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0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간호과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852905 

생체 신장 공여자의 공여 후 적응 경험
= Adaptation Experience of Living Kidney Donors after Donation

 
 
제어번호 101852905
저자명 강다해솜(Kang, Da-Hai-Som)  ,양진향(Yang, Jinhyang)
학술지명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권호사항 Vol.46 No.2 [2016] 
발행처 한국간호과학회 
발행처URL http://www.kan.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71-282(12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6년
등재정보 KCI등재;SCIE;SSCI;SCOPUS
판매처 (주)누리미디어

 
초록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xplore adaptation experience of living kidney donors after donation. Specific aims were to identify challenges donors face in the process of adaptation following surgery and how they interact with recipients and other people. Methods: Grounded theory methodology was utilized. Participants were 13 living kidney donors at six months or more after donation.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with individual participants. Data were analyzed using constants comparative method with theoretical saturation. Results: A core category emerged as ‘keeping the fences of my family in spite of vulnerability’. The adaptation process after donation was manifested in four phases: exploration, balance, maintenance, and acclimatization. Phenomenon was perception of vulnerability. Strategies to manage the vulnerability were assessing changes of body awareness, tailoring regimen to one’s own body condition, coping with health problems, keeping restoration of health, and ruminating on the meaning of one’s kidney donation. Consequences were reestablishing family well-being, realizing the values of one’s kidney donation, and living with uncertainty. Conclusion: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 that there is a need for health professionals to understand the vulnerability of living kidney donors and help their family system maintain a healthy and productive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develop phase-specific, patient-centered, and tailored interventions for living kidney donors.

 
목차

서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결론


주제어
Organ transplantation  ,Living donors  ,Family  ,Adaptation  ,Qualitative research  ,장기이식  ,생체 공여자  ,가족  ,적응  ,질적 연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신장 공여자의 공여 후 적응 경험 / 강다해솜 외 2016  18231
29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 코디네이터의 직무분석 / 김형숙 외 2014  2008
28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의 수술 후 영양상태가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 하지수, 최스미 2013  1249
27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에서의 RNA간섭 치료법의 전망 / 김재영 2015  1225
26 19 장기 조직 이식 중국에서 신장 이식수술을 받은 환자의 임상 고찰 / 이태환 2007  905
25 19 장기 조직 이식 이종장기이식의 최신지견 / 윤익진 2016  778
24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수술을 받은 수여자에서 발생한 유방 병변의 영상 및 병리소견의 연관성 : 일반적인 섬유선종과 다른점 / 손은주 2001  776
23 19 장기 조직 이식 윌슨병 환아에서 이형 접합 보인자 공여간을 이용한 혈연간 생체 부분 간이식 / 김진택, 장수희, 최보화, 김경모, 유한욱, 이영주, 이승규 2003  628
22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간이식 공여자의 수술 전 이식간 용적과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영상학적 검사의 유용성 / 주만기 2007  585
21 19 장기 조직 이식 공여자의 종류에 따른 간이식 후 감염성 합병증의 비교 / 기현균, 손준성, 오원섭, 백경란, 이남용, 김성주, 조재원, 이석구, 송재훈 2004  500
20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여성의 임신과 출산 경험 / 하희선, 임경춘, 홍정자, 김인옥, 전미경, 정재심, 이순행, 손행미, 이명선, 이승규 2013  490
19 19 장기 조직 이식 조혈모세포이식에 관한 입법론적 연구 / 최행식, 송영민 2011  460
18 19 장기 조직 이식 성인 간이식 환자에서 신기능 이상의 빈도와 예후인자 / 김성균, 김형직, 이정표, 이상구, 김연수, 안규리, 한진석, 김성권, 이정상, 서경석 2003  448
17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의 현재 / 김홍진 2001  424
16 19 장기 조직 이식 사후(死後) 장기기증 : 증여와 희생제의의 관점에서 / 박정호 2011  420
15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부분 간 이식 수술에서 간 우엽 이식편에 대한 CT 용적 예측법의 관찰자간, 관찰자내 일치도와 정확성 / 이철승 2009  419
14 19 장기 조직 이식 응급 간이식의 준비 / 박지연 2016  418
13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과 장기기증 문화에 대한 검토 / 정화성 2013  389
12 19 장기 조직 이식 독일의 인체조직이식 법체계에 관한 고찰 / 손미숙 2015  373
11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공여신장이식에서 수혜자 및 공여자의 체형이 초기 이식신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최수윤 외 2004  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