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37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중앙대학교 건강간호대학원 : 글로벌간호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021883 

신종 감염병 대응에 대한 의료인의 윤리인식 : 메르스 대응을 중심으로


 
기타서명 Ethical awareness of healthcare providers on responding to pandemic influenza :

              focused on Middle East respiratory symptom
저자 박혜자
형태사항 iv, 56장 : 삽화 ; 26 cm
일반주기 지도교수: 이옥철
              참고문헌수록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중앙대학교 건강간호대학원 : 글로벌간호전공 2016. 2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6
소장기관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중앙도서관

 
 
초록
2015년 중동호흡기증후군을 경험한 이후 국내 감염병 예방관리와 중동호흡기 증후군 대응상의 문제점에 대한 연구가 발표되고 있으나 신종 감염병대응에 참여한 의료인의 윤리적 고려사항에 대한 인식과 윤리적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바, 이에 연구를 수행하였다.
2015년 10월 19일부터 10월 29일까지 서울 소재 대형병원 5개 병원 의료진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배부한 250부 중 227부(회수율 94.8%)가 본 연구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R version 3.2.1(2015-4-16)을 이용한 Cronbach’s α,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Linear logistic Regression을 통해 분석하였다.
설문도구는 김정아(2011)의 도구와 국제보건기구의 지침을 바탕으로 수정 보완하였으며, 일반적 특성, 신종 감염병 관련 경험적 특성, 신종 감염병에 대한 인식, 윤리적 고려사항에 대한 인식, 윤리적 의사결정의 5개 범주로 구성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도구의 신뢰도는 보통이상의 수준이었다(Cronbach’s α = 0.591, 0.599).
연구대상자는 여성이 188명(82.8%)이었으며, 30대가 119명으로 가장 많았다. 직종은 간호사가 198명(87%)로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신종 감염병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는 신종 감염병의 발생 가능성(3.89점)과 심각도(4.00점)가 높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리적 고려사항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는 ‘의료인 보호를 위한 윤리적 지침 마련(4.02)’과 ‘정보 제공을 받을 권리 보장(4.37)’, ‘보호받을 수 있는 근무조건(4.37점)’에 대해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의무적 업무 배정에 대한 불만을 제기할 권리(2.65점)’에 대해서는 비교적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윤리인식과 윤리적 의사결정의 차이는 대체로 연령과 경력이 많아질수록 인식의 수준이 높았으며, 소속기관에 따라서 각 윤리적 고려 사항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유의하게 영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속기관이 메르스 환자를 수용한 경우, ‘보호장비에 의한 보호받는 근무조건(p<0.01)’, ‘정보를 제공 받을 권리(p<0.01)’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윤리적 의사결정의 예측인자 분석에서 ‘자율성 존중’과 ‘선행의 원칙’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인자가 있었으나, 유의수준이 높지 않았으며(p<0.05), ‘악행금지의 원칙’과 ‘정의의 원칙’에 영향 미치는 인자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의료인들은 가까운 미래에 신종 감염병이 발생할 것이며, 심각도가 높을 것으로 예측하는 반면 현재까지의 대응능력은 미흡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정확한 정보와 윤리지침 개발에 대한 요구를 표출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2015년 메르스 이후 감염병 대응에 직접 참여한 의료인을 대상으로 진행된 신종 감염병 대응 관련 윤리인식과 윤리적 의사결정에 대한 영향요인을 찾고자 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의료인의 신종 감염병 대응 역량강화 및 관리 대책 수립의 기초자료로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향후, 메르스 환자를 담당하였던 의료인의 경험을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도구개발과 신종 감염병 확산 시 의료인의 윤리지침을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게 개발할 것을 제언한다.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Ⅴ. 논 의
Ⅵ. 결론 및 제언



주제어
신종 감염병, 의료인, 윤리인식, 메르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57 17 신경과학 나바에즈의 신경도덕교육 이론에 대한 평가 / 추병완 2016  318
256 1 윤리학 칸트의 윤리학에 나타난 인간 존엄성의 근거와 보편 가능성으로서의 도덕법칙의 요청 / 김광연 2016  2015
255 4 보건의료 철학 의학교육에서의 의료윤리 교육방법 / 김옥주 2016  110
254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 윤리의식 교육 / 김선영 2016  90
» 9 보건의료 신종 감염병 대응에 대한 의료인의 윤리인식 : 메르스 대응을 중심으로 / 박혜자 2016  610
252 19 장기 조직 이식 인체유래물 기증자의 동의 및 동의철회의 법적 문제 / 이한주 2016  348
251 9 보건의료 환자안전법과 임상윤리에 관한 고찰 / 박재훈 2015  219
250 15 유전학 한국의 인간 유전체 연구에 있어 개인 프라이버시권과 국제데이터공유원칙 적용의 문제점 / 김한나 외 2015  306
249 18 인체실험 국내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IRB)의 현황과 문제점 / 이준석 외 2006  634
248 18 인체실험 스포츠사회과학 연구에서 생명윤리의 문제: IRB의 적용 / 김동규 외 2015  443
247 18 인체실험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운영현황 실태분석 및 개선안 모색 / 김병수 2008  205
246 18 인체실험 생명윤리및안전에관한법률과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체계 / 조홍석 2014  470
245 18 인체실험 웨스턴 연구윤리심의위원회의 특성 / 신희영 2007  129
244 18 인체실험 연구윤리에서 다루어지는 위험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연구심의과정상의 위험 / 남수진 외 2015  242
243 18 인체실험 IRB 전문인력양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 수요자 요구 분석 / 김난희 2015  413
242 18 인체실험 공동임상연구윤리위원회(공동IRB) 설립과 초기 운영과정에서의 협력 거버넌스 - 대구공동IRB 사례 / 김향미 2015  699
241 18 인체실험 초등 생명윤리 교육을 위한 모의 IRB 수업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 피험자 설명서를 중심으로 / 장혜림 2011  302
240 18 인체실험 IRB 심의 운영에 대한 분석 : 2013년 세브란스병원 IRB 심의를 바탕으로 / 노양희 2015  730
239 18 인체실험 학과 연구심의위원회(DRB)의 설립 및 운영 / 정경미 외 2010  202
238 23 연구윤리 연구윤리와 생명윤리 / 김은애 2014  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