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
발행년 : 2011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철학논총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60115482 

과학기술시대에서 새로운 윤리학 근거짓기
= Foundation of New Ethics in Technology Age


 
제어번호 60115482
저자명 이재성(Yi Sae-Seong) 
학술지명 哲學論叢(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권호사항 Vol.66 No.- [2011] 
발행처 새한철학회(영남철학회@@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발행처URL http://www.saehanphilosophy.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19-338(20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년
KDC 105
등재정보 KCI등재
소장기관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판매처 (주)누리미디어

 
초록
근대를 살찌운 '아름다운' 공식, 즉 과학이 더 발전하면 더 나은 기술로 이어지고 그 기술은 다시 모든 인류에게 더 풍요롭고 더 나은 세상을 도래하게 한다는 이 아름다운 공식의 거대한 서사가 이제 종말을 고하고 있다는 사실이 더욱 확실해지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우리는 우리의 미래세대에게 말해 줄 만한 제대로 된 그 어떤 이야기도 준비하지 못한 채 여전히 저 근대의 공식을 만지작거리고 있다. 새로운 이야기, 즉 '새로운 윤리학의 근거지음'이 절박한 이유다. 만일 우리가 새로운 윤리학의 근거짓기를 시작해야 한다면 그것은 아마도 어떻게 근대의 인간이 마침내 자신의 파괴적인 습성을 인정하고, 자신의 후회를 최소화할 방법을 찾아 낼 수 있는지를 설명할 수 있는 그 지점에서 시작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필자는 근대의 절정인 인간중심주의적 세계관을 극복하고 인간의 "삶의 형식"을 새롭게 주조할 수 있는 새로운 윤리학을 근거지울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필자는 이 글에서 인간이 처한 이 절박한 삶의 형식의 위기상황에서 근대가 낳은 인간중심주의가 갖는 한계가 무엇인지를 짚어내면서 새로운 윤리학을 근거짓기 위한 방법적 절차를 탐색하고자 한다. 그것은 우선 인간의 삶의 형식을 새롭게 구성하는 새로운 윤리학의 단초를 제안하는 일이다(2). 그런 후 인간중심주의적 관점의 협소함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윤리학을 제안할 것이다. 이 새로운 윤리학은 인간중심주의를 관점 찾기의 과정과 연관해서 비판하면서 인간중심의 세계관의 주요 관심을 협소화하는데 초점을 맞추게 될 것이다(3). 이러한 논증 과정에서 필자는 지금까지의 윤리학이 취해 온 인간중심주의 관점을 포기하고 더 나은 관점, 즉 새로운 윤리학의 구조인 책임의 반인간중심주의적 성격을 고찰하면서(4), 이 글을 마무리할 것이다(5).

 

목차
1. 과학기술시대에 새로운 윤리학의 근거짓기가 필요하다
2. 인간중심주의의 한계와 새로운 윤리학의 단초
3. 인간중심주의 세계관의 협소화와 그 결과
4. 새로운 윤리학 : 반인간중심주의의 근거로서의 책임
5. 나가는 말


주제어
윤리학  ,정치철학  ,환경철학  ,생태윤리  ,윤리학  ,과학  ,기술  ,근거지음  ,인간중심주의  ,자연중심주의  ,책임  ,ethics  ,political philosophy  ,environmental philosophy  ,eco-ethics  ,science  ,technology  ,foundation  ,anthropocentrism  ,nature-centrism  ,responsibility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6 18 인체실험 Previously unidentified duplicate registrations of clinical trials: an exploratory analysis of registry data worldwide/Gert van Valkenhoef 2016  98
35 18 인체실험 생명윤리에서 바라 본 형사법적 쟁점 / 박광현 2013  211
34 18 인체실험 인간 배아줄기세포 배양에서 마이코플라즈마 오염 시 제거를 위한 연구 / 윤보애 외 2014  390
33 9 보건의료 보건관련 교수들의 생물테러 교육현황에 관한 연구 : 응급구조학, 임상병리학과 기타 보건관련학교수를 대상으로 / 천병철 외 2012  298
32 12 낙태 여성주의 안에 나타나는 딜레마에 대한 이해 시도 / 최형미 2014  253
31 15 유전학 국제 사회에서 유전체 의료의 지적재산권 연구 / 김한나 2015  330
» 1 윤리학 과학기술시대에서 새로운 윤리학 근거짓기 / 이재성 2011  200
29 1 윤리학 도덕적 자연주의와 나쁜 것의 윤리학 : 니체 윤리학의 자연주의적 재구성 / 전경진 2012  504
28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의 덕으로의 이행 / 김진경 2004  302
27 14 재생산 기술 장애여성의 경험과 관점으로 다시 제기하는 재생산권리 / 나영정 2016  277
26 15 유전학 성범죄 사건에서 정액 검사와 유전자 분석에 대한 다양한 결과 / 김진영 외 2016  898
25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에서의 RNA간섭 치료법의 전망 / 김재영 2015  1225
24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문화에 대한 소고 / 정화성 2015  377
23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금지 결정 시점에서의 임상적 특성: 일개 종합병원 종양내과 사망한 암환자를 대상으로 / 강나영 외 2016  485
22 1 윤리학 인간존엄성 : 인간중심적 사고의 부활인가? / 김종엽 2010  347
21 5 과학 기술 사회 인간의 로보티즘과 로봇의 휴머니즘 스토리텔링 연구 / 강승묵 2014  318
20 10 성/젠더 페미니즘과 가톨릭 생명문화/이연숙 2016  275
19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의 수술 후 영양상태가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 하지수, 최스미 2013  1249
18 15 유전학 유전자 조작 생물(GMO)에 대한 초,중,고 학생들의 인식 조사 / 이혜정, 이진경, 민윤숙, 최진영, 심규철 2010  2345
17 15 유전학 GMO의 윤리적 문제 / 이종원 2014  25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