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
발행년 : 200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시민윤리학회보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75237525 

생명의료윤리학의 덕으로의 이행
= Fulfillment of virtue of Biomedical ethics


제어번호 75237525
저자명 김진경
학술지명 한국시민윤리학회보
권호사항 Vol.17 No.- [2004] 
발행처 한국시민윤리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17-133(17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4년
KDC 194
판매처 학술교육원

 
초록
생명의료윤리학에서 발생하는 모든 생명·의료와 관련된 도덕적 문제들은 사람의 행위나 의무에만 관심을 가지고 행위의 옳고 그름만을 따지는 전통적인 윤리 이론만을 가지고 해결될 수 없다. 일부 생명윤리학자들은 전통윤리이론의 한계를 인식하고 원칙에 근거한 접근방법을 통하여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으나 원칙에 근거한 접근 역시 너무나도 추상적이고 공식화되어 다양한 도덕 선택 문제를 해 결하기에는 부족하다는 한계점 을 가진다. 따라서 오늘날 생명 의료윤리학은 문제 해결에 있어서 덕에 근거한 접근방법에 관심을 기울이는데 이는 어느 정도는 원칙에 근거한 윤리를 통한 도덕문제 해결의 한계로부터 나오고 어느 정도는 임상적인 환경에 있어서의 윤리학자들의 증가하는 경험으로부터 나온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다양한 임상적 환경에서 원칙의 방법들은 서로 다른 관계 속에서 선택되고 해석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활동을 하는 사람은 임상활동에 참여하는 행위자이며 도덕 판단의 결과는 임상활동에 참여하는 행위자의 성품에 의존하는 것은 명백하기 때문이다. 덕에 근거한 접근방법은 도덕 판단의 기준을 행위에 두지 않고 행위자에게 둠으로써 무엇을 해야 하는지가 아니라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말해준다. 그러나 생명의료윤리학에서의 덕의 부활이 행위와 의무에 초점을 두는 원칙의 윤리를 무조건적으로 배격하고 덕윤리로 돌아가야 한다고 주장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원칙과 덕은 둘 가운데서 하나가 선택되어 강조되어야만 하는 대립적인 것이 아니 다. 행위 기준으로서의 원칙과 행위 당사자의 덕이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할 때 보다 바람직한 문제해결이 될 수 있다.


 
목차
I. 서론
II. 전통윤리이론의 한계
1. Kant의 도덕이론의 한계
2. 공리주의 도덕이론의 한계
III. 원칙에 근거한 접근방법의 특징과 한계
1. 원칙에 근거한 접근방법의 특징
2. 원칙에 근거한 접근방법에 대한 비판
IV. 생명의료윤리학의 덕으로의 이행
1. 생명의료윤리학에서의 덕의 부활
2. 생명의료윤리학에서의 덕과 원칙의 상보성
V. 결론


주제어
생명의료윤리학  , 의무론의 한계  , 공리주의의 한계  , 원칙에 근거한 방법론의 한계  , 덕에 근거한 방법론  , 'biomedical ethics  , the limit of deontology  , the limit of utilitarianism  , the limit of principle-based methodology  , virtue-based methodology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16 18 인체실험 인간 배아줄기세포 배양에서 마이코플라즈마 오염 시 제거를 위한 연구 / 윤보애 외 2014  390
15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문화에 대한 소고 / 정화성 2015  376
14 1 윤리학 인간존엄성 : 인간중심적 사고의 부활인가? / 김종엽 2010  347
13 15 유전학 국제 사회에서 유전체 의료의 지적재산권 연구 / 김한나 2015  330
12 16 환경 건강결정요인 파악을 위한 건강영향평가의 정책적 의의 / 배현아 2015  326
11 5 과학 기술 사회 인간의 로보티즘과 로봇의 휴머니즘 스토리텔링 연구 / 강승묵 2014  318
»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의 덕으로의 이행 / 김진경 2004  302
9 9 보건의료 보건관련 교수들의 생물테러 교육현황에 관한 연구 : 응급구조학, 임상병리학과 기타 보건관련학교수를 대상으로 / 천병철 외 2012  298
8 14 재생산 기술 장애여성의 경험과 관점으로 다시 제기하는 재생산권리 / 나영정 2016  277
7 10 성/젠더 페미니즘과 가톨릭 생명문화/이연숙 2016  274
6 12 낙태 여성주의 안에 나타나는 딜레마에 대한 이해 시도 / 최형미 2014  253
5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Industrialization of Medicine and Medical Professionalism: Bioethical Critiques / Lee Paul Inkook 2015  248
4 18 인체실험 생명윤리에서 바라 본 형사법적 쟁점 / 박광현 2013  211
3 1 윤리학 과학기술시대에서 새로운 윤리학 근거짓기 / 이재성 2011  200
2 1 윤리학 건강인 대상 Direct to Consumer Genetic Test의 사회적·윤리적 쟁점 (2015 수정논문) / 김수정 2013  144
1 18 인체실험 Previously unidentified duplicate registrations of clinical trials: an exploratory analysis of registry data worldwide/Gert van Valkenhoef 2016  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