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0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윤리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991520 

좋은 죽음에 대한 윤리적 성찰과 모색 : 니체의 '운명애'와 레비나스의 '타자의 얼굴' 개념을 중심으로



기타서명 Ethical reflection and seeking for the good death : focused on Nietzsche's 'Amor fati' and Levinas's

              'face of the other'
저자 임지연
형태사항 iv, 69 p.; 26 cm.
일반주기 성신여자대학교
              지도교수:이경희
              권말에 참고문헌 및 영문초록 수록
              서지적 각주 수록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윤리학과 2016. 2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6
소장기관 성신여자대학교 도서관


 
초록
현대인들은 수명이 길어진 만큼 좋은 삶을 살기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한다. 그러나 죽음은 일상에서 분리되어 회피의 대상이 되었다. 죽음의 형태가 질병사, 사고사, 자살, 타살 중 어떤 것이든, 평온한 죽음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 한 사회가 죽음을 어떻게 정의하느냐 하는 문제는 그 사회 구성원 모두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은 좋은 죽음 개념에 대한 윤리학적 성찰을 통해 죽음과 삶은 동떨어진 별개의 것이 아니라, 자신의 삶을 새롭게 인식하게 해주는 계기로서 좋은 죽음의 의미에 대해 재구성을 시도하려고 한다. 나의 삶과 죽음의 가치를 회복하고 나아가 타인에 대한 고려까지 확장시킨다면 죽음회피 현상과 참혹하게 마주하게 되는 죽음의 장면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대사회에 팽배한 죽음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긍정적으로 전환하고 삶의 가치를 찾아가려는 지점을 니체(Friedrich Nietzsche)의 ‘운명애’ 개념에서, 타인에 대한 윤리적 고려를 레비나스(Emmanuel L?vinas)의 ‘타자의 얼굴’ 개념에서 살펴본다. 니체에 따르면, 세계는 영원히 똑같이 반복되며 여기서 생기는 허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사랑할 수 있는 운명을 창조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인간은 위버멘쉬(?bermensch)가 되어야 한다. 한편, 레비나스는 타인의 존재를 ‘얼굴’로 표현하였다. ‘타인의 얼굴’을 통해 인간이 윤리적으로 행동하도록 호소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처음으로 이 두 개념을 통합하여 생의 차원에서 좋은 죽음으로서의 ‘윤리적 죽음’의 의미를 도출하려고 시도한다. 결국 좋은 죽음이란 개인의 실존적 의미를 통해 자아실현하고 삶의 방식을 성찰하며, 타인에 대한 윤리적 고려를 포함하는 ‘윤리적 죽음’이다.
좋은 죽음은 곧 좋은 삶을 살았다는 결실이다. 따라서 좋은 죽음의 개념을 생의 차원에서 정립하고 ‘윤리적 죽음’으로 의미부여하는 것은 나의 삶에서 가치를 창조하고, 타인의 삶까지 고려하도록 만들고 나아가 인간성을 회복할 수 있게 해준다.

 
목차
논문개요
Ⅰ. 서론

Ⅱ. 좋은 죽음의 개념 정립을 위한 개관
1. 죽음에 대한 인식과 태도
2. 죽음의 의미와 특성

Ⅲ. ‘운명애’ 와 ‘타자의 얼굴’ 개념으로 본 죽음에 대한 이해
1. 니체의 ‘운명애’
1) 동일한 것에 대한 영원회귀
2) 자유로운 죽음
2. 레비나스의 ‘타자의 얼굴’
1) 자아와 타자의 관계
2) 타자에로의 열망

Ⅳ. 좋은 죽음으로서 ‘윤리적 죽음’
1. 손을 잡은 연대적 동료
2. 인간성 회복 과정으로서 죽음

Ⅴ. 결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50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죽음태도 및 영향요인 / 김종근 외 2016  211
49 20 죽음과 죽어감 통합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장애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 길태영 2016  606
48 20 죽음과 죽어감 통합예술프로그램을 통한 공간별 아동 죽음교육 모델 방안 / 유성이 2016  273
» 9 보건의료 좋은 죽음에 대한 윤리적 성찰과 모색 : 니체의 '운명애'와 레비나스의 '타자의 얼굴' 개념을 중심으로 / 임지연 2016  694
46 20 죽음과 죽어감 현대법의 새로운 과제 ; 죽음관련 법제의 현안 과제에 관한 일고찰 / 이인영 2016  211
45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 이른바 웰다잉법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김화 2016  205
44 20 죽음과 죽어감 신해철법과 웰다잉법 / 신현호 2016  97
43 20 죽음과 죽어감 국내 말기 의료 현황과 웰다잉법 / 이지은 외 2016  143
42 1 윤리학 죽음에 관한 기독교 윤리적 탐구 : 케이건(Shelly Kagan)과 몰트만(Jürgen Moltamm) 비교와 케이건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중심으로 / 송화준 2015  420
41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에 관한 가족들의 선택방안 /양인권 2015  361
40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여성의 죽음 결정과 죽을 권리 / 이동옥 2015  485
39 20 죽음과 죽어감 Euthanasia : 좋은 죽음에 관한 기독교 생명윤리학적 연구 / 허반석 2015  530
38 20 죽음과 죽어감 생물학적 죽음에서 인간적 죽음으로 / 권수현 2015  542
37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 프로그램과 노인의 삶의질, 죽음불안과 자아통합감의 관계연구 / 정운경 2015  1471
36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Well-dying)을 위한 죽음준비교육이 여가태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최은주 2015  1009
35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의 연명의료정책과 타나토사회성의 등장- 사회에 책임지는 기술혁신(RRI)의 적용 한계와 기술 거버넌스/이준석 2015  300
3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철학에서 에디트 슈타인 사상의 의미 연구 - 죽음과 죽어감 그리고 사랑과 비움의 영성을 중심으로 - / 이은영 2015  562
33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마지막에서 존엄성을 어떻게 고려할 것인가: 안락사와 의사조력자살의 논변 분석을 중심으로/정연재 2015  606
32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간호사와 보호자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인식/김원정, 강지숙 2015  471
31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 청소년 죽음교육 모형 개발/정재걸 외 2015  3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