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1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법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726165 

결핵환자의 인권향상을 위한 법적 고찰
= Legal Considerations for Improving Human Rights of Patients with Tuberculosis


저자 이세경

권호사항 제24권 제1호, 2016.6, 7-31 (25 pages)

간행물명 한국의료법학회지
ISSN 1598-9178
등재정보 KCI등재
간행물 유형 학술저널
DBpia 주제분류 사회과학
발행기관 한국의료법학회
발행연월 2016.6

DOI 10.17215/kaml.2016.06.24.1.7
URL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726165
자료유형 전자저널
논문작성언어 한국어
파일형식TextPDF


초록

결핵과 같은 감염병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법률상의 보건의료관리체계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관리체계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그 근거가 되는 법률적 기반을 정당하게 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감염병 관리라는 현실적 상황 속에서 다양한 가치의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과학적이고 의학적인 이해는 법률적 정당성의 근거가 될 수 있다. 이는 규범적 가치에는 다양한 견해에 따른 이론의 여지가 있지만, 과학적으로나 의학적으로 검증된 근거에 기초한 법적기준은 그 자체로서 헌법적 가치의 근거로 작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중보건학적 접근이 법률에 근거하여 국민의 기본권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때는 법적 타당성과 더불어 반드시 그 근거가 되는 의학적인 내용들의 실체적 타당성을 충분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입법과 시행에 있어 국가는 환자 개인의 건강권 및 자유권이 인구집단의 건강권과 충돌하는 것을 최소화하고, 공중보건을 위한 부득이한 기본권 제한이라 하더라도 기본권 침해의 소지가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며, 격리와 같은 법률적인 강제는 인신구속에 준하여 헌법적 근거와 절차에 따라 집행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현행 결핵예방법은 사회와 의학의 수준이 갖는 시대적 한계로 인하여 결핵을 별도로 관리하고자 했던 과거의 전근대적 인식에 머물러, 그간의 의학적 발전과 이 시대의 인권의식을 수용하지 못하고 있을 뿐 아니라, 의학적 근거의 오인 혹은 몰이해에 기초한 위헌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본 논문은 따라서, 현행 결핵예방법상의 인권침해 조항들을 구체적 비판을 통하여 살펴보고, 향후 결핵예방법의 개정 혹은, 폐지 및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로의 통합 가능성 여부를 검토해 볼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결핵환자의 인권과 기본권
III. 현행 결핵예방법의 문제 및 검토
I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격리, 결핵예방법, 공중보건, 기본권 제한, 인권 침해, health care, health care delivery system, patient safety, report syste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1 1 윤리학 빅데이터 활용과 인권보호 / 김영진 2017  253
20 5 과학 기술 사회 생명공학특허에 있어서 인권 문제 / 박성호 2008  241
19 21 생물학 의학 국제적 관점 건강권의 법적 토대와 그 실현에 대한 국제인권법적 고찰 / 정민수 외 2014  104
18 9 보건의료 다산 정약용의 『목민심서』에 나타난 자(慈)의 원리와 한국 HIV·AIDS 감염인의 인권을 위한 의료인의 역할/정창록 외 2014  281
17 10 성/젠더 성적소수자의 인권형성 과정과 사회복지의 역할 연구 / 남궁선 2008  410
16 10 성/젠더 탈북여성의 북한, 중국, 한국에서의 결혼생활을 통해본 인권침해와 정체성 변화과정 / 이화진 2010  331
15 12 낙태 낙태에 대한 여성의 인식과 태도 / 김도경 외 2013  538
14 12 낙태 낙태에 관한 유럽인권재판소의 입장 : 대한민국에서의 논의에의 시사점 / 오미영 2014  525
» 9 보건의료 결핵환자의 인권향상을 위한 법적 고찰 / 이세경 2016  263
12 10 성/젠더 입원약정서의 연대보증조항에 대한 환자의 건강권 측면에서의 검토 / 홍관표 2015  451
11 10 성/젠더 의약품 접근권과 특허권의 충돌 문제에서 나타나는 건강권의 비용과 법적 고찰 / 정민수 2015  288
10 10 성/젠더 페미니즘과 가톨릭 생명문화/이연숙 2016  274
9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윤리적 가치관 유형과 인권감수성/김성은 2015  338
8 1 윤리학 이항녕 선생과 법과 도덕 : 생명윤리법을 중심으로 / 이인영 2013  338
7 9 보건의료 고령화시대 노인인권에 대한 기독교윤리적 고찰 / 이연순 2015  671
6 17 신경과학 뇌 과학의 관점에서 본 배아의 생명권 / 유경동 2014  335
5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 고독사 연구 및 접근의 관점 / 권혁남 2014  858
4 15 유전학 생명과학기술의 또 다른 그늘 / 김상현 2014  427
3 14 재생산 기술 이주여성의 재생산권에 대한 국제인권법적 보호 / 이진규 2010  333
2 14 재생산 기술 재생산권 개념의 역사화ㆍ정치화를 위한 시론 / 하정옥 2013  4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