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59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사회역사학회 담론 201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903384 

DNA 정보의 주체 -시민 정체성의 새로운 구성
= The Subject of DNA Data: A New Construction of Citizen Identities


 
제어번호 101903384
저자명 김지연 ( Ji Yeon Kim )  , 조은희 ( Eun Hee Cho )
학술지명 담론 201(Discourse 201)
권호사항 Vol.19 No.2 [2016] 
발행처 한국사회역사학회 
발행처 URL http://home.hanil.ac.kr/~kahss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5-35(31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6년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판매처 한국학술정보

 
초록
유전자 검사는 실험실을 넘어 현실 속에서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상업적 유전자 검사와 범죄수사 목적의 DNA 프로파일링 사례를 통해 생명공학지식이 새로운 형태의 시민 정체성을 구성하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우리는 유전자 검사가 유전자 변이의 분포와 형질 사이의 관계망 속에서 유전자 지표로써형질을 예측하거나 개개인을 구별하는 특성이 있다는 것에 주목한다. 푸코의 근대권력 개념에서, 근대 시민이 인구 통계적 데이터의 배열들로 등장하는 것과 같다. 우리는 로즈의 개념에 따라서 유전정보에서 개인의 정체성을 찾으려는 사람들을 생물학적 시민이라 부를 것이다. 그들은 스스로 생명공학의 대상이 되기를 원한 자들이고, 동시에 생명공학이 가지고 있는 한계를 부담해야 하는 주체이기도 하다. 생명공학의 시대를 살아가는 생물학적 시민으로서 우리에게 어떠한 과제가 주어졌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다. 이 글에서는 그 질문의 방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왜 일반인이 전문가 보다 생명공학 지표를 더 ‘신뢰’하는 것일까? 그리고 일반인의 이해에 문제가 있다고 해서 단지 규제를 통해서 접근을 차단하는 방식은 만족스러운 것인가? 또한 생명공학 지표를 근거로 ‘비정상인’을 배제하는 사전 예방 해결책들은 항상 정당한가? 이런 질문들은 생물학적 시민의 윤리적 딜레마를 제기하며 이에 대한 사회적 성찰을 요구한다.


주제어
유전자 검사  , DNA 프로파일링  , DNA 정보  , 시민 정체성  , 생물학적 시민권  , Genetic Test  , DNA Profiling  , DNA Data  , Citizen Identity  , Biological Citizenship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59 15 유전학 기계학습을 통하여 암을 분류하는 유전자 집단 확인 / 임수정 2019  238
58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 기술의 윤리·법·사회 문제 해결방안 / 이수빈 2019  4272
57 15 유전학 GMO 연구 개발 상업화 동향/김태산 2018  205
56 15 유전학 한국과 프랑스 생명과학교사들이 가지는 사람의 사회적 행동에 대한 유전자 결정론적 인식의 차이/서혜애 외 2018  116
55 15 유전학 로크의 사유재산권에 대한 비판적 접근을 통한 유전자특허 반대론 / 이재명 2018  208
54 12 낙태 낙태의 윤리에서 인격체 논변, 종의 원리, 그리고 생명의 권리 / 장동익 2018  215
53 15 유전학 DTC(Direct-to-Consumer) 유전자검사의 정당성 구조와 법정책 / 김나경 2018  319
52 15 유전학 유전자 조작과 생명윤리<세상의 생명을 위하여> / 이향만 2018  365
51 15 유전학 인간 배아 유전자 편집 기술의 국외 규제 동향 및 시사점 / 이수빈, 김한나 2018  737
50 15 유전학 유전자편집 작물의 개발 현황 및 농업생명공학기술의 국가 경쟁력 강화/ 이신우 2018  231
49 15 유전학 유전자검사기술 확대에 따른 국내 유전자 프라이버시 침해의 제 문제/이보형 2017  308
48 15 유전학 의료윤리분야 유전기술의 발전에 따른 도덕적 정당성 논쟁에 대한 고찰/정창록 2017  491
47 16 환경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에 의한 비상동말단연결의 정확성 분석 /양소연 2017  735
46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기술에 대한 윤리적 대응 / 목광수 2017  226
45 15 유전학 배아 유전자 치료 / 조은희 2017  192
44 15 유전학 생명공학 시대의 유전자 조작 기술과 인간중심주의 비판 / 김광연 2016  3766
43 15 유전학 마우스 난소에서 막융합 관련 유전자의 발현 / 정복해 외 2016  142
» 15 유전학 DNA 정보의 주체 -시민 정체성의 새로운 구성 / 김지연 외 2016  203
41 15 유전학 뇌전증의 유전적 진단 / 이윤정 안주희 권순학 황수경 2016  201
40 15 유전학 공공 유전체 데이터베이스 확립 과정에 나타난 정보 공유와 사유화 사이의 긴장 / 조은희 2015  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