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37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952752 

뇌과학 시대와 인지사회학



 
제어번호 101952752
저자명 차영화 
학술지명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권호사항 Vol.2016 No.6 [2016] 
발행처 한국사회학회 
발행처 URL http://www.ksa21.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622-627(6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6년
판매처 (주)누리미디어

 
초록
지난 3월 구글 딥마인드의 인공지능(AI)인 알파고와 이세돌의 바둑 대국이 이루어졌다. 결과는 4:1로 인공지능의 승리였다. 예상치 못한 결과에 대한 놀라움과 함께 인공지능과 그것을 가능하게 한 뇌과학이 만들 미래는 전 세계적인 이슈가 되었다. 이에 따라 한국 정부 역시 지난 5월 말, 2023년까지 3400억원을 뇌과학 분야에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 미국은 2014년부터 5조 5천억원을, 유럽은 2013년부터 1조 4천억원을 10여 년에 걸쳐 투자하기 시작했고, 일본과 중국 역시 브레인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IT조선, 2016/05/31).
이러한 전 세계적인 뇌 과학 열풍은 고도의 기술에 방점이 찍혀있는 듯 보인다. 하지만 사실 그 안에는 ‘인지혁명’이 전제로써 자리 잡고 있다. 인지혁명이란 생명체인 인간의 인지정보 처리방식과 인공물의 하나인 컴퓨터가 정보를 처리하는 것이 같은 종류의 체계로 이루어 졌다는 발상의 대전환을 말한다(이정모, 2012). 즉, 인간의 인지처리 방식의 비밀을 밝혀 이를 과학기술에 적용하였고 그러한 것들이 현재 우리가 쓰고 있는 컴퓨터, 인터넷 그리고 현재의 인공지능을 가능하게 했다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앞으로의 뇌과학 시대와 기술발전 역시 인간의 인지방식에 대한 비밀을 파악하는 것과 아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고도화 된 인공지능과 뇌과학 기술의 실생활에 대한 적용을 위해선 더 많은 인간의 인지체계에 대한 정보와 이해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결국 뇌과학 시대의 이슈는 인간의 인지에 대한 관심으로 회귀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인간의 인지체계는 결코 사회와 독립될 수 없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체화된 인지’를 중심으로 인간의 인지체계와 사회와의 연결성을 제시하고, 이에 대해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인지사회학의 흐름을 서술함으로써 뇌 과학 시대의 사회학의 역할을 이야기 해보고자 한다.

 
목차
1. 체화된 인지와 사회
2. 인지사회학(Cognitive Sociology)의 흐름
3. 뇌과학 시대와 사회학
 

주제어
인지사회학  ,뇌과학  ,체화된 인지  ,신경윤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57 15 유전학 국내 유전자은행 관련 법률 및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이정념, 최경석 2008  645
256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도덕성에 관한 연구 / 김혜진 2000  645
255 18 인체실험 한국의 연구중심병원을 위한 인체 조직 관리체계 연구 / 유영준 2012  641
254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에 있어 Informed Consent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와 영국의 동의 체계 및 동의 서식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 / 김은애 2012  636
253 18 인체실험 국내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IRB)의 현황과 문제점 / 이준석 외 2006  634
252 20 죽음과 죽어감 고독사에 관한 법과 윤리적 쟁점 / 권혁남 2013  630
251 18 인체실험 인간배아복제의 연구윤리에 관한 연구 / 장선아 2007  625
250 23 연구윤리 연구윤리 및 규정 준수를 위한 익명화 시스템 개발과 타당성 검증 / 유용만 2014  613
249 5 과학 기술 사회 위험사회와 과학기술윤리 -생명공학을 중심으로 / 김환석 2006  612
248 9 보건의료 신종 감염병 대응에 대한 의료인의 윤리인식 : 메르스 대응을 중심으로 / 박혜자 2016  610
247 20 죽음과 죽어감 병원윤리위원회 표준운영지침 개발 : 해외사례를 중심으로 / 박인경, 박지용, 손명세, 이일학 2011  609
246 1 윤리학 덕의 함양과 실천에 관한 연구 : 현대 윤리문화의 새로운 패러다임, 맥킨타이어의 덕 윤리를 중심으로 / 남경부 2008  606
245 1 윤리학 미국의 생명공학연구 규제입법의 헌법적 함의 / 이상경 2013  599
244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 윤리에서의 환자의 권리에 관한 연구 / 송현미 2000  595
243 12 낙태 임신중절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목진수 2014  593
» 17 신경과학 뇌과학 시대와 인지사회학 / 차영화 2016  586
241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프라이버시 및 정보보호의 법적 근거 고찰 / 박지용 2012  575
240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대상자 보상에 관한 윤리 / 허정윤 2015  575
239 17 신경과학 상담심리학의 현재와 미래과제 /이상민 외 2018  572
238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생명의료윤리학적 고찰 / 주홍덕 1997  5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