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5
발행년 : 200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시민윤리학회보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75237525 

생명의료윤리학의 덕으로의 이행
= Fulfillment of virtue of Biomedical ethics


제어번호 75237525
저자명 김진경
학술지명 한국시민윤리학회보
권호사항 Vol.17 No.- [2004] 
발행처 한국시민윤리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17-133(17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4년
KDC 194
판매처 학술교육원

 
초록
생명의료윤리학에서 발생하는 모든 생명·의료와 관련된 도덕적 문제들은 사람의 행위나 의무에만 관심을 가지고 행위의 옳고 그름만을 따지는 전통적인 윤리 이론만을 가지고 해결될 수 없다. 일부 생명윤리학자들은 전통윤리이론의 한계를 인식하고 원칙에 근거한 접근방법을 통하여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으나 원칙에 근거한 접근 역시 너무나도 추상적이고 공식화되어 다양한 도덕 선택 문제를 해 결하기에는 부족하다는 한계점 을 가진다. 따라서 오늘날 생명 의료윤리학은 문제 해결에 있어서 덕에 근거한 접근방법에 관심을 기울이는데 이는 어느 정도는 원칙에 근거한 윤리를 통한 도덕문제 해결의 한계로부터 나오고 어느 정도는 임상적인 환경에 있어서의 윤리학자들의 증가하는 경험으로부터 나온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다양한 임상적 환경에서 원칙의 방법들은 서로 다른 관계 속에서 선택되고 해석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활동을 하는 사람은 임상활동에 참여하는 행위자이며 도덕 판단의 결과는 임상활동에 참여하는 행위자의 성품에 의존하는 것은 명백하기 때문이다. 덕에 근거한 접근방법은 도덕 판단의 기준을 행위에 두지 않고 행위자에게 둠으로써 무엇을 해야 하는지가 아니라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말해준다. 그러나 생명의료윤리학에서의 덕의 부활이 행위와 의무에 초점을 두는 원칙의 윤리를 무조건적으로 배격하고 덕윤리로 돌아가야 한다고 주장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원칙과 덕은 둘 가운데서 하나가 선택되어 강조되어야만 하는 대립적인 것이 아니 다. 행위 기준으로서의 원칙과 행위 당사자의 덕이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할 때 보다 바람직한 문제해결이 될 수 있다.


 
목차
I. 서론
II. 전통윤리이론의 한계
1. Kant의 도덕이론의 한계
2. 공리주의 도덕이론의 한계
III. 원칙에 근거한 접근방법의 특징과 한계
1. 원칙에 근거한 접근방법의 특징
2. 원칙에 근거한 접근방법에 대한 비판
IV. 생명의료윤리학의 덕으로의 이행
1. 생명의료윤리학에서의 덕의 부활
2. 생명의료윤리학에서의 덕과 원칙의 상보성
V. 결론


주제어
생명의료윤리학  , 의무론의 한계  , 공리주의의 한계  , 원칙에 근거한 방법론의 한계  , 덕에 근거한 방법론  , 'biomedical ethics  , the limit of deontology  , the limit of utilitarianism  , the limit of principle-based methodology  , virtue-based methodology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25 20 죽음과 죽어감 기독교 윤리학적 관점에서 본 안락사에 대한 문제 / 이영태 2003  1365
24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간호사 윤리에 관한 연구 / 유인철 2001  1231
23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불교적 관점 / 윤종갑 2012  915
22 12 낙태 임신중절에 대한 생명의료윤리학적 고찰 / 박소연 2004  850
21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철학 : 철학적 대립과 새로운 생명윤리학을 위한 철학의 과제 / 최경석 2013  693
20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윤리의 이론적 기초 연구 / 변순용, 송선영, 김현수 2012  690
19 2 생명윤리 생명윤리학의 탄생: 의학과 생명과학, 철학에 말을 걸다 / 김상득 2014  509
18 1 윤리학 도덕적 자연주의와 나쁜 것의 윤리학 : 니체 윤리학의 자연주의적 재구성 / 전경진 2012  506
17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의 교육과 전망 / 김진경, 이상목 2014  505
16 1 윤리학 중용(mesot?s)의 양적 또는 비(非)양적 해석 문제 : 『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의 ‘절제’, ‘용기’, ‘온화’를 중심으로 / 이정주 2016  432
15 20 죽음과 죽어감 몸의 생의학적 의미와 생명정치 / 이을상 2010  408
14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에 적합한 공통도덕 모색/목광수,류재한 2015  385
13 1 윤리학 본회퍼 『윤리학』 에서 자연적 생명의 권리에 대한 연구 / 김영수 2015  334
12 2 생명윤리 한국의 생명윤리학 현황과 나아가야 할 방향 / 최경석 2014  330
11 1 윤리학 생명윤리 문제들에 대한 기독교 윤리학적 소고 : 본회퍼의 『윤리학(Ethik)』을 중심으로 / 전은강 2016  322
10 2 생명윤리 영미권의 생명의료윤리학, 어떻게 볼 것인가? : 응용윤리학적 접근법을 비판하며 / 정준영 2008  319
»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의 덕으로의 이행 / 김진경 2004  304
8 12 낙태 낙태 논의에 있어서 태아의 존재론적 위상과 도덕적 위상 / 유호종 2003  266
7 20 죽음과 죽어감 환경윤리학에서의 사회생물학적 접근의 한계와 가능성 / 노희정 2012  253
6 2 생명윤리 인간 향상 논쟁에서 생명보수주의에 대한 비판적 평가 / 추병완 2015  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