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17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철학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961460 

칸트의 윤리학에 나타난 인간 존엄성의 근거와 보편 가능성으로서의 도덕법칙의 요청


  
 
제어번호 101961460
저자명 김광연 
학술지명 哲學硏究(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권호사항 Vol.138 No.- [2016] 
발행처 대한철학회 
발행처 URL http://www.sophia.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30(30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6년
KDC 151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교보문고

 
초록
칸트는 어느 사상가들보다 ‘인간학’에 집중하고, ‘인간 존엄성’을 집대성한 철학자 중에 한 사람이었다. 그는 인간 존중의 윤리학을 통해 인간 존엄성의 끈거를 찾기 시 작했다 칸트는 인간을 단지 수단으로서가 아년 항상 목적으로 대우하라고 했다 인간 존엄성은 ‘선험적으로’ 획득되어지지만, 그것을 지켜 나가기 위해서는 인간다움의 목표 곧, 인간이 스스로 만든 도덕법칙을 준수해야 했다. 칸트는 언제나 항상 지켜야 할 ‘보편법칙의 정식’ 을 제시하고 있다 이보편타당한 법칙은 ‘정언명법’의 형식으로서 이성적 인간이라면 마땅히지켜야할 덕목으로도 이해된다. 인간은 존엄한 존재로서 태어나지만 그렇다고 존엄한 가치 를 영원히 보존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칸트에게 인간은 ‘인격체로서의 인간’, 즉 도덕적이고 동시에 실천적인 이성의 주체로서 행위 할 때, 비로소 그 인간이 존엄한 대우를 받을 수 있었다. 이 글에서는 칸트의 ‘인간론’에 대한 이해를 시작으로 인간 존엄성의근거 를 밝히고, 인간 존엄성은 보편타당한 도덕법칙과의 매우 밀접한 관련성 이 있음을 제시 할 것이다 그리고 그 도덕법칙은 인간 존엄성을 실현하는데 꼭 필연적으로 요청되어진다는 것도 논의할 것 이다 칸트의 보편타당한 윤리 이론이 현대 생명공학 시대에 틀어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생명공학 시대에 그의 윤리 이론은 ‘보편타당한 원칙’에 입각하기 때문에 인간생명을 다루는 영역에서는 제한될 수밖에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인간존중의 윤리가 가진 함의는 분명 있어 보인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칸트가 제시한 ‘보편법칙 ’ 즉 보편화 가능성으로서의 윤리에 대한 특정과 한계를 제시하고, 현대 생명리에 나타난 개별적이고 특수적인 사례 를 통해 칸트 윤리학의 한계를 극복하고 생명공학시대에 필요한 양보와 소통이 가능한 실천윤리를 제시할 것이다



주제어
인간 존엄성  ,정언명법  ,내적인 자유  ,이성적 존재자  ,생명윤리  ,통섭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97 18 인체실험 세계 각국의 인간 배아줄기세포주 분석 및 이용 연구 현황 / 정주원 외 2012  148
96 18 인체실험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동결에 이용되는 동결방지제에 대한 연구 / 정주원 외 2013  150
95 18 인체실험 인간 배아줄기세포와 인간 역분화줄기세포의 유전체 수준 비교 / 백진아 외 2013  139
94 18 인체실험 미분화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동정을 위한 특성분석 방법 / 태지윤 외 2013  362
93 18 인체실험 인간 배아줄기세포 배양에서 마이코플라즈마 오염 시 제거를 위한 연구 / 윤보애 외 2014  390
92 18 인체실험 인간배아복제 연구에 관한 헌법학적 고찰 / 민경식 외 2014  936
91 18 인체실험 임상등급 인간 배아줄기세포주 확립 연구 동향 / 설혜원 외 2014  316
90 18 인체실험 배아복제 기술의 윤리적 문제와 줄기세포 연구의 한계 / 김광연 2015  2233
89 18 인체실험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Non-coding RNAs의 기능 / 백진아 외 2015  107
88 18 인체실험 인체유래물의 법적 지위에 대한 인격적 측면에서의 고찰 -인격성의 본체로서 DNA의 성격을 중심으로- / 유지홍 2015  237
87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과 노인간호실천과의 관계 / 홍소형 외 2016  482
86 12 낙태 생명권에 관한 헌법적 논의 / 김민우 2013  527
85 14 재생산 기술 인공자궁과 그 법적 함의 - 이 특수한 가정적 현실을 둘러싼 법적 접근을 위하여 / 안성준 2016  621
84 15 유전학 인간유전체 연구와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 방안 / 정창록 2015  321
83 15 유전학 국제 사회에서 유전체 의료의 지적재산권 연구 / 김한나 2015  330
82 15 유전학 인간 유전체에 관한 윤리 교육 연구 / 정은경 2004  140
81 1 윤리학 과학기술시대에서 새로운 윤리학 근거짓기 / 이재성 2011  200
80 20 죽음과 죽어감 환경윤리학에서의 사회생물학적 접근의 한계와 가능성 / 노희정 2012  253
» 1 윤리학 칸트의 윤리학에 나타난 인간 존엄성의 근거와 보편 가능성으로서의 도덕법칙의 요청 / 김광연 2016  2006
78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철학에서 에디트 슈타인 사상의 의미 연구 - 죽음과 죽어감 그리고 사랑과 비움의 영성을 중심으로 - / 이은영 2015  5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