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13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법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582867 

사이버의료(Cybermedicine)의 정착과 활성화를 위한 방향
= Direction towards the Settlement and Vitalization of Cybermedicine System : Focus on the United States Scheme


 
제어번호 100582867
저자명 남윤삼(Nam, Yoonsam)  ,김항중(Kim, Hangjung)
학술지명 한국의료법학회지
권호사항 Vol.23 No.1 [2015] 
발행처 한국의료법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9-67(29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5년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주)누리미디어

 
초록
한 국가에서 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 인터넷을 이용하여 의사와 환자가 서로 상호 소통하면서 진료행위 및 의료상담을 할 수 있는 사이버의료(Cybermedicine) 행위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고도로 발달한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Technology)을 이용한 의료행위인 원격의료(Telemedicine)를 포함한 넓은 의미의 사이버의료는 인터넷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의사와 환자, 의사와 의사 사이에서 앞으로도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터넷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컴퓨터 마우스를 한번 클릭하여 환자는 자신의 질병에 대해서 의사와 함께 이야기를 주고받으며 상담할 수 있다. 의사는 이러한 상담을 기초로 하여 환자에게 의학적 진단을 내릴 수 있으며 특별한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처방전을 재교부 할 수도 있게 되었다. 이처럼 사이버의료는 일반적인 전통적 면대면 의료 환경과 비교해 볼 때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진료분석 결과, 처방전 재교부 그리고 의사와의 진료 일정변경 등 의사를 비롯한 건강관리제공자들 사이의 효과적인 전달 방법을 더욱 용이하게 제공하여 줌으로써 인터넷은 의료행위의 범위를 확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 준다.
정보통신 기술과 의료행위가 결합한 형태의 의료분야를 일반적으로 전자보건의료(e-Health)라고 한다. 이와 같은 전자보건의료는 원격의료와 사이버의료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고 있다. 문제는 원격의료와 구별하여 정확하게 사이버의료가 무엇인지 정의하기는 쉽지 않으며 더 나아가 그 의료행위의 범위를 명확하게 규정하기 어렵다는 점이 지적되어 왔다. 이에 대해 원격의료가 사이버의료보다 더 넓은 의미의 개념이라고 주장하는 견해가 있으나, 사이버의료가 원격의료를 포함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보편적으로 사이버의료는 원격의료가 제공하는 의료서비스의 범위를 넘어 다양하고 광범위한 영역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비록 시간적으로 원격의료의 개념이 먼저 도입되고 운영되어 왔으나 현재 실제적으로 활용 범위 등의 측면에서 후자의 견해를 미국에서도 가장 폭 넓게 받아들이고 있다.
사이버의료는 긍정적인 순기능과 함께 여러 법적 장애에 대한 문제점도 역시 내포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온라인 의료상담의 합법성에 관한 통일된 법적·제도적 장치가 아직 구비되어 있지 않다. 현재 미국의 각 주(州)는 다양한 자신들의 주법(州法)에 따라 서로 상이한 사이버의료를 운영하고 있다. 다른 기준에 대한 이러한 범위는 각 주(州)의 규정에 따라 사이버의료에 참여하는 의사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자격증을 소지하여야 하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사이버의료의 원활한 정착을 모색하기 위하여 고찰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먼저 사이버의료의 개념을 명확하게 제시하고, 사이버의료와 유사한 전자보건의료와 원격의료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사이버의료의 활성화를 위한 법적 장치를 구비하기 위한 방안을 4개 항목으로 나누어 제안한다. 이 연구는 미국법을 중심으로 하여, 캘리포니아 주(州)를 비롯하여 미국의 3개 주법(州法)의 규정을 검토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사이버의료 개관
Ⅲ. 사이버의료에 참여하는 의사의 책임
Ⅳ. 사이버의료에 관한 상이한 주법(州法)
Ⅴ. 사이버의료의 활성화를 위한 법적 장치
Ⅵ.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주제어
사이버의료  ,의사-환자 관계  ,인터넷 처방  ,온라인 상담  ,의사의 책임  ,원격의료  ,Cybermedicine  ,Doctor-Patient Relationship  ,Internet Prescription  ,Online Consultation  ,Physician Liability  ,Telemedicin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93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환자와 가족이 경험한 가정호스피스에 대한 문화기술지 / 김형숙 2016  382
92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DNR환자 임종간호에 대한 스트레스, 태도 및 임종간호 수행 / 김미향 2016  1007
91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금지 결정 시점에서의 임상적 특성: 일개 종합병원 종양내과 사망한 암환자를 대상으로 / 강나영 외 2016  485
90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병동 말기 암환자 가족의 돌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김계숙 2016  483
8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중단의 형법이론적 근거 / 손미숙 2016  1185
88 20 죽음과 죽어감 응급실 의료진의 임종 돌봄태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 남금희 외 2016  447
87 9 보건의료 일본의 의약품 및 의료기기 부작용에 대한 피해구제제도와 시사점 / 최철호 2016  324
86 9 보건의료 환자안전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 김정오 외 2015  171
85 9 보건의료 환자안전법과 임상윤리에 관한 고찰 / 박재훈 2015  219
84 9 보건의료 환자의 안전과 환자안전법제에 관한 고찰 / 신은주 2015  229
» 9 보건의료 사이버의료(Cybermedicine)의 정착과 활성화를 위한 방향 / 남윤삼 외 2015  210
82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환자 간호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정도와 학습요구 / 민지혜 2015  470
81 19 장기 조직 이식 여성 신장이식환자의 스트레스 대처를 위한 집단 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연구 : 인지행동 모델을중심으로 / 추정인 1998  524
80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환자를 위한 교육용 CD-ROM 개발 / 임효련 2007  221
79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환자의 이식 후 고혈당 발생현황과 혈당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 예측 / 제민영 2008  911
78 19 장기 조직 이식 중국에서 신장 이식수술을 받은 환자의 임상 고찰 / 이태환 2007  905
77 4 보건의료 철학 중환자실 간호사의 심리적 외상(Trauma) 체험 / 고미숙 2016  583
76 4 보건의료 철학 심폐소생술금지와 관련된 중환자실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인식과 윤리적 태도조사 및 비교 / 성수영 2015  317
75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자기결정권의 한계에 관한 연구 -여호와 증인의 수혈거부사건을 둘러싸고-/박태신 2015  429
74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와 자율성의 한계/이인국 2016  2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