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952752 

뇌과학 시대와 인지사회학



 
제어번호 101952752
저자명 차영화 
학술지명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권호사항 Vol.2016 No.6 [2016] 
발행처 한국사회학회 
발행처 URL http://www.ksa21.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622-627(6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6년
판매처 (주)누리미디어

 
초록
지난 3월 구글 딥마인드의 인공지능(AI)인 알파고와 이세돌의 바둑 대국이 이루어졌다. 결과는 4:1로 인공지능의 승리였다. 예상치 못한 결과에 대한 놀라움과 함께 인공지능과 그것을 가능하게 한 뇌과학이 만들 미래는 전 세계적인 이슈가 되었다. 이에 따라 한국 정부 역시 지난 5월 말, 2023년까지 3400억원을 뇌과학 분야에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 미국은 2014년부터 5조 5천억원을, 유럽은 2013년부터 1조 4천억원을 10여 년에 걸쳐 투자하기 시작했고, 일본과 중국 역시 브레인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IT조선, 2016/05/31).
이러한 전 세계적인 뇌 과학 열풍은 고도의 기술에 방점이 찍혀있는 듯 보인다. 하지만 사실 그 안에는 ‘인지혁명’이 전제로써 자리 잡고 있다. 인지혁명이란 생명체인 인간의 인지정보 처리방식과 인공물의 하나인 컴퓨터가 정보를 처리하는 것이 같은 종류의 체계로 이루어 졌다는 발상의 대전환을 말한다(이정모, 2012). 즉, 인간의 인지처리 방식의 비밀을 밝혀 이를 과학기술에 적용하였고 그러한 것들이 현재 우리가 쓰고 있는 컴퓨터, 인터넷 그리고 현재의 인공지능을 가능하게 했다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앞으로의 뇌과학 시대와 기술발전 역시 인간의 인지방식에 대한 비밀을 파악하는 것과 아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고도화 된 인공지능과 뇌과학 기술의 실생활에 대한 적용을 위해선 더 많은 인간의 인지체계에 대한 정보와 이해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결국 뇌과학 시대의 이슈는 인간의 인지에 대한 관심으로 회귀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인간의 인지체계는 결코 사회와 독립될 수 없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체화된 인지’를 중심으로 인간의 인지체계와 사회와의 연결성을 제시하고, 이에 대해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인지사회학의 흐름을 서술함으로써 뇌 과학 시대의 사회학의 역할을 이야기 해보고자 한다.

 
목차
1. 체화된 인지와 사회
2. 인지사회학(Cognitive Sociology)의 흐름
3. 뇌과학 시대와 사회학
 

주제어
인지사회학  ,뇌과학  ,체화된 인지  ,신경윤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608 15 유전학 희귀 미토콘드리아성 유전병에 대한 핵과 미토콘드리아 유전체로부터의 원인 돌연변이 규명 / 박지훈 2014  582
607 9 보건의료 모바일 헬스케어에 대한 일반인과 의료인의 인식 차이 연구 / 안세은 2019  582
606 12 낙태 헌법재판소의 낙태결정(2010헌바402)에 대한 헌법적 검토 / 정철 2013  583
605 19 장기 조직 이식 설문조사를 통한 생체 신장 공여자의 기증 후 건강상태와 건강증진 생활방식 / 남민경, 이두인, 권오정 2014  583
604 9 보건의료 로봇수술을 담당하는 간호사의 직무 인식 / 김혜원 2017  583
603 14 재생산 기술 ‘세 부모 아이’ 대 ‘세 사람 아이’/하대청,차승현,김근,이연호,백수진,김명희 2015  584
602 14 재생산 기술 난임부부 지원제도 개선 방안 /이서영 2013  585
601 8 환자 의사 관계 형법상 자기결정권에 관한 연구 / 이얼 2013  585
600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간이식 공여자의 수술 전 이식간 용적과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영상학적 검사의 유용성 / 주만기 2007  585
599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에서 결의론의 재조명 : 앨버트 존슨의 온건한 결의론을 중심으로 / 김시형 2013  586
» 17 신경과학 뇌과학 시대와 인지사회학 / 차영화 2016  586
597 20 죽음과 죽어감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죽음 인지에 관한 탐색 연구/강형구, 윤성민 2015  587
596 13 인구 프랑스의 저출산 문제 해소 요인 / 이문숙 2016  588
595 9 보건의료 2016년 보험소비자 설문조사 / 보험연구원 2016  588
594 14 재생산 기술 원저 : 한국의 보조생식술을 시행 받은 불임환자들의 상담실태에 대한 조사 / 김라현 외 7인 2011  589
593 20 죽음과 죽어감 법조계, 의료계, 종교계의 안락사에 대한 인식수준의 차이 및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 김수정 2007  589
592 15 유전학 소비자 직접의뢰(Direct-to-Consumer, DTC) 유전자검사 서비스의 현황과 정책 방향/ 황서현, 김경철 2018  589
591 9 보건의료 국제보건규칙(2005)상의 전염병 통제 보건조치와 인권의 보호 / 박진아 2012  590
590 8 환자 의사 관계 의과대학생의 실습할 권리와 환자의 개인 보호 / 김현주, 허정식 2013  591
589 9 보건의료 무엇이 과잉진료를 부추기는가?: 과잉진료의 원인 고찰과 대책 / 박석건 외 2016  5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