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59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학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727460 

가계검색(Familial Search)의 법적 문제에 관한 연구
= A Legal Study on Familial Search


 
제어번호 100727460
저자명 이성기 ( Seon Gki Lee )
학술지명 法學硏究
권호사항 Vol.23 No.3 [2015] 
발행처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01-219(19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5년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한국학술정보

 
초록
가계검색은 용의자의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와 데이터베이스정보의 부분적 일치결과를 토대로 용의자의 친족을 확인하는 검색 기법이므로 그 유용성은 검색할 유전자 좌의 수, 검색기법에 따라 좌우된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해당 민족의 유전자 발현빈도 등에 대한 통계적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가계검색을 도입한 미국과 영국 등은 검색 대상 범죄와 요건, 부분일치 기준, 일치결과에 대한 공개 절차, 해당 정보를 이용한 친족 수사 방법 등 가계검색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 제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개인의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세부적인 지침,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현행 디엔이이법과 동법 시행령은 가계검색의 요건과 방법에 관한 구체적 기준, 관리감독 등에 관한 구체적 절차를 규정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가계검색 결과를 토대로 진행되는 수사과정에서의 정보의 노출을 통한 프라이버시 침해가능성은 매우 높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세부적인 기준과 절차, 수사에 관한 구체적 지침이 없이는 현재가 결정기준으로 삼는 수단의 적절성과 피해최소성의 원칙을 달성할 수 없다. 또한 가계검색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Y-STR겁사와 Y-STR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는 법제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Y-STR은 비단 가계검색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목적뿐만 아니라 성폭력사건에서 매우 중요하다. 현재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 행하는 20-30 건의 성폭력 증거물 중 약 10%에 해당하는 2-3 건에서 정자소실로 인해 일반적인 디엔에이분석이 불가능하여 Y-STR 검사가 필요한데 이를 위한 명확한 기준과 식별표지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또한 Y-STR 데이터베이스도 구축하고 있지 않아 검색의 실효성이 담보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선결조건이 충족될 때 가계검색이 허용된다고 보아야 한다. 요약하자면, 현행디엔에이법이 가계검색을 원천적으로 금지하고 있지는 않지만 그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보완책이 없는 상태에서 행하는 가계검색은 허용하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적법한 가계검색을 위한 구체적 기준과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이를 적어도 디엔에이법시행령에는 규정할 필요가 있다.


주제어
가계검색  ,디엔에이검색  ,디엔에이법  ,성유전자형  ,부분일치  ,Familial Search  ,DNA Analysis  ,DNA ACT  ,Y-STR  ,Partial Match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9
59 15 유전학 한국과 프랑스 생명과학교사들이 가지는 사람의 사회적 행동에 대한 유전자 결정론적 인식의 차이/서혜애 외 2018  116
58 15 유전학 인체 시료 및 유전자은행의 윤리ㆍ사회적 고찰 / 최은경 2008  117
57 15 유전학 마우스 난소에서 막융합 관련 유전자의 발현 / 정복해 외 2016  142
56 18 인체실험 줄기세포 기반 유전자치료 기술분야 특허분석을 통한 현황분석 및 시사점 도출 / 최호성 외 2013  145
55 15 유전학 유전자연구에 있어서 제기되는 관련 당사자의 기본권 / 김수갑 2011  168
54 15 유전학 뇌졸중에 대한 유전자 치료 연구 현황/이민형 2015  169
53 1 윤리학 첨단 생명의료과학에 근거한, 시체(屍體)의 민법상 지위 고찰 / 유지홍 2014  181
52 15 유전학 유전자치료법의 국가표준지침 제정에 관한 연구 / 남명진 1998  182
51 15 유전학 배아 유전자 치료 / 조은희 2017  192
50 15 유전학 인체 유래 물질의 재산권성에 관한 의료법학적 연구 / 이웅희 2009  201
49 15 유전학 뇌전증의 유전적 진단 / 이윤정 안주희 권순학 황수경 2016  201
48 15 유전학 DNA 정보의 주체 -시민 정체성의 새로운 구성 / 김지연 외 2016  203
47 15 유전학 GMO 연구 개발 상업화 동향/김태산 2018  205
46 15 유전학 장애 이해의 해석학적 구조화와 법/김나경 2015  209
45 15 유전학 로크의 사유재산권에 대한 비판적 접근을 통한 유전자특허 반대론 / 이재명 2018  209
44 12 낙태 낙태의 윤리에서 인격체 논변, 종의 원리, 그리고 생명의 권리 / 장동익 2018  215
43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기술에 대한 윤리적 대응 / 목광수 2017  226
42 15 유전학 유전자편집 작물의 개발 현황 및 농업생명공학기술의 국가 경쟁력 강화/ 이신우 2018  231
» 15 유전학 가계검색(Familial Search)의 법적 문제에 관한 연구 / 이성기 2015  235
40 15 유전학 기계학습을 통하여 암을 분류하는 유전자 집단 확인 / 임수정 2019  2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