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법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726167 

일본의 의약품 및 의료기기 부작용에 대한 피해구제제도와 시사점
=Study on Damage relief system against side effects of medicine, medical supplies and devices



저자사항 최철호
권호사항 한국의료법학회지 제24권 제1호, 2016.6, 51-73 (23 pages)

간행물명 한국의료법학회지
ISSN 1598-9178
등재정보 KCI등재
간행물유형 학술저널
DBpia주제분류 사회과학
발행기관 한국의료법학회
발행연월 2016.6

DOI 10.17215/kaml.2016.06.24.1.51
URL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726167
자료유형 전자저널
논문작성언어 한국어
파일형식 TextPDF


 
초록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제도는 의약품을 적정하게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부작용에 의한 건강피해가 발생한 경우에 의료비 등 급부를 지불하고 이로써 피해자 구제를 도모하는 제도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 제도에서 시행되고 있는 판정제도와 판정방법 등의 장단점을 분석하여 향후 일본의 의료사고일반보상제도의 방향성과 바람직한 모델을 도출하는 한편 비교법적 고찰로서 우리나라의 약사법에 의한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의 의약품부작용피해구제제도와의 비교연구를 통해서 우리나라제도의 장단점 및 의료기기부작용피해구제기관의 설치방안 등을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종래 일본의 의료사고 보상에 관련하는 논의의 흐름을 개관함으로써 지금까지 얻을 수 있었던 성과와 향후 검토되어야 할 점을 명확히 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의약품부작용피해구제제도 일반론을 서술하고 있다. 아울러 일본에서 논의되는 의약품부작용피해구제제도에 대한 공법적 검토를 소개하고, 비교법적 연구로서 우리나라 의약품부작용피해구제제도와의 비교시사점을 도출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의 의약품부작용피해구제제도와 의료기기부작용피해구제기관의 설치방안 등을 제시하고 있다. 결론으로서 일본에서의 의료사고피해구제의 기초로서의 무과실보상과 의료안전과의 관계에 대해 언급하고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제도의 모델로서의 유용성과 그 발전 가능성과 방향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의료사고 보상제도의 필요성과 기존의 논의
Ⅲ. 의약품부작용피해구제제도 일반론
Ⅳ. 의약품부작용피해구제제도의 모델에 대한 검토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부작용, 모니터링, 예방, 의료과실, 무과실, 환자안전, adverse events, incident monitoring, prevention, malpractice, no fault, patient Safety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228 18 인체실험 첨단의료보조생식에 근거한 민법 제844조 친생자 추정에 관한 고찰 / 유지홍 2015  328
3227 19 장기 조직 이식 부산시민의 장기기증의사에 관련된 요인 / 황병덕, 임복희, 정웅재 2011  328
3226 16 환경 중국 지역 간 건강 수준 차이 원인에 관한 연구 : 티베트자치구(西藏自治區)와 흑룡강성(黑龍江省) 사례 비교 / 허신, 강민아 2015  328
3225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에 관한 의료법적 연구 / 이승희 2008  328
3224 9 보건의료 [외국정책 사례] 노인돌봄 서비스를 중심으로 / 손동기 2019  327
3223 1 윤리학 미래사회 한국 다문화교육정책의 방향 탐색 / 이정금 2018  327
3222 9 보건의료 4차 산업 혁명시대의 의료 환경 변화와 웰니스의 전망 / 이희주 2017  327
3221 15 유전학 현대 의학의 영생 기술과 그 신학적 성찰 - 텔로미어와 유전자 가위를 중심으로 / 김소윤, 이관표 2017  327
3220 15 유전학 유전자진단정보와 보험법적 문제 / 박은경 2013  327
3219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난임 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 이영희 2018  326
3218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환자의 영적 간호 방안 : 호스피스 병동을 중심으로 / 이은정 2012  326
3217 15 유전학 대장균의 항균제 내성과 독력 유전자의 분석을 활용한 융합기술연구 / 한재일 외 2015  326
3216 16 환경 건강결정요인 파악을 위한 건강영향평가의 정책적 의의 / 배현아 2015  326
3215 13 인구 저출산에 대한 문화적 접근 - 성평등주의와 출산의 관계 / 계봉오 외 2016  325
3214 18 인체실험 1상 임상시험 관리 매뉴얼 개발 / 김선영 2018  325
3213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의료 환경에서 수행되는 음악치료 현황과 관련 의료인의 인식 조사 연구 / 정지연 외 2016  325
3212 2 생명윤리 생명윤리 교육프로그램이 요양보호사에 미치는 효과/정은영, 박지경 2015  325
3211 15 유전학 우리나라의 나고야의정서의 가입이 바이오산업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 분석/박용하, 김준순, 최현아 2012  325
3210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 간호사의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태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설은미, 고진강 2015  325
3209 20 죽음과 죽어감 일개 상급종합병원 의료인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인식비교 / 박정아, 정덕유 2013  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