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0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042014 

통합예술프로그램을 통한 공간별 아동 죽음교육 모델 방안



 
기타서명 A plan for child death education program for classification of space model based on integrated arts
저자 유성이 
형태사항 xi, 176 p.: 주로천연색삽화; 26 cm.
일반주기 상명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조남규
              참고문헌: p. 170-173
              서지적 각주 수록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2016. 2
DDC 780.7 22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6
소장기관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상명대학교 천안학술정보관

 


초록
통합예술프로그램을 통한 공간별 아동 죽음교육 모델 방안 본 연구의 목적은 죽음의 이해와 죽음에 대한 아동의 인식발달에 따른 이론적 배경과 죽음교육의 필요성을 밝히고 공간별 특성에 따른 죽음교육 현황분석을 통해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통합예술프로그램을 통한 죽음교육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특히 현황분석을 통한 시사점으로 공간에 따라 아동의 처한 상황이 달랐고 죽음을 대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프로그램의 공간별 특수성을 문화거점공간인 박물관, 교육공간인 학교, 복지공간인 호스피스 의료센터로 분류하였다. 박물관, 학교 공간에서 죽음교육을 참여한 아동은 죽음을 삶의 연속선상으로 여기고 삶의 문제에 좀 더 직면하여 삶의 태도에 변화를 가져왔다. 이에 반해, 호스피스 의료센터에서의 사별아동은 엄마의 신체적 죽어감의 현상을 지켜보는 과정에서 죽음을 대하는 태도나 수용에 있어서 직접적인 죽음의 문제를 직면하였다. 그러므로 실제적인 죽음의 이해와 엄마의 죽음 준비를 동참함으로서 소외감이나 불안감 없이 임종을 지킬 수 있었고 죽음의 경험이 자신의 삶의 성장으로 확대되었다. 이에 각각의 특수한 공간 중심으로 한 죽음교육 프로그램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교육대상자는 아동으로 선정하여 통합예술교육방법론을 통한 교육프로그램 모델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거점공간 도서관에서는 유·아동을 최적화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교육방식은 감각·체험중심이며 내용적 교육방법론으로는 그림책을 활용하여 감각에 중심을 둔 총체적인 실천교리교육 방법으로 모델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교육공간에서는 아동·청소년 대상으로 하였다. 교육방식으로는 사회와 도덕 교과목의 가치와 덕목 교육과 연계한 인문학, 철학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내용적 방법론으로는 교과목을 연계한 예술장르와 현장체험으로 최소 1년 이상 학기제로 매주 1회 수업을 운영하는 장기 프로그램 모델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복지공간 지역아동센터에서는 소외·특수계층 특히 사별 아동 대상으로 하였다. 교육방식은 외상과 상실·애도 문제를 치유중심으로 심리적 문제를 다루며 내용적 방법론으로는 안나 할프린의 치유 5단계와 외상초점화 인지행동치료 요소 및 사별슬픔 초점화 요소 등 자기분석적인 모델방안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이론적 배경으로 공간별 특성화된 통합예술 죽음교육 프로그램 모델방안을 마련하여 전인적인 인간으로 성장할 죽음교육의 가능성을 열었다. 둘째, 아동 죽음교육의 실행과 전시로 이어진 긍정적인 결과로 아동 죽음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사회적으로 확산되었다. 이를 통해 추후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국가적으로 아동의 죽음교육의 필요성과 타당성을 발전시켜 새로운 프로그램과 적절한 세부적인 운영매뉴얼의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다양한 기관의 특성과 교육 대상 집단의 특징 등에 따른 다양한 죽음교육⋅상실교육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죽음교육⋅상실교육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대상을 아동⋅청소년을 비롯해 다양한 대상자로 확장하여야 한다. 일반 성인, 학교 밖 청소년들, 외상성 사별슬픔을 겪고 있는 아동·청소년들, 노인, 군인, 교정시설, 가출 쉼터 등 폭 넓은 대상과 각 기관의 성격에 맞게 죽음교육 프로그램을 응용 발전시켜 시행되어야 한다. 더 나아가 죽음교육을 위한 교과서를 출판하기 위한 죽음교육의 학술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주제어: 죽음교육, 아동교육, 통합예술교육, 치유, 호스피스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3. 아동대상자의 죽음교육 프로그램 사례 및 통합예술교육과 연관성
4. 공간을 활용한 아동의 죽음교육 통합예술프로그램 현황
5. 통합예술프로그램을 통한 공간별 아동 죽음교육 모델 방안
6. 결론 및 제언


주제어
죽음교육, 아동교육, 통합예술교육, 치유, 호스피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50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죽음태도 및 영향요인 / 김종근 외 2016  211
49 20 죽음과 죽어감 통합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장애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 길태영 2016  605
» 20 죽음과 죽어감 통합예술프로그램을 통한 공간별 아동 죽음교육 모델 방안 / 유성이 2016  272
47 9 보건의료 좋은 죽음에 대한 윤리적 성찰과 모색 : 니체의 '운명애'와 레비나스의 '타자의 얼굴' 개념을 중심으로 / 임지연 2016  694
46 20 죽음과 죽어감 현대법의 새로운 과제 ; 죽음관련 법제의 현안 과제에 관한 일고찰 / 이인영 2016  211
45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 이른바 웰다잉법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김화 2016  205
44 20 죽음과 죽어감 신해철법과 웰다잉법 / 신현호 2016  96
43 20 죽음과 죽어감 국내 말기 의료 현황과 웰다잉법 / 이지은 외 2016  143
42 1 윤리학 죽음에 관한 기독교 윤리적 탐구 : 케이건(Shelly Kagan)과 몰트만(Jürgen Moltamm) 비교와 케이건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중심으로 / 송화준 2015  420
41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에 관한 가족들의 선택방안 /양인권 2015  361
40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여성의 죽음 결정과 죽을 권리 / 이동옥 2015  485
39 20 죽음과 죽어감 Euthanasia : 좋은 죽음에 관한 기독교 생명윤리학적 연구 / 허반석 2015  530
38 20 죽음과 죽어감 생물학적 죽음에서 인간적 죽음으로 / 권수현 2015  542
37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 프로그램과 노인의 삶의질, 죽음불안과 자아통합감의 관계연구 / 정운경 2015  1471
36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Well-dying)을 위한 죽음준비교육이 여가태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최은주 2015  1009
35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의 연명의료정책과 타나토사회성의 등장- 사회에 책임지는 기술혁신(RRI)의 적용 한계와 기술 거버넌스/이준석 2015  300
3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철학에서 에디트 슈타인 사상의 의미 연구 - 죽음과 죽어감 그리고 사랑과 비움의 영성을 중심으로 - / 이은영 2015  562
33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마지막에서 존엄성을 어떻게 고려할 것인가: 안락사와 의사조력자살의 논변 분석을 중심으로/정연재 2015  605
32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간호사와 보호자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인식/김원정, 강지숙 2015  471
31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 청소년 죽음교육 모형 개발/정재걸 외 2015  3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