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3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경희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020209 

응급실 간호사의 도덕적 고뇌 대응 경험


 
기타서명 Coping experience of moral distress in emergency nurses
저자 이나경
형태사항 v, 40 p. : 삽화 ; 26 cm
일반주기 경희대학교
             지도교수: 황지인
             참고문헌: p. 33-38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경희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2016. 2
DDC 612 22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6
소장기관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초록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들이 경험하는 도덕적 고뇌의 대응에 대해 깊이 있게 탐색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2014년 12월 15일부터 2015년 2월 15일까지 경상도 지역 권역응급의료센터에서 응급실 경력 2년 이상 20년 미만의 간호사 11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응급실 간호사들이 경험한 도덕적 고뇌 대응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자 목적적 표집법에 따라 주요 정보제공자를 모집하여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심층 면담을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질적 내용 분석 방법으로분석하였다. 이 때, 연구 참여자의 동의를 얻어 모든 면담 내용은 녹음하였으며, 이를 전사한 후 전통적 내용 분석 방법(Hsieh & Shannon, 2005)을 사용하여 분석 하였으며, 실질적 가치 윤리학의 측면에서 도덕적 고뇌 대응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응급실 간호사의 도덕적 고뇌 대응은 감정 중심의 수동적인 대응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 주제로부터 총 3개의 범주와 8개의 코드, 72개의 의미 있는 진술문이 도출되었다. 주제로부터 도출된 범주의 세부 내용으로는 ‘고뇌 상황에 대한 무비판적 행동 순응’, ‘행동하지 않음에 대한 합리화: 자아 및 조직의 보호를 위한’, ‘윤리적 의사결정에 대한 결정 불가능성: 도피-회피’의 3가지 항목으로 분석되었다.
2. '고뇌 상황에 대한 무비판적 행동 순응'의 하위 범주로는 ‘환자에게 상황을 사실대로 말하지 못함’, ‘동등한 간호를 제공하지 못함’, ‘환자의 사생활 보호를 못함’, '너무 바빠서 신경쓰지 않음', '재정적 문제에 대한 무력함'이 있었으며, '행동하지 않음에 대한 합리화: 자아 및 조직의 보호를 위한'의 하위 범주는 ‘부서간 목표하는 바가 서로 다름’, ‘직장동료 관계의 지속적 연대감 유지’, '자신의 생계를 위협을 받고 싶지 않음'을 포함하였다. '윤리적 의사결정에 대한 자신감 없음: 도피-회피'의 하위 범주에는 ‘과거 윤리적 상황의 실패 결과를 반추함’, ‘실재적 이득과 보편 선 사이의 정답이 없음’, ‘사회에서 윤리적 전문 역할 이행에 있어 낮은 직업적 위상'이 결과로 도출되었다.
3. 본 연구로 도출된 도덕적 고뇌에 대한 감정 중심의 수동적 대응은 실질적 가치 윤리학의 측면에서, 비록 문제 해결에서 능동성이 떨어지는 감정 중심의 부정적 대응일지라도, 도덕적 고뇌 과정을 수행하는 그 자체가 유의미적 활동이라고 해석된다. 윤리의 부재가 득세하는 현 사회 분위기와는 다르게 간호 조직 내 환경은 주체적 윤리성을 고양하는 고도의 정신적 활동을 이어나가고 있으며 이 사유 과정 자체가 하나의 긍정성으로 평가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대응 양상인 순응, 합리화, 도피-회피 반응은 현상과 이상을 잇는 순환의 알고리즘과 같다. 즉 도덕적 고뇌의 반추활동 자체가 선이라고 대표되는 보편의 당위와 실재적 현실을 매개하는 상호 연관의 활동으로써 의미 있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 응급실 간호사의 도덕적 고뇌의 대응은 감정 중심의 수동적 대응으로 귀결되어졌다. 이는 사회적 환경 영향의 직•간접적 상호 관계로 기인한 것이다. 실질적 가치 윤리학의 측면에서 살펴보자면, 비록 감정 중심의 대응기전이 직접적으로 당면해있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지라도 이는 윤리적 주체의 독립성, 사회적 관계성, 세계성이 공동 행위 작용으로 도출한 고도의 이성적 행위연관 활동이다. 윤리적 활동 자체가 뚜렷한 정답이 없고 보편 선이라는 이상을 찾아가는 정신적 작용이라는 점을 전제한다면, 응급실 간호사의 도덕적 고뇌 활동은 실천적 존재의 주체적 활동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를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실천적 학문의 영역인 간호학에서 문제 해결을 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볼 수는 없다. 따라서 도덕적 고뇌에 대해 사회적 환경의 영향 하에서 수동적 감정 중심의 대응 기전을 보이고 있는 응급실 간호사들을 위해 사회적이고 조직적인 접근의 해결방안이 제언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간호 조직 내의 발전적 도덕 지향과 실질적 문제 해결 방식으로의 도약을 위해 체계적이고 개방된 토론 방식의 의사 소통 체계 구축과 윤리 교육 증설 및 도덕적 고뇌 해결을 위한 프로토콜 중재안 마련과 같은 조직적 지지 체계를 더욱 공고히 할 것을 제언하는 바이다.

