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54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충남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박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055830 

‘호스피스 환자 영적 고통 측정 간이 도구’의 구성 타당도 중심의 검증
= Validation of a ‘Brief Scale Assessing Spiritual Suffering for Hospice Patients' focusing on construct validity


 
 
저자 윤석준
형태사항 35 p. ; 26 cm
일반주기 지도교수: 김종성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충남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가정의학 2016. 2
발행국 대전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6
소장기관 충남대학교 도서관


 
초록
Spiritual care is a principal component of palliative care. Assessment of spiritual state of patients is the first step in spiritual care. There are few tool evaluating spiritual state of Korea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A 'brief scale assessing spiritual suffering for hospice patients' was developed by multi-center study based on conceptualization of spirituality in Korea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Thus, this study aimed to validate a 'brief scale assessing spiritual suffering for hospice patients' focusing on construct validity. Among the patients who admitted to the hospice-palliative care unit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in Daejeon from March 2015 to September 2015, 40 patients were enrolle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ge, sex, educational state, monthly income, marital status, relig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 'brief scale assessing spiritual suffering for hospice patients', FACIT-SP 12 (Functional assessment of chronic illness therapy-spirituality 12), and EORTC QLQ-C15-PAL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core 15-palliative care) were investigat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I helped patients to answer properly and checked performance status of patients using PPS (Palliative performance scale). Internal consistency and split-half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o analyse reliability of a 'brief scale assessing spiritual suffering for hospice patients'.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se construct validity. Spearman's correlat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correlation among 'brief scale assessing spiritual suffering for hospice patients', FACIT-SP 12, EORTC QLQ-C15-PAL, and PP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Subjects who are divorced, whose religion is protestants, and who have hepatobiliary/gallbladder cancer showed relatively low spiritual suffering. Cronbach's α, Spearman-Brown split-half coefficient, and Guttman split-half coefficient of a 'brief scale assessing spiritual suffering for hospice patients' were 0.836, 0.861, and 0.857, respectively. Four factors were extracted by factor analysis and total of explained variance was 82.01%. I suggest 'looking back one's life', 'consolation of life', 'completion of life', and 'self-esteem' as four factors consisted in spiritual suffering. Total score of a 'brief scale assessing spiritual suffering for hospice patient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piritual well-being measured by 2 factors (meaning/peace and faith) of the FACIT-SP 12 and quality of life measured by the EORTC QLQ-C15-PAL. Total score of a 'brief scale assessing spiritual suffering for hospice patient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motional functioning (depression, anxiety), dyspnea and anorexia measured by the EORTC QLQ-C15-PAL. Total score of 'brief scale assessing spiritual suffering for hospice patients'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PPS. Above results suggest that a 'brief scale assessing spiritual suffering for hospice patients' is reliable and valid tool evaluating spiritual state of terminally ill Korean cancer patien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방법
3. 자료 분석
Ⅲ. 결 과
1. 연구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과 영적 고통의 관계
2. 신뢰도 분석
3. 요인 분석
4. 원 연구와 현재 연구의 요인 분석 결과의 차이점
5. 호스피스 환자 영적 고통 측정 간이 도구와 FACIT-SP 12의 상관성
6. 호스피스 환자 영적 고통 측정 간이 도구와 EORTC QLQ-C15 -PAL의 상관성
7. 호스피스 환자 영적 고통 측정 간이 도구와 PPS와의 상관성
Ⅳ. 고 찰
V. 결 론


주제어
Palliative care, Cancer, Questionnaires, Spirituality, Validity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54 9 보건의료 HIV 감염인의 재생산권과 보조생식술 / 배현아 2014  99
53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의 철학적 인간학/엄정식 2017  106
52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의 말기 AIDS 환자들에게 자원봉사를 제공할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윤석준 외 2017  141
51 9 보건의료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에 감염된 의료인의 의료행위 규제 / 박창범 2018  145
50 9 보건의료 에이즈 예방법상 감염인의 인권침해요인과 인권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양충모 외 2007  158
49 18 인체실험 참여정부의 발전국가적 BT 육성 정책에 관한 연구 : 황우석 연구팀 지원 정책의 실패를 중심으로 / 황소영 2006  161
48 20 죽음과 죽어감 현대법의 새로운 과제 ; 죽음관련 법제의 현안 과제에 관한 일고찰 / 이인영 2016  211
47 18 인체실험 생명윤리에서 바라 본 형사법적 쟁점 / 박광현 2013  211
46 9 보건의료 HIV 감염인 남편과 살아가는 여성의 삶의 경험 / 서명희 2017  211
45 1 윤리학 학술연구논문 : 개인정보 보호의무 위반에 따른 배상 가능한 “손해”에 대한 고찰 / 오일석 2015  218
44 15 유전학 유전상담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전문유전상담사 학회인증제도에 관한 연구 / 최지영 외 2009  227
43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추정자 주치의의 뇌사추정자에 대한 장기기증 의뢰 및 발굴 경험에 대한 연구 / 김순일 외 2013  234
42 1 윤리학 황우석 사태 前後 일간지의 건강의료보도 태도 변화 연구 :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을 중심으로 / 서한기 2007  235
41 1 윤리학 연구논문 : 약관의 설명의무의 대상 및 면제범위에 관한 판례의 입장에 대한 소고 / 김원규 2016  236
40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들의 연명치료에 대한 이해도가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의지에 미치는 영향 / 최진경 2013  244
39 14 재생산 기술 난자의 연구 이용 관련 우리나라 법원 판결에 대한 고찰 / 김은애 2015  253
38 15 유전학 한국 의료제도와 유전상담 서비스의 구축 / 김현주 2011  256
37 8 환자 의사 관계 자율성으로 본 동의와 동의면제에 대한 고찰 / 백수진 2015  273
36 9 보건의료 사회적 낙인, 영성, 자아존중감이 HIV/AIDS 감염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강선경 2015  281
35 10 성/젠더 의약품 접근권과 특허권의 충돌 문제에서 나타나는 건강권의 비용과 법적 고찰 / 정민수 2015  2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