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53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장애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890699 

장애여성의 경험과 관점으로 다시 제기하는 재생산권리
= A Suggestion of Reproductive Rights from the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of Women with disabilities


 
제어번호 101890699
저자명 나영정
학술지명 한국장애학
권호사항 Vol.1 No.1 [2016] 
발행처 한국장애학회 
발행처URL http://disabilitystudies.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65-98(34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6년
KDC 330


초록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재생산권리가 법, 정책, 의료, 문화적 차원에서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가에 관심을 가지면서, 특히 그동안 재생산권리의 주체로 여겨지지 못했던 장애여성의 경험을 통해 재생산권리의 정치적 의미와 사회적 맥락을 보고자 하였다. 한국사회에서는 그동안 국가 주도의 인구정책이 강하게 추진되어오면서 여성의 몸이 도구화되고, 경제성장과 국가발전을 위한 모자보건정책이 시행됨으로써 손상과 장애를 가진 이들의 생명이 국가로부터 경시되어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편, 강화되는 의료화와 유전자 기술의 발달 및 상품화는 ‘질 좋은 인구’에 대한 욕망을 개인화하고 사회적 불평등을 심화시킬 우려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국가로부터, 가족으로부터 재생산권리를 부정당하고 장애로 인한 차별을 경험하는 가운데서도 임신과 출산을 고민하고 실행하는 장애여성들의 경험과 관점은 재생산권리를 둘러싼 복잡한 권력과 맥락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페미니즘과 장애 정치의 교차를 통해서 재생산권리에 개입되는 젠더, 섹슈얼리티, 건강, 장애, 정상성 등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국가의 이해가 아니라 인권으로서 재생산권리를 다시 제기하기 위한 논의가 본격화되어야 한다.

 


 목차
1. 서론: 한국사회의 재생산권리와 장애여성의 삶
2. 연구 방법 및 선행 연구 검토
2.1 연구 방법과 과정
2.2 선행 연구 검토
3. 국가의 필요에서 여성의 요청으로
4. 취약한 존재이자 위협적인 존재: 장애여성
4.1 생리 안하는 수술을 거부하는 것도 성적 권리
4.2 애기보를 엎어서 와라
4.3 단호하게 제가 키우기로 결심했어요.
4.4 의료기술과 권력: 산전검사를 겪는 장애여성
4.5 소결
5. 결론: 페미니즘과 장애 정치의 결합을 통해서 해나갈 수 있는 것


주제어
재생산권  ,장애여성  ,페미니즘  ,모자보건법  ,인구정책  ,산전검사  ,Reproductive Rights  ,Women with Disabilities  ,Feminism  ,Mother and Child Health Act  ,Popluation Policy  ,Prenatal Screening Tes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53 9 보건의료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에 대한 범주 문헌고찰: 이론기반 실증연구 중심으로 / 고영곤 외 2018  105
52 17 신경과학 정신건강복지 관련 법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성중탁 2018  538
51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관련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이현아 외 2017  220
50 7 의료사회학 의료기술의 평가와 급여 결정 방향 / 박종연 2017  96
49 9 보건의료 국민의 적정 부담을 위한 비급여 관리 방향 / 공진선 2017  123
48 8 환자 의사 관계 보건의료법제 하에서 인공지능기술의 의료영역 도입의 의의와 법적 문제 / 배현아 2017  139
47 14 재생산 기술 임신·출산 지원 보건의료정책의 현황과 추진 방향 / 이소영 2017  283
46 9 보건의료 의사의 설명의무 범위와 보건의료적 제언 / 정창우 2017  82
45 12 낙태 낙태절차에 관한 미국 연방대법원 결정이 우리나라 낙태규제에 주는 시사점 / 오영인 2017  195
44 9 보건의료 트랜스젠더의 의료적 트랜지션과 의료서비스 이용 / 손인서 2017  280
43 24 기타 주제전문사서로서의 정신보건사서 양성 교육과정 개발 / 임성관 2017  182
42 1 윤리학 사회환경 변화에 따른 가족위기 특성과 정책과제 / 김유경 2017  185
41 17 신경과학 정신보건법 전면 개정에 따른 의료인 결격사유로서의 정신질환자의 법적 고찰 / 이세경 2017  295
40 9 보건의료 의료기관 빅데이터 품질관리의 필요성과 사례 분석 /최혜린 외 2017  309
39 9 보건의료 보건의료법학에 있어 역사적 연구방법 / 박지용 2017  119
38 9 보건의료 결핵환자의 인권향상을 위한 법적 고찰 / 이세경 2016  263
» 14 재생산 기술 장애여성의 경험과 관점으로 다시 제기하는 재생산권리 / 나영정 2016  277
36 15 유전학 국제 공공재의 특징을 갖는 유전체 의료 / 김한나 외 2016  369
35 9 보건의료 서울시 지역별 보건의료기관 이용요인 및 1차 의료기관 이용현황 분석 : 강남구와 강북구의 만성질환을 중심으로/ 조영훈 2016  249
34 9 보건의료 보건의료와 출산 간의 연계성에 관한 거시-미시 접근 / 김동식 외 2016  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