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60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철학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961460 

칸트의 윤리학에 나타난 인간 존엄성의 근거와 보편 가능성으로서의 도덕법칙의 요청


  
 
제어번호 101961460
저자명 김광연 
학술지명 哲學硏究(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권호사항 Vol.138 No.- [2016] 
발행처 대한철학회 
발행처 URL http://www.sophia.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30(30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6년
KDC 151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교보문고

 
초록
칸트는 어느 사상가들보다 ‘인간학’에 집중하고, ‘인간 존엄성’을 집대성한 철학자 중에 한 사람이었다. 그는 인간 존중의 윤리학을 통해 인간 존엄성의 끈거를 찾기 시 작했다 칸트는 인간을 단지 수단으로서가 아년 항상 목적으로 대우하라고 했다 인간 존엄성은 ‘선험적으로’ 획득되어지지만, 그것을 지켜 나가기 위해서는 인간다움의 목표 곧, 인간이 스스로 만든 도덕법칙을 준수해야 했다. 칸트는 언제나 항상 지켜야 할 ‘보편법칙의 정식’ 을 제시하고 있다 이보편타당한 법칙은 ‘정언명법’의 형식으로서 이성적 인간이라면 마땅히지켜야할 덕목으로도 이해된다. 인간은 존엄한 존재로서 태어나지만 그렇다고 존엄한 가치 를 영원히 보존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칸트에게 인간은 ‘인격체로서의 인간’, 즉 도덕적이고 동시에 실천적인 이성의 주체로서 행위 할 때, 비로소 그 인간이 존엄한 대우를 받을 수 있었다. 이 글에서는 칸트의 ‘인간론’에 대한 이해를 시작으로 인간 존엄성의근거 를 밝히고, 인간 존엄성은 보편타당한 도덕법칙과의 매우 밀접한 관련성 이 있음을 제시 할 것이다 그리고 그 도덕법칙은 인간 존엄성을 실현하는데 꼭 필연적으로 요청되어진다는 것도 논의할 것 이다 칸트의 보편타당한 윤리 이론이 현대 생명공학 시대에 틀어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생명공학 시대에 그의 윤리 이론은 ‘보편타당한 원칙’에 입각하기 때문에 인간생명을 다루는 영역에서는 제한될 수밖에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인간존중의 윤리가 가진 함의는 분명 있어 보인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칸트가 제시한 ‘보편법칙 ’ 즉 보편화 가능성으로서의 윤리에 대한 특정과 한계를 제시하고, 현대 생명리에 나타난 개별적이고 특수적인 사례 를 통해 칸트 윤리학의 한계를 극복하고 생명공학시대에 필요한 양보와 소통이 가능한 실천윤리를 제시할 것이다



주제어
인간 존엄성  ,정언명법  ,내적인 자유  ,이성적 존재자  ,생명윤리  ,통섭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60 2 생명윤리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구성 및 운영의 개선방안 / 이인영 2006  107
159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소통(疏通)의 문제 : 황우석 스캔들에서 얻은 교훈/맹광호 2007  107
158 2 생명윤리 생명윤리에서의 '자율성'에 대한 이해 / 김광태 2015  113
157 2 생명윤리 중등 도덕과 생명의료윤리교육에 대한 비판적 검토/김상돈 2006  114
156 15 유전학 인체 시료 및 유전자은행의 윤리ㆍ사회적 고찰 / 최은경 2008  117
155 18 인체실험 인체유래물의 이용과 형사법적 규제 / 최민영 2018  117
154 20 죽음과 죽어감 [특별기고] 생명말기에 관한 논쟁과 인격주의 생명윤리/곤잘로 미란다 2016  118
153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적 결정'에 대한 윤리적 정당성의 근거 / 정재우 2015  121
152 2 생명윤리 [시론] 생명의 가치와 삶의 질/정재우 2016  131
151 18 인체실험 황우석 사태 이후 서울대 IRB / 서이종 2015  135
150 1 윤리학 건강인 대상 Direct to Consumer Genetic Test의 사회적·윤리적 쟁점 (2015 수정논문) / 김수정 2013  144
149 1 윤리학 일본 생명윤리법제의 현황 : 가톨릭적 관점에서 / 정종휴 2015  152
148 20 죽음과 죽어감 [논고] 이른바 '죽을 권리'는 '죽일 권리'인가/윤성혜 2016  152
147 2 생명윤리 2014년 미국 생명윤리와 인문학 학회 컨퍼런스 참관기 / 김수정 2015  153
146 1 윤리학 원불교적 관점에서 본 생명윤리쟁점 고찰 / 김은숙 2014  157
145 2 생명윤리 미국 생명의료윤리학의 최근 동향 / 엄영란 2001  171
144 2 생명윤리 생명윤리법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김현철 2016  176
143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마지막 단계 / 박충구 2015  182
142 20 죽음과 죽어감 장기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태도/김근면 2017  182
141 5 과학 기술 사회 미토콘드리아 대체 기술 적용의 윤리적·법적 문제 / 배현아 2017  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