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5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고려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박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013430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웰다잉을 위한 간호실무 가이드라인 개발



저자 김수진
형태사항 214 p ; 26 cm
일반주기 지도교수: 장성옥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간호과학 전공 2016. 2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6
소장기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초록
최근 우리나라는 노인인구와 만성질환이 점차 증가하는 상황에서 웰빙과 함께 웰다잉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노인요양시설의 거주자들은 다양한 만성질환과 함께 일상생활에 제한이 있는 고령자로 그들과 가족들은 대부분 적극적 치료보다는 완화치료를 선호하며, 노인요양시설에서 임종까지 맞이하길 기대한다. 치매, 중풍, 파킨슨 등의 다양한 만성적 질환들은 예후를 예측하기가 어렵고, 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많은 대상자들은 임종의 명확한 단계나 과정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노인요양시설에서의 호스피스·완화간호는 암환자와는 다른 차원의 관리가 필요하다. 현대 노인의 수명이 늘어남에 따라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죽음까지 관리하는 웰다잉의 개념이 대두되고 있으며, 건강한 노인도 이러한 웰다잉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이 보편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지역사회보다 임종에 가까운 허약노인이 거주하는 시설인 노인요양시설에서는 죽음까지 관리하는 웰다잉의 개념이 실무에서 보편화되어 있지 않고, 노인 대상자들의 마지막 삶을 정리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웰다잉과 관련된 가이드라인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노인요양시설에서 거주하는 고령의 장애 노인이 임종까지 맞이할 수 있도록 노인요양시설 업무에 임종간호에 대한 내용 포함과, 요양시설 거주노인이 평화로운 죽음을 맞도록 어떻게 관리하는지에 대한 간호실무 가이드라인의 개발의 요구와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에서 거주하는 노인들의 웰다잉을 위한 간호실무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여 노인요양시설에서의 간호 실무편차를 감소시키고, 노인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노인들이 인간의 존엄성을 지키면서 평화로운 생의 마지막 정리를 할 수 있도록 기여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문헌고찰과 CODM(Consensus Oriented Decision Making) 인터뷰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웰다잉을 위한 간호실무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는 연구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3단계 연구로 구성되었으며,
- 1단계에서는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웰다잉을 위한 간호실무 문헌고찰 분석결과를 반영하여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웰다잉을 위한 모델을 도출하였다.
- 2단계에서는 도출된 모델을 기반으로 주제와 관련된 참여자들의 합의를 통해 가이드라인을 이끌어 내는 방법론적 접근인 CODM(Consensus Oriented Decision Making) 인터뷰 분석을 통해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웰다잉을 위한 간호실무 가이드라인의 기본내용을 구성하였다.
- 3단계에서는 가이드라인 기본내용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내용 타당도를 평가하여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웰다잉을 위한 간호실무 가이드라인을 결정하였다.

각 단계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노인요양시설 입주부터 임종까지의 기간을 준비기, 예측기, 임종기의 진행으로 구분하였다. 각각의 진행기간 동안 웰다잉을 위한 목표인 존엄성 유지, 죽음 수용, 희망을 달성하기 위해 사정, 전략, 평가를 포함하고 있으며, 존엄성 유지는 준비기부터 임종기까지, 죽음 수용과 희망은 준비기 후반부터 임종기까지 달성해야 할 목표로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웰다잉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대상자, 가족, 간호사의 역할이 함께 포함되고 있다.

둘째, 노인요양시설 입주부터 시작하여 웰다잉까지 기간을 준비기, 예측기, 임종기 3개 영역과 각각 영역에서의 고려사항, 사정내용, 존엄성 유지전략, 죽음 수용의 전략, 희망의 전략, 평가로 구성되었으며, 임종기에는 마무리까지 포함되어 19개의 하위영역으로 구분되었고, 112개의 가이드라인 항목이 구성되었다. 현재 우리나라 노인요양시설에서의 임종간호에 대한 업무기준과 내용이 명확히 없는 상황에서 가장 현실적이고 간호사라면 할 수 있는 내용 중심의 가이드라인으로 구성하였다.

