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64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법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739403 

환자의 안전과 환자안전법제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Patient Safety and It"s Legal System


 
제어번호 101739403
저자명 신은주(Shin, Eun-Joo) 
학술지명 한국의료법학회지
권호사항 Vol.23 No.2 [2015] 
발행처 한국의료법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31(25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5년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주)누리미디어

 
초록
의료과학기술의 발전은 질병의 치료가능성을 높여 건강을 증진시키고 생명을 연장시키는데 많은 기여를 하고 있지만 위험도 수반하고 있다. 또한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의료서비스는 점점 더 고도화되었고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의료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의료서비스로 인하여 병원은 의료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환자는 세분화되고 전문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의료시스템이 원활하게 작동하지 않으면 환자에게 위해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내재하고 있는 단점도 동시에 가지고 있다. 또한 인간은 완전하지 않으므로 의료서비스가 항상 완벽하게 제공될 수 없기 때문에 의료사고나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도 없다. 이와 같이 의료서비스 제공과정에서 생기는 위해의 가능성은 그것이 현실화되는 경우에 환자의 사망이라는 치명적인 위험을 가져 오기 때문에 이러한 위해가 현실화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따라서 환자의 안전은 바로 이러한 위해의 사전저지를 통하여 가장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위해를 사전에 저지할 수 있는 법적 제도가 마련될 것이 요구되었다. 환자안전법은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마련되었다. 환자안전법은 리스크에 대한 사전예방을 위한 위험방지법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 법을 통하여 환자에게 발생할 리스크가 무엇이고 그 리스크의 정도와 그 대처방안을 충분히 마련할 수 있어야 환자의 위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환자안전법은 실제로 리스크관리를 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정보수집을 위한 법적 제도뿐만 아니라 환자안전시책을 마련하기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해 놓고는 있으나 그 내용이 허술하고 정보수집에만 치중한 입법이어서 종합적인 환자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내용을 가지도록 보완해 나갈 필요가 있다.

 

 
목차
I. 서언
II. 위험사회에 있어서 위험과 안전
III. 환자의 안전과 안전 법제
IV. 환자안전법의 기능과 과제
V. 결어


주제어
위험사회  ,리스크관리  ,사전배려  ,환자안전  ,환자안전법  ,환자정보수집  ,health care  ,health care delivery system  ,patient safety  ,report syste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4 13 인구 저출산에 따른 국가의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 정연숙 2006  375
43 9 보건의료 고령화 사회와 간병범죄 / 이철호 2016  430
42 12 낙태 연구논문 : 낙태에 대한 태도와 종교: 한국, 일본, 미국, 필리핀 국제비교분석 / 김상욱 외 2015  1834
41 20 죽음과 죽어감 환경윤리학에서의 사회생물학적 접근의 한계와 가능성 / 노희정 2012  253
40 20 죽음과 죽어감 유비쿼터스시대의 윤리적 행동에 관한 연구 : 과학기술문명사회의 공유와 감시체제를 중심으로 / 이지향 2015  210
39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 수혜자의 가족 및 의료인 지지와 희망이 사회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김옥수 외 2016  232
38 17 신경과학 뇌과학 시대와 인지사회학 / 차영화 2016  586
37 9 보건의료 위험사회와 관료책임 / 김병섭 외 2016  208
36 9 보건의료 한국의 메르스 사태는 어떻게 정치화되었는가? / 장경은 외 2016  168
» 9 보건의료 환자의 안전과 환자안전법제에 관한 고찰 / 신은주 2015  229
34 1 윤리학 노인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 김충묵 외 2016  2537
33 1 윤리학 연구논문 : 노인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 김충묵 외 2016  573
32 1 윤리학 일본 개정 행정불복심사법에 관한 고찰 -공정성과 준사법절차를 중심으로- / 박웅광 2016  324
31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자가간호이행, 사회적 지지, 생리학적 지표 / 김현경 2013  372
30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이식 스트레스와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함아름 2012  355
29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 가족의 삶의 질 영향요인 / 김소영 2016  243
28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자가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정현정 2015  248
27 19 장기 조직 이식 심장이식 수혜자의 이식 후 사회적지지, 우울 및 건강상태 / 박병준 2012  479
26 18 인체실험 스포츠사회과학 연구에서 생명윤리의 문제: IRB의 적용 / 김동규 외 2015  443
25 1 윤리학 현대 사회에서 정의감의 문제/고현범 2014  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