1 윤리학 과학기술시대에서 새로운 윤리학 근거짓기 / 이재성 2011  200
80 20 죽음과 죽어감 환경윤리학에서의 사회생물학적 접근의 한계와 가능성 / 노희정 2012  253
79 1 윤리학 칸트의 윤리학에 나타난 인간 존엄성의 근거와 보편 가능성으로서의 도덕법칙의 요청 / 김광연 2016  2012
78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철학에서 에디트 슈타인 사상의 의미 연구 - 죽음과 죽어감 그리고 사랑과 비움의 영성을 중심으로 - / 이은영 2015  5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