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2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952752 

뇌과학 시대와 인지사회학



 
제어번호 101952752
저자명 차영화 
학술지명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권호사항 Vol.2016 No.6 [2016] 
발행처 한국사회학회 
발행처 URL http://www.ksa21.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622-627(6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6년
판매처 (주)누리미디어

 
초록
지난 3월 구글 딥마인드의 인공지능(AI)인 알파고와 이세돌의 바둑 대국이 이루어졌다. 결과는 4:1로 인공지능의 승리였다. 예상치 못한 결과에 대한 놀라움과 함께 인공지능과 그것을 가능하게 한 뇌과학이 만들 미래는 전 세계적인 이슈가 되었다. 이에 따라 한국 정부 역시 지난 5월 말, 2023년까지 3400억원을 뇌과학 분야에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 미국은 2014년부터 5조 5천억원을, 유럽은 2013년부터 1조 4천억원을 10여 년에 걸쳐 투자하기 시작했고, 일본과 중국 역시 브레인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IT조선, 2016/05/31).
이러한 전 세계적인 뇌 과학 열풍은 고도의 기술에 방점이 찍혀있는 듯 보인다. 하지만 사실 그 안에는 ‘인지혁명’이 전제로써 자리 잡고 있다. 인지혁명이란 생명체인 인간의 인지정보 처리방식과 인공물의 하나인 컴퓨터가 정보를 처리하는 것이 같은 종류의 체계로 이루어 졌다는 발상의 대전환을 말한다(이정모, 2012). 즉, 인간의 인지처리 방식의 비밀을 밝혀 이를 과학기술에 적용하였고 그러한 것들이 현재 우리가 쓰고 있는 컴퓨터, 인터넷 그리고 현재의 인공지능을 가능하게 했다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앞으로의 뇌과학 시대와 기술발전 역시 인간의 인지방식에 대한 비밀을 파악하는 것과 아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고도화 된 인공지능과 뇌과학 기술의 실생활에 대한 적용을 위해선 더 많은 인간의 인지체계에 대한 정보와 이해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결국 뇌과학 시대의 이슈는 인간의 인지에 대한 관심으로 회귀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인간의 인지체계는 결코 사회와 독립될 수 없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체화된 인지’를 중심으로 인간의 인지체계와 사회와의 연결성을 제시하고, 이에 대해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인지사회학의 흐름을 서술함으로써 뇌 과학 시대의 사회학의 역할을 이야기 해보고자 한다.

 
목차
1. 체화된 인지와 사회
2. 인지사회학(Cognitive Sociology)의 흐름
3. 뇌과학 시대와 사회학
 

주제어
인지사회학  ,뇌과학  ,체화된 인지  ,신경윤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42 5 과학 기술 사회 21세기 과학기술법의 과제 / 손경한, 박진아 2007  6795
41 17 신경과학 뉴로마케팅(Neuromarketing)의 윤리적 문제 분석 / 추병완 2014  1440
40 14 재생산 기술 장애여성의 재생산 경험 : 재생산 정치의 관점에서 / 황지성 2011  649
39 14 재생산 기술 생명공학기술 시대의 장애와 재생산 : ‘선택권’과 ‘생명권’을 넘어 재생산의 정치로 / 황지성 2014  627
38 5 과학 기술 사회 위험사회와 과학기술윤리 -생명공학을 중심으로 / 김환석 2006  612
37 18 인체실험 과학 보도 실패에 대한 ANT 사례 분석 / 이충환 2013  596
» 17 신경과학 뇌과학 시대와 인지사회학 / 차영화 2016  586
35 5 과학 기술 사회 동아시아 생명과학의 발전과 바이오시민권의 형성가능성 / 김기흥 2012  526
34 22 동물복지 동물윤리와 과학적 창의성 사이의 정합적 관계 : 동물행동학을 중심으로 / 하대청 2009  490
33 18 인체실험 대학 생명윤리위원회의 심의 기준에 관한 연구- 미국의 Common Rule과 미국 대학의 표준운영지침상 기준을 중심으로/김시형, 추정완 2015  455
32 18 인체실험 스포츠사회과학 연구에서 생명윤리의 문제: IRB의 적용 / 김동규 외 2015  443
31 1 윤리학 생명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른 형사입법의 회고와 전망 / 이인영, 김성천 2007  426
30 5 과학 기술 사회 지구적 생명정치와 위험의 개인화 : OIE의 BSE 위험 관리를 중심으로 / 하대청 2013  423
29 21 생물학 의학 국제적 관점 과학 거버넌스와 과학 시민권: 이론적 검토 / 정인경 2015  361
28 1 윤리학 이항녕 선생과 법과 도덕 : 생명윤리법을 중심으로 / 이인영 2013  338
27 2 생명윤리 생명: 과학과 윤리 사이 /박은정 2015  338
26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 규제·진흥의 딜레마와 정책변동에 관한 연구 / 김인자 2016  338
25 17 신경과학 뇌 과학의 관점에서 본 배아의 생명권 / 유경동 2014  335
24 14 재생산 기술 난자제공 여성의 보호관점에서 본 난자채취 손해배상 청구소송 / 김현아 2015  324
23 2 생명윤리 생명과학과 생명윤리 및 법/주호노 2017  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