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5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대동철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157870 

생명윤리학의 탄생: 의학과 생명과학, 철학에 말을 걸다
= A Study on the Birth of Bioethics


 
제어번호 100157870
저자명 김상득 
학술지명 大同哲學(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권호사항 Vol.67 No.- [2014] 
발행처 大同哲學會 
발행처 URL http://ddpa98.org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29-248(20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4년
KDC 100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학술교육원

 
초록
이 글은 생명윤리학의 탄생을 역사적으로 개괄하여 그 원래적 의미가 무엇인지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글은 생명윤리학을 탄생시킨 몇 가지 사건에 주목하면서, 특히 ‘bioethics’라는 신조어가 어떻게 만들어져, 어떤 과정을 거쳐 하나의 학문으로 자리 잡게 되었는지, 그 역사적 전개 과정을 천착하고자 한다. 이런 논의를 통해 필자는 생명윤리학의 창시자는 포터이며, 이를 학문적으로 체계화시킨 자는 헬러거즈이며, 하나의 학문 분야로 정착시킨 자는 칼라한임을 드러내고자 한다. 생명윤리학의 이러한 정착과정에서 ‘bioethics’라는 신조어를 창조한 포터의 입장이 밀려나고 <케네디윤리학 연구소>의 헬러거즈의 입장이 득세하게 된 배경을 밝히면서, 필자는 포터의 입장, 즉 전지구적 생명윤리학의 회복을 역설하고자 한다. 그러니까 의학 및 생명과학의 발달로 일어나는 윤리적 물음을 다루는 좁은 의미의 생명의료윤리학을 넘어, 인류의 생존을 위해 과학과 인문학의 다리를 놓는 광의의 생명윤리학의 회복이 절실히 필요하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의학과 윤리학
2. ‘생명윤리학’(bioethics)이라는 신조어 탄생: V.R. Potter와 A. Hellegers
3. 생명윤리학의 정착: 조지타운 접근법의 득세
4. 포터의 전지구적 생명윤리학
5. 맺는 말: 거울이 아닌 안경으로서의 생명윤리학


주제어
Bioethics  ,V.R. Potter  ,A. Hellegers  ,Global Bioethics  ,생명윤리학  ,포터(V.R. Potter)  ,헬러거즈(A. Hellegers)  ,전지구적 생명윤리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25 20 죽음과 죽어감 기독교 윤리학적 관점에서 본 안락사에 대한 문제 / 이영태 2003  1365
24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간호사 윤리에 관한 연구 / 유인철 2001  1231
23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불교적 관점 / 윤종갑 2012  915
22 12 낙태 임신중절에 대한 생명의료윤리학적 고찰 / 박소연 2004  850
21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철학 : 철학적 대립과 새로운 생명윤리학을 위한 철학의 과제 / 최경석 2013  693
20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윤리의 이론적 기초 연구 / 변순용, 송선영, 김현수 2012  690
» 2 생명윤리 생명윤리학의 탄생: 의학과 생명과학, 철학에 말을 걸다 / 김상득 2014  509
18 1 윤리학 도덕적 자연주의와 나쁜 것의 윤리학 : 니체 윤리학의 자연주의적 재구성 / 전경진 2012  506
17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의 교육과 전망 / 김진경, 이상목 2014  505
16 1 윤리학 중용(mesot?s)의 양적 또는 비(非)양적 해석 문제 : 『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의 ‘절제’, ‘용기’, ‘온화’를 중심으로 / 이정주 2016  432
15 20 죽음과 죽어감 몸의 생의학적 의미와 생명정치 / 이을상 2010  408
14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에 적합한 공통도덕 모색/목광수,류재한 2015  385
13 1 윤리학 본회퍼 『윤리학』 에서 자연적 생명의 권리에 대한 연구 / 김영수 2015  334
12 2 생명윤리 한국의 생명윤리학 현황과 나아가야 할 방향 / 최경석 2014  330
11 1 윤리학 생명윤리 문제들에 대한 기독교 윤리학적 소고 : 본회퍼의 『윤리학(Ethik)』을 중심으로 / 전은강 2016  322
10 2 생명윤리 영미권의 생명의료윤리학, 어떻게 볼 것인가? : 응용윤리학적 접근법을 비판하며 / 정준영 2008  319
9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의 덕으로의 이행 / 김진경 2004  304
8 12 낙태 낙태 논의에 있어서 태아의 존재론적 위상과 도덕적 위상 / 유호종 2003  266
7 20 죽음과 죽어감 환경윤리학에서의 사회생물학적 접근의 한계와 가능성 / 노희정 2012  253
6 2 생명윤리 인간 향상 논쟁에서 생명보수주의에 대한 비판적 평가 / 추병완 2015  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