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64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952752 

뇌과학 시대와 인지사회학



 
제어번호 101952752
저자명 차영화 
학술지명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권호사항 Vol.2016 No.6 [2016] 
발행처 한국사회학회 
발행처 URL http://www.ksa21.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622-627(6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6년
판매처 (주)누리미디어

 
초록
지난 3월 구글 딥마인드의 인공지능(AI)인 알파고와 이세돌의 바둑 대국이 이루어졌다. 결과는 4:1로 인공지능의 승리였다. 예상치 못한 결과에 대한 놀라움과 함께 인공지능과 그것을 가능하게 한 뇌과학이 만들 미래는 전 세계적인 이슈가 되었다. 이에 따라 한국 정부 역시 지난 5월 말, 2023년까지 3400억원을 뇌과학 분야에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 미국은 2014년부터 5조 5천억원을, 유럽은 2013년부터 1조 4천억원을 10여 년에 걸쳐 투자하기 시작했고, 일본과 중국 역시 브레인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IT조선, 2016/05/31).
이러한 전 세계적인 뇌 과학 열풍은 고도의 기술에 방점이 찍혀있는 듯 보인다. 하지만 사실 그 안에는 ‘인지혁명’이 전제로써 자리 잡고 있다. 인지혁명이란 생명체인 인간의 인지정보 처리방식과 인공물의 하나인 컴퓨터가 정보를 처리하는 것이 같은 종류의 체계로 이루어 졌다는 발상의 대전환을 말한다(이정모, 2012). 즉, 인간의 인지처리 방식의 비밀을 밝혀 이를 과학기술에 적용하였고 그러한 것들이 현재 우리가 쓰고 있는 컴퓨터, 인터넷 그리고 현재의 인공지능을 가능하게 했다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앞으로의 뇌과학 시대와 기술발전 역시 인간의 인지방식에 대한 비밀을 파악하는 것과 아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고도화 된 인공지능과 뇌과학 기술의 실생활에 대한 적용을 위해선 더 많은 인간의 인지체계에 대한 정보와 이해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결국 뇌과학 시대의 이슈는 인간의 인지에 대한 관심으로 회귀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인간의 인지체계는 결코 사회와 독립될 수 없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체화된 인지’를 중심으로 인간의 인지체계와 사회와의 연결성을 제시하고, 이에 대해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인지사회학의 흐름을 서술함으로써 뇌 과학 시대의 사회학의 역할을 이야기 해보고자 한다.

 
목차
1. 체화된 인지와 사회
2. 인지사회학(Cognitive Sociology)의 흐름
3. 뇌과학 시대와 사회학
 

주제어
인지사회학  ,뇌과학  ,체화된 인지  ,신경윤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44 13 인구 저출산에 따른 국가의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 정연숙 2006  374
43 9 보건의료 고령화 사회와 간병범죄 / 이철호 2016  430
42 12 낙태 연구논문 : 낙태에 대한 태도와 종교: 한국, 일본, 미국, 필리핀 국제비교분석 / 김상욱 외 2015  1834
41 20 죽음과 죽어감 환경윤리학에서의 사회생물학적 접근의 한계와 가능성 / 노희정 2012  253
40 20 죽음과 죽어감 유비쿼터스시대의 윤리적 행동에 관한 연구 : 과학기술문명사회의 공유와 감시체제를 중심으로 / 이지향 2015  210
39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 수혜자의 가족 및 의료인 지지와 희망이 사회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김옥수 외 2016  232
» 17 신경과학 뇌과학 시대와 인지사회학 / 차영화 2016  586
37 9 보건의료 위험사회와 관료책임 / 김병섭 외 2016  208
36 9 보건의료 한국의 메르스 사태는 어떻게 정치화되었는가? / 장경은 외 2016  168
35 9 보건의료 환자의 안전과 환자안전법제에 관한 고찰 / 신은주 2015  229
34 1 윤리학 노인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 김충묵 외 2016  2537
33 1 윤리학 연구논문 : 노인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 김충묵 외 2016  573
32 1 윤리학 일본 개정 행정불복심사법에 관한 고찰 -공정성과 준사법절차를 중심으로- / 박웅광 2016  324
31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자가간호이행, 사회적 지지, 생리학적 지표 / 김현경 2013  372
30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이식 스트레스와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함아름 2012  355
29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 가족의 삶의 질 영향요인 / 김소영 2016  243
28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자가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정현정 2015  248
27 19 장기 조직 이식 심장이식 수혜자의 이식 후 사회적지지, 우울 및 건강상태 / 박병준 2012  479
26 18 인체실험 스포츠사회과학 연구에서 생명윤리의 문제: IRB의 적용 / 김동규 외 2015  443
25 1 윤리학 현대 사회에서 정의감의 문제/고현범 2014  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