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66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042014 

통합예술프로그램을 통한 공간별 아동 죽음교육 모델 방안



 
기타서명 A plan for child death education program for classification of space model based on integrated arts
저자 유성이 
형태사항 xi, 176 p.: 주로천연색삽화; 26 cm.
일반주기 상명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조남규
              참고문헌: p. 170-173
              서지적 각주 수록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2016. 2
DDC 780.7 22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6
소장기관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상명대학교 천안학술정보관

 


초록
통합예술프로그램을 통한 공간별 아동 죽음교육 모델 방안 본 연구의 목적은 죽음의 이해와 죽음에 대한 아동의 인식발달에 따른 이론적 배경과 죽음교육의 필요성을 밝히고 공간별 특성에 따른 죽음교육 현황분석을 통해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통합예술프로그램을 통한 죽음교육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특히 현황분석을 통한 시사점으로 공간에 따라 아동의 처한 상황이 달랐고 죽음을 대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프로그램의 공간별 특수성을 문화거점공간인 박물관, 교육공간인 학교, 복지공간인 호스피스 의료센터로 분류하였다. 박물관, 학교 공간에서 죽음교육을 참여한 아동은 죽음을 삶의 연속선상으로 여기고 삶의 문제에 좀 더 직면하여 삶의 태도에 변화를 가져왔다. 이에 반해, 호스피스 의료센터에서의 사별아동은 엄마의 신체적 죽어감의 현상을 지켜보는 과정에서 죽음을 대하는 태도나 수용에 있어서 직접적인 죽음의 문제를 직면하였다. 그러므로 실제적인 죽음의 이해와 엄마의 죽음 준비를 동참함으로서 소외감이나 불안감 없이 임종을 지킬 수 있었고 죽음의 경험이 자신의 삶의 성장으로 확대되었다. 이에 각각의 특수한 공간 중심으로 한 죽음교육 프로그램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교육대상자는 아동으로 선정하여 통합예술교육방법론을 통한 교육프로그램 모델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거점공간 도서관에서는 유·아동을 최적화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교육방식은 감각·체험중심이며 내용적 교육방법론으로는 그림책을 활용하여 감각에 중심을 둔 총체적인 실천교리교육 방법으로 모델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교육공간에서는 아동·청소년 대상으로 하였다. 교육방식으로는 사회와 도덕 교과목의 가치와 덕목 교육과 연계한 인문학, 철학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내용적 방법론으로는 교과목을 연계한 예술장르와 현장체험으로 최소 1년 이상 학기제로 매주 1회 수업을 운영하는 장기 프로그램 모델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복지공간 지역아동센터에서는 소외·특수계층 특히 사별 아동 대상으로 하였다. 교육방식은 외상과 상실·애도 문제를 치유중심으로 심리적 문제를 다루며 내용적 방법론으로는 안나 할프린의 치유 5단계와 외상초점화 인지행동치료 요소 및 사별슬픔 초점화 요소 등 자기분석적인 모델방안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이론적 배경으로 공간별 특성화된 통합예술 죽음교육 프로그램 모델방안을 마련하여 전인적인 인간으로 성장할 죽음교육의 가능성을 열었다. 둘째, 아동 죽음교육의 실행과 전시로 이어진 긍정적인 결과로 아동 죽음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사회적으로 확산되었다. 이를 통해 추후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국가적으로 아동의 죽음교육의 필요성과 타당성을 발전시켜 새로운 프로그램과 적절한 세부적인 운영매뉴얼의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다양한 기관의 특성과 교육 대상 집단의 특징 등에 따른 다양한 죽음교육⋅상실교육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죽음교육⋅상실교육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대상을 아동⋅청소년을 비롯해 다양한 대상자로 확장하여야 한다. 일반 성인, 학교 밖 청소년들, 외상성 사별슬픔을 겪고 있는 아동·청소년들, 노인, 군인, 교정시설, 가출 쉼터 등 폭 넓은 대상과 각 기관의 성격에 맞게 죽음교육 프로그램을 응용 발전시켜 시행되어야 한다. 더 나아가 죽음교육을 위한 교과서를 출판하기 위한 죽음교육의 학술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주제어: 죽음교육, 아동교육, 통합예술교육, 치유, 호스피스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3. 아동대상자의 죽음교육 프로그램 사례 및 통합예술교육과 연관성
4. 공간을 활용한 아동의 죽음교육 통합예술프로그램 현황
5. 통합예술프로그램을 통한 공간별 아동 죽음교육 모델 방안
6. 결론 및 제언


주제어
죽음교육, 아동교육, 통합예술교육, 치유, 호스피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66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 윤리의식 교육 / 김선영 2016  90
65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시대 인공지능 기술과 미래 어린이철학교육의 전망 / 김민수 2019  96
64 4 보건의료 철학 의학교육에서의 의료윤리 교육방법 / 김옥주 2016  110
63 2 생명윤리 중등 도덕과 생명의료윤리교육에 대한 비판적 검토/김상돈 2006  114
62 15 유전학 한국과 프랑스 생명과학교사들이 가지는 사람의 사회적 행동에 대한 유전자 결정론적 인식의 차이/서혜애 외 2018  116
61 1 윤리학 의료에 있어서의 윤리와 법 / 주호노, 배현아 2009  117
60 18 인체실험 연구윤리 교육활동에 대한 조명과 사례연구를 적용한 중등교육과정의 연구 / 이상희 2013  135
59 15 유전학 인간 유전체에 관한 윤리 교육 연구 / 정은경 2004  140
58 2 생명윤리 교수개발로서의 생명의료윤리 교육 : 신임교원 대상 교육개발과 시행 경험을 바탕으로 / 김정아, 오승민, 김평만 2014  163
57 2 생명윤리 미국 생명의료윤리학의 최근 동향 / 엄영란 2001  171
56 17 신경과학 소방관을 위한 트라우마 집단교육의 사전 사후 인식 / 이미나, 나옥희 2017  181
55 24 기타 주제전문사서로서의 정신보건사서 양성 교육과정 개발 / 임성관 2017  182
54 20 죽음과 죽어감 사별한 노인이 인식하는 좋은 죽음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유용식 2017  185
53 1 윤리학 임상 치과위생사 양성제도와 법체계 개선을 위한 업무범위 분석 연구 / 송여주 2010  191
52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건강증진병원 간호사의 건강교육수행 영향요인 / 이진숙 2014  202
51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 전문직 윤리교육과 합리적인 의료오류보고 체계 마련을 통한 의료분쟁의 예방 -일개 지역응급의료센터 의료오류보고 체계를 통한 민원 분석 / 2008  203
50 2 생명윤리 생명윤리 관련 고교 과제연구의 융합교육적 접근 /윤영돈 외 2015  209
49 7 의료사회학 의사의 법적 의무에 대한 지식도 및 의료법 교육 필요성에 대한 태도 / 김소연 2003  212
48 5 과학 기술 사회 이종이식연구자 대상 윤리교육의 시행과 그 효과에 관한 고찰 / 모효정 2010  227
47 2 생명윤리 간호대학 1학년 학생을 위한 생명의료윤리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 정계선 2016  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