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66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박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007286 

통합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장애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Effect of an Integrated Death Preparation Educational Program on the Death Attitude and Meanings of Life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저자 길태영
형태사항 176 ; 26 cm
일반주기 지도교수: 윤경아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실천전공 2016. 2
발행국 대전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6
소장기관 대전대학교 도서관

 
초록
본 연구는 장애노인들을 대상으로 통합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죽음에 대한 태도(정서적 불안, 인지적 수용, 행동적 반응)와 삶의 의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통합연구방법에서 양적 연구는 장애등급을 갖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 실험집단 20명과 통제집단 20명, 총 40명을 조사 대상으로 비동일 통제집단 전후비교조사를 활용하여 사전-사후-추후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질적 연구는 장애노인 20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토론을 연구시작 시기 - 포커스 그룹 진행 중 - 포커스 그룹 진행 후 3단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를 통합하여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죽음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양적 연구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검사 결과와 프로그램 종료 3개월 후 실험집단의 추후 검사 결과에서 통합된 죽음준비교육이 장애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에서 정서적 불안을 감소시키는 효과와 지속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결과에서도 죽음과 관련된 논점에 대해 토론할 필요성과 의지가 있음을 증명해주었다. 따라서 통합된 죽음준비교육을 통해 자신과 타인의 죽음과 죽어가는 과정의 다차원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자유롭게 죽음에 대하여 이야기하는 기회를 갖는 것은 죽음에 대한 정서적 불안을 해소하거나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죽음에 대한 태도에서 인지적 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양적 연구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검사 결과와 프로그램 종료 3개월 후 실험집단의 추후 검사 결과에서 통합된 죽음준비교육이 장애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에서 인지적 수용을 향상시키는 효과와 지속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결과에서도 장애인으로 태어나 꿋꿋하게 살아낸 굴곡진 삶과 약속한 시간을 마무리하는 것으로 죽음을 수용한다고 언급하였다. 따라서 장애노인의 삶과 죽음에 대한 인지적 수용의 내용들을 포괄적으로 이해함으로써 죽음에 대한 보편적인 태도로 변화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죽음에 대한 태도에서 행동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양적 연구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검사 결과와 프로그램 종료 3개월 후 실험집단의 추후 검사 결과에서 통합된 죽음준비교육이 장애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에서 행동적 반응을 향상시키는 효과와 지속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결과에서도 장애노인들이 조금이라도 건강하고 의식이 또렷할 때 죽음에 대한 의미 탐색 및 죽음관련 정보를 습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언급하였다. 따라서 장애노인들이 무의미한 연명치료가 아닌 인간다운 마무리를 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준비활동을 할 수 있게 된 것은 죽음을 대비하는 실천적 측면에서 매우 의미 있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넷째,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양적 연구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검사 결과와 프로그램 종료 3개월 후 실험집단의 추후 검사 결과에서 통합된 죽음준비교육이 장애노인의 삶의 의미를 향상시키는 효과와 지속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결과에서도 비록 아픈 몸으로 평생을 살았지만 험난한 인생을 꽃처럼 밝게 희망을 잃지 않았던 자신의 삶 자체가 영광스러운 축복이라고 언급하였다. 따라서 삶과 죽음의 마지막 단계를 살아가는 장애노인들이 최후의 순간까지 자신의 삶을 진심으로 의미 있게 살아가도록 돕는 것은 삶을 하나의 의미 있는 전체성으로 완성시킬 수 있는 통합된 죽음준비교육의 효과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장애노인을 위한 죽음준비교육에 대한 실천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삶의 목표와 의미를 강화시킬 수 있는 기술을 익힐 수 있도록 장애노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설계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이 시급하다.
둘째, 근거중심 사회복지실천교육의 진행기법을 활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죽음준비교육 전문가는 죽음준비교육에 대한 전체적인 디자인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장애노인을 위한 사별관리서비스와 호스피스·완화의료의 확대가 절실히 필요하다.
넷째, 죽음준비교육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대상자들이 살아온 삶을 진심으로 사랑하고 이해하고자 하는 따뜻한 마음이 있어야 한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통합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실행
Ⅴ. 통합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Ⅵ. 결론 및 제언


주제어

 "통합된 죽음준비교육, 죽음에 대한 태도, 삶의 의미, 장애노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66 1 윤리학 테일러의 생명중심주의 사상의 환경윤리교육적 함의 / 이제용 2014  4640
65 1 윤리학 칸트 법철학에서 형벌이론과 사형제도 정당화에 대한 연구 / 김세빈 2016  2312
64 20 죽음과 죽어감 기독교 윤리학적 관점에서 본 안락사에 대한 문제 / 이영태 2003  1363
63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 죽음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연구 / 박현정 2016  1119
62 2 생명윤리 현대 의학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연구 / 김정진 2006  1102
61 2 생명윤리 영화를 이용한 생명의료윤리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미치는 효과 / 김선영 2014  1041
60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Well-dying)을 위한 죽음준비교육이 여가태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최은주 2015  1009
59 20 죽음과 죽어감 좋은 죽음에 대한 의사의 개념과 교육 / 유상호 2014  793
58 7 의료사회학 의사보조인력(Physician Assistant)의 현황과 의료법적 문제점 / 김현주, 박경기, 허정식 2014  787
57 2 생명윤리 중등 교육 과정에서의 생명 존중 교육에 관한 연구 : 도덕·윤리 교과를 중심으로 / 장정훈 2002  759
56 20 죽음과 죽어감 Nursing Students' First Clinical Experiences of Death / 박형숙, 지영주, 김순희, 김윤지 2014  620
» 20 죽음과 죽어감 통합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장애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 길태영 2016  606
54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윤리교육에 있어서 안락사 문제 연구 :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 한미정 2012  543
5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결정에 대한 법 제정과 현실 / 김중곤 2014  531
52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환자의 자기효능전략을 이용한 퇴원시 개별교육과 추후 전화상담의 효과 / 황영희 2013  517
51 19 장기 조직 이식 간 이식 수혜자의 수술 후 경과 시기에 따른 교육 요구도 비교 연구 / 고다미 2012  464
50 2 생명윤리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윤리적 이슈와대학의 생명윤리교육 방향 제고 / 이경화 외 2018  459
49 2 생명윤리 생명중심 윤리사상에 기초한 환경윤리교육 : 고등학교 도덕 교과서를 중심으로 / 이미선 2008  426
48 2 생명윤리 생명윤리교육의 현황과 방향 연구 / 윤순애 2001  421
47 18 인체실험 IRB 전문인력양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 수요자 요구 분석 / 김난희 2015  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