 
목차
Ⅰ. 서론1
1. 연구의 필요성1
2. 연구의 목적 3
Ⅱ. 이론적 배경 4
1. 도덕적 고뇌와 대응기전 4
2. 실질적 가치 윤리와 간호 8
Ⅲ. 연구 방법 11
1. 연구설계 11
2. 연구대상 11
3. 연구질문 11
4. 자료수집방법 12
5. 연구 참여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 12
6. 자료분석 방법 13
7. 신뢰도와 타당도 14
Ⅳ. 연구결과 16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6
2. 응급실 간호사의 도덕적 고뇌의 대응 기전 17
Ⅴ. 논의 28
Ⅵ. 결론 및 제언 32
Ⅶ. 참고문헌 33



주제어
도덕적 고뇌, 응급실 간호사, 도덕적 고뇌 대응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33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윤리적 딜레마 사례에 대한 간호사의 의사결정 분석 / 김현경 2002  6156
32 18 인체실험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가치관과 윤리적 갈등문제에 관한 연구 / 안은숙 1994  4339
31 7 의료사회학 임상간호사의 동료 간 갈등극복 경험 / 배주영 2016  2410
30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 의식과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 / 최은숙 2015  1551
29 4 보건의료 철학 정신건강복지법 발효에 따른 정신전문간호사의 역할규명을 위한 직무분석 / 조분선 2018  1496
28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 임종간호 스트레스 및 임종간호태도와의 관계 / 김경숙 2016  1359
27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간호사 윤리에 관한 연구 / 유인철 2001  1219
26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와 윤리적 가치관 / 문정란 2013  1118
25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DNR환자 임종간호에 대한 스트레스, 태도 및 임종간호 수행 / 김미향 2016  1005
24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간호사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인식과 임종간호태도 /김경희 2016  876
23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임상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의식, 직무만족도 및 간호업무수행과의 관계 / 문미영, 전미경, 정애화 2013  841
22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좋은 죽음인식과 임종간호태도 / 안미숙, 이금재 2014  772
21 20 죽음과 죽어감 임상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정도와 안락사에 대한 태도 / 이윤정 2013  680
20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간호사의 죽음인식과 임종간호 태도 / 임선숙 2015  654
» 9 보건의료 응급실 간호사의 도덕적 고뇌 대응 경험 / 이나경 2016  649
18 4 보건의료 철학 중환자실 간호사의 심리적 외상(Trauma) 체험 / 고미숙 2016  582
17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인과 간호학생의 웰다잉 의미에 관한 주관성 연구 / 김선영, 허성순, 김분한 2014  580
16 9 보건의료 의료법상 위임입법의 한계 / 조재현 2015  512
15 18 인체실험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가치관에 대한 조사 연구 / 윤길자 1992  506
14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과 노인간호실천과의 관계 / 홍소형 외 2016  4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