셋째, 112개의 구성된 가이드라인 항목 중 내용 타당도 지수(CVI) 4점 이하즉, CVI 80% 이하로 합의된 항목과 각 항목의 코멘트 된 내용을 중심으로 삭제 및 수정되어 총 103개 항목이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웰다잉을 위한 간호실무 가이드라인으로 확정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본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웰다잉을 위한 간호실무 가이드라인은 노인요양시설 거주자를 위하여 웰다잉 간호실무 향상을 위한 가이드로 활용될 수 있으며, 노인요양시설 입주부터 삶에 대한 의미와 마지막 정리를 할 수 있는 기회를 가져, 노인요양시설에서 마지막 삶을 지내는 거주노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궁극적으로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인간다운 삶과 마무리를 보장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 목적
3. 용어 정의
Ⅱ. 문헌고찰
1. 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웰다잉의 의미와 정의
2. 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웰다잉을 위한 전략
Ⅲ.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자
3. 연구대상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
4. 연구절차
1) 제 1단계 :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웰다잉을 위한 간호실무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문헌고찰
2) 제 2단계 : Consensus Oriented Decision Making을 통한 가이드라인 초안 개발
3) 제 3단계: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
Ⅳ. 연구결과
1.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웰다잉을 위한 간호실무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문헌고찰
2. CODM 토론을 통한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웰다잉을 위한 간호실무 가이드라인 개발
3.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
Ⅴ. 논의
1.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웰다잉을 위한 간호실무 가이드라인 적용성
Ⅵ.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Ⅶ. 참고문헌
Ⅷ. 부록


주제어
간호실무, 웰다잉, 노인요양시설, 가이드라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7
75 2 생명윤리 국내학술지에 게재된 간호연구의 생명윤리의식 측정에 관한 비판적 고찰 - 인격주의 생명윤리 관점으로 / 최미선 2019  671
7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관련 국내 간호연구 논문 동향(1998~2017) / 김원순 2019  439
73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간호윤리 가치관 / 김미화 2019  310
72 4 보건의료 철학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윤리적 환경과 도덕적 고뇌 / 전유정 외 2019  259
71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및 태도 / 권말숙, 홍주영 2019  255
70 4 보건의료 철학 비판적 사고와 간호근무환경이 간호사의 임상적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 장인실, 이경숙 2019  551
69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윤리적 가치관이 심폐소생술금지 태도에 미치는 영향/김미연, 문미영 2018  211
68 9 보건의료 노인 간호와 돌봄 로봇 /은영 2018  421
67 20 죽음과 죽어감 임상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과 죽음에 대한 인식이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윤연정 2018  300
66 4 보건의료 철학 정신건강복지법 발효에 따른 정신전문간호사의 역할규명을 위한 직무분석 / 조분선 2018  1501
65 4 보건의료 철학 국립정신의료기관 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과 공감능력 및 지각된 윤리풍토의 관계 / 조혜경 외 2017  115
64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좋은 죽음 인식, 자아존중감이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최은정 2018  671
63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과 사전의사결정태도 / 천호정 2018  404
62 4 보건의료 철학 융합 시대의 임상실습 전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대한 영향요인 확인 / 조영희 2017  195
61 8 환자 의사 관계 응급의료현장에서 질적 확률표현에 대한 의료인-환자 간의 인식 비교 / 오제혁 외 2014  86
60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간호사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인식과 임종간호태도 /김경희 2016  876
59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과 노인간호실천과의 관계 / 홍소형 외 2016  483
58 9 보건의료 응급실 간호사의 도덕적 고뇌 대응 경험 / 이나경 2016  649
57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 윤리의식 교육 / 김선영 2016  90
»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웰다잉을 위한 간호실무 가이드라인 개발 / 김수진 2016  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