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학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845333 

연구논문 : 법에 있어서의 인간상에 관한 고찰
= Articles : A Study on a Human Perspective Base on Law / 김종덕


 
제어번호 101845333
저자명 김종덕 ( Jong Deok Kim ) 
학술지명 법학연구
권호사항 Vol.61 No.- [2016] 
발행처 한국법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39-259(21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6년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한국학술정보
 

초록
시대마다 전제하고 있는 인간상의 특징이 바로 법에 투영되어 나타나기 때문에 법의 역사는 법에 있어서의 인간상 변천의 역사라고도 할 수 있으며, 어떠한 법이 어떠한 양상을 띠느냐는 그 법이 인간에 대하여 가지는 기본적인 이해에 좌우된다. 이와 같이 인간상의 문제는 모든 법 이론의 출발점이 되는 동시에 또한 귀결점이 되는 것이므로 인간상에 대한 파악이매우 중요하다. 먼저 인간은 인격적 존재이고 그 인격은 의식적인 인격층과 무의식적인 인격층으로 구성되는 중층적ㆍ복합적 구조를 지닌다. 이 중 법에 직접 관련되는 자유의사의 인정여부에 관해서도 의사자유론과 의사결정론이 대립하고 있지만, 인간에게는 절대적 의미에서의 자유의사의 존재보다는 어느 정도 유전적 소질이나 사회환경 등에 의해 제한을 받는 자유의사를 인정하는 이른바 상대적 자유의사가 있다는 복합적 인간상을 지닌다. 두 번째로 인간은 미완성의 불완전한 존재로 태어나 다른 인간들과의 만남을 통하여 자기를 완성해 가는 사회적ㆍ역사적ㆍ문화적 존재이며, 인간을 단지 이성적으로나 생물적으로 포착하기보다는 여러 가지가 조화를 이루고 통합된 조화의 인간ㆍ종합의 인간으로서의 전인적 인간으로 파악해야 한다. 따라서 형법이 기초하는 인간상도 정신적ㆍ영적 측면만을 중시하는 관념주의적 인간상이나 인간의 신체적ㆍ심리적 측면만을 중시하는 자연주의적 인간상과는 구별되는 구체적ㆍ현실적이면서 복합적인 전인적 인간상인 것이다. 세 번째로 인간의 본성에 관하여는 성선설, 성악설 그리고 백지설이 있지만, 인간은 본질적으로 성선설적 측면과 성악설적 측면이 동시에 내포된 혼합적성격을 지니며, 다만 어느 측면이 강하느냐의 정도는 사람에 따라 다르다고 할 것이다. 네 번째로 인간은 이윤추구와 이해타산에 따라 행동하는 이기적이고 비이성적인 측면(법적 규율대상으로서의 인간상)을 지님과 동시에 공동체 내지 공익을 위하여 자신의 이익을 양보할 줄아는 공리적이고 이성적인 측면(윤리적 규율대상으로서의 인간상)을 동시에 지니고 있기에 전체적으로 통합적이고 양면적인 인간상을 지니고 있다. 다만 이기적이고 비이성적 인간상과 공리적이고 이성적 인간상은 서로 병렬적으로 위치하면서 사정에 따라 어느 측면이 강하게 발현된다. 실정법에서는 이러한 여러 인간상을 바탕으로 그 법이 추구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어느 특정 측면에 더 중점을 두고 제정된다 할 것이다.

 
초록
Every legal system base on the organic relationships with essence of human. The matter that which laws assume of which aspect is influenced the basic understanding to human of the laws. Every laws established by human premise a certain kinds of human in it. The problem of human figure in law is both starting point and conclusion of every legal theory. For example, so most theories about crimes and punishments in criminal law need a proper decision of human figure in present day which they premise. For the reasons stated above, to formulate law theory must understand true concrete and real human in modern law. On the understanding that human substance is a unity of plural existence, we may frame a theory that based on all-round and compositive human figures. Therefore human figure in law should be arranged into realistic all-round human figure. Human figure in criminal law should be also analyzed and arranged in details about act, crime, and punishment. In conclusion, human figure in law have a compositive human figures, that it is composed of the personality of duplicate structure and all-round human figures, the self-interested(egoistic) and utilitarian human figures, and the rational and irrational human figures etc. In short brief, human being have some what defective existence and compositiverealistic human figures. And with changing of the society and the times, this human figures should be also changed in future.


주제어
인간상  , 불완전한 존재  ,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인간  , 인간본성  , 전인적 인간상  , 복합적인간상  , 잠재적 범죄성  , human figure  , defective existence  , concrete and real person  , human substance  , all-round human figure  , compositive human figur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568 9 보건의료 공공보건의료 빅데이터의 민간활용 및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제에 대한 연구 : 일반인 인식조사와 법제 개선방향 모색 / 손영주 2016  232
2567 2 생명윤리 생명공학분야 특허출원 심사에 대한 생명윤리적 고찰 / 진영진 2012  232
2566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 수혜자의 가족 및 의료인 지지와 희망이 사회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김옥수 외 2016  232
2565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를 위한 간이식 전 교육 및 상담 / 하희선 2015  232
2564 1 윤리학 첨단치료 의료제품(ATMP)에 대한 유럽연합의 규제법 고찰 / 박수헌 2014  232
2563 2 생명윤리 윤리 심포지엄_각종 의무기록 작성에 있어서 알아야 할 의료윤리 : 각종 증명서 발급의 윤리적 문제 / 권복규 2013  232
2562 15 유전학 유전자편집 작물의 개발 현황 및 농업생명공학기술의 국가 경쟁력 강화/ 이신우 2018  231
2561 12 낙태 치료적 낙태와 태아의 도덕적 지위에 관한 고찰 / 장동익 2019  231
2560 12 낙태 낙태죄 존치론에 대한 반론 / 이석배 2018  231
2559 20 죽음과 죽어감 장애인 가족 돌봄부담의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 연구 / 이민경 2018  231
» 1 윤리학 법에 있어서의 인간상에 관한 고찰 / 김종덕 2016  231
2557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과 호스피스 정책; 생활행정학의 관점/조무성 2015  231
255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 제정과정과 문제점 검토 / 이한주 2019  230
2555 9 보건의료 국제 유전독성시험 가이드라인 최신 동향 / 김주환 외 2016  230
2554 13 인구 저출산·고령화 대응 정책의 방향: 인구정책적 관점 / 이철희 2018  230
2553 9 보건의료 의료서비스 소비선택에서 개인 의사결정의 인지적 과정 탐구 : BRCA 유전자 돌연변이 검사의 사례 / 주정민 2018  230
2552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죽음불안과 죽음에 대한 태도 / 김명희 2008  230
2551 14 재생산 기술 국제대리모계약에 관한 연구 / 이병화 2016  230
2550 9 보건의료 의료소비자의 병원선택 요인에 관한 연구: 의료광고 시사점을 중심으로 / 유승엽, 김은희 2006  230
2549 2 생명윤리 첨단융복합의료제품과 관련된 윤리적 쟁점과 임상시험 규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이미지 2016  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