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0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법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726168 

인체유래물 기증자의 동의 및 동의철회의 법적 문제
=Legal Issues of Human Materials Donors’ Consent and Withdrawal



저자사항 이한주
권호사항 한국의료법학회지 제24권 제1호, 2016.6, 75-96 (22 pages)

간행물명 한국의료법학회지
ISSN1598-9178
등재정보 KCI등재
간행물 유형 학술저널
DBpia 주제분류 사회과학
발행기관 한국의료법학회
발행연월 2016.6

DOI 10.17215/kaml.2016.06.24.1.75
URL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726168
자료유형 전자저널
논문작성언어 한국어
파일형식 TextPDF



초록
2012년 2월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이 전부 개정되면서 인체유래물연구에 대한 규정이 신설되었다. 특히 인체유래물연구를 위해서 연구자가 기증자로부터 서면동의를 받도록 하는 것이 중요 내용 중의 하나이다. 이 규정을 통해서 기증자는 연구자로부터 연구의 목적, 내용, 예상결과등에 대해 충분한 설명을 들은 후에 본인의 인체유래물을 연구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권리(동의권)를 갖게 된다. 이러한 권리는 헌법상 자기결정권을 통해서 도출할 수 있다. 자기결정권은 개인이 자유의지로 자신의 운명을 결정하고 스스로 그 결정에 따라 행동할 수 있는 권리로, 이는 각 개인이 자신의 삶을 자발적으로 결정하여 행복을 추구하려는 인간의 가장 근본적인 권리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자기결정권을 통해서 기증자는 이미 연구자가 인체유래물을 연구하는 것에 동의했다 하더라도 동의의 의사표시를 다시 철회할 수 있는 권리도 가진다. 그러나 인체유래물을 이용한 연구의 결과물 생산을 위해 연구자가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오랜 시간 많은 비용을 투자한 경우에, 기증자의 철회 의사표시로 연구자가 이 결과물을 폐기하거나 이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불합리 할 수 있다. 따라서 인체유래물기증자의 철회권이 헌법상 자기결정권에 의해서 보장되는 권리이지만 일정한 제한이 가능한지 여부를, 인체유래물연구자의 연구자유와 관계 속에서 기본권 제한, 기본권 충돌 등의 문제 상황을 검토해 보았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인체유래물 기증자 동의의 법적 의미
Ⅲ. 인체유래물기증자 철회의 법적 문제
Ⅳ. 인체유래물기증자의 동의(철회)와 연구자의 연구자유의 충돌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인체유래물 연구, 기증자의 동의, 자기결정권, 연구의 자유, 생명윤리법, human materials research, the rights of self-determination, bioethics and safety act informed consen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18 인체실험 과학기술 연구윤리 고찰 / 김현진

발행년 2008 

  • 조회 수 200

18 인체실험 연구윤리 교육활동에 대한 조명과 사례연구를 적용한 중등교육과정의 연구 / 이상희

발행년 2013 

  • 조회 수 135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연구실 단기 교육 프로그램 / 이재인 외

발행년 2013 

  • 조회 수 82

18 인체실험 패널토론을 적용한 대학생의 생명윤리 의사결정에 나타난 의사결정 변화 양상과 내용 분석 / 문성채

발행년 2015 

  • 조회 수 267

15 유전학 인간유전체 연구와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 방안 / 정창록

발행년 2015 

  • 조회 수 324

15 유전학 국제 사회에서 유전체 의료의 지적재산권 연구 / 김한나

발행년 2015 

  • 조회 수 330

15 유전학 미생물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과 약제내성 기작 연구를 위한 유전정보의 활용 / 차선호

발행년 2010 

  • 조회 수 540

1 윤리학 지식정보 자산인 빅데이터(Big Data)활용에 관한 연구 / 김선영

발행년 2016 

  • 조회 수 913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신장 공여자의 공여 후 적응 경험 / 강다해솜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1824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병동 말기 암환자 가족의 돌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김계숙

발행년 2016 

  • 조회 수 483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의 봉사경험에 대한 심층적 이해 - 질적 사례 연구 - / 심세화

발행년 2016 

  • 조회 수 364

19 장기 조직 이식 인체유래물 기증자의 동의 및 동의철회의 법적 문제 / 이한주

발행년 2016 

  • 조회 수 348

15 유전학 한국의 인간 유전체 연구에 있어 개인 프라이버시권과 국제데이터공유원칙 적용의 문제점 / 김한나 외

발행년 2015 

  • 조회 수 306

9 보건의료 라틴아메리카 국가와 우리나라의 의약품 인허가제도 및 관리체계 비교연구 : 멕시코와 브라질을 중심으로 / 송주현

발행년 2014 

  • 조회 수 491

18 인체실험 스포츠사회과학 연구에서 생명윤리의 문제: IRB의 적용 / 김동규 외

발행년 2015 

  • 조회 수 443

18 인체실험 건국대학교 의과대학에서의 임상연구를 위한 기반 조성에 관하여 / 배진우

발행년 2003 

  • 조회 수 1535

18 인체실험 웨스턴 연구윤리심의위원회의 특성 / 신희영

발행년 2007 

  • 조회 수 129

18 인체실험 연구윤리에서 다루어지는 위험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연구심의과정상의 위험 / 남수진 외

발행년 2015 

  • 조회 수 242

18 인체실험 공동임상연구윤리위원회(공동IRB) 설립과 초기 운영과정에서의 협력 거버넌스 - 대구공동IRB 사례 / 김향미

발행년 2015 

  • 조회 수 700

18 인체실험 우리나라 임상연구심의위원회의 현황 / 김옥주

발행년 2002 

  • 조회 수 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