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79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법학회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845323 

연구논문 : 주민등록번호 변경규정 마련을 위한 입법적 과제 -헌법재판소 2015. 12. 23. 2013헌바68 중심으로-
= Articles : Legislative task for the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change -The Constitutional Court 2015. 12. 23. 2013헌바68- / 김종세


 
제어번호 101845323
저자명 김종세 ( Jong Se Kim )
학술지명 법학연구
권호사항 Vol.61 No.- [2016] 
발행처 한국법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22(22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6년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한국학술정보

 
초록
정부는 1968년부터 주민등록번호를 발급하기 시작했다. 정부는 인구 변화를 집계하기 위해 모든 국민들에게 주민등록번호를 발급해 왔으며, 이 주민등록번호에 대한 체계는 규정으로 정해져 있다. 현행법에 있어서 국내 각종 웹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의무적으로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해야 한다. 그러나 국민들을 가장 걱정스럽게 한 것은 자신들의 주민등록번호가 유출되었다는 점이다. 최근 발생한 해킹 사태에 대해, 정부는 현재 주민등록번호 제도를 폐지하고 국민들에게 새로운 13자리의 새로운 주민등록번호를 부여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온라인에서 사생활을 더 보호하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정부는 주민등록번호를 사용하는 현 시스템을 새 온라인 신원확인 시스템으로 바꾸는 방안을 도입할 것이라고 밝히기도 하였다. 법이란 사회의 요구에 의하여 제정되고 시행된다. 고도의 정보사회로 변화하고 있는 헌법현실을 무시하고 과거에 집착하는 것은 오히려 기본권보장에 역효과가 발생할 수도 있다. 개인정보의 유출과 오남용 등으로 인한 피해가 갈수록 커지고 있는 것도 현실에서 새로운 주민등록증 도입이나 주민등록번호 변경에 있어서 사전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차단하는 조치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더욱이 주민등록번호의 사용에 있어서 본래의 목적에 따라 행정목적 등 공적 부문에서 사용되도록 관련 법과 제도를 정비하는 것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논문에서 다루는 헌법재판소의 심판대상은 주민등록번호 변경에 관한 규정을 두지않고 있는 현행 주민등록법 제7조가 개인정보자기결정권 등 기본권을 침해하여 위헌인지 여부이다. 이에 대해 헌법재판소는 현행 주민등록법 제7조가 헌법에 합치되지 않으며, 해당 조항은 2017년 12월 31일을 시한으로 법이 개정될 때까지만 적용된다고 결정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헌법재판소 판례를 중심으로 한 주민등록번호 변경규정을 마련하기 위한 입법적 과제를 살펴보고 있다.


주제어
주민등록번호  , 주민등록증  , 주민등록번호제도  , 입법적 과제  , 개인정보자기결정권  ,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 Certificate of resident registration  , Community Social Security  , Legislative task  , Personal information self-determination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19 15 유전학 한국의 인간 유전체 연구에 있어 개인 프라이버시권과 국제데이터공유원칙 적용의 문제점 / 김한나 외 2015  306
218 18 인체실험 줄기세포 치료제의 해외시술에 대한 형사적 책임성부 검토 / 류동훈 2015  260
217 10 성/젠더 의약품 접근권과 특허권의 충돌 문제에서 나타나는 건강권의 비용과 법적 고찰 / 정민수 2015  287
216 9 보건의료 사이버의료(Cybermedicine)의 정착과 활성화를 위한 방향 / 남윤삼 외 2015  210
215 9 보건의료 우리나라 원격진료의 시범사업과 의료법의 문제점 / 김현주 외 2015  432
214 1 윤리학 노인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 김충묵 외 2016  2537
213 1 윤리학 연구논문 : 노인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 김충묵 외 2016  573
212 1 윤리학 법에 있어서의 인간상에 관한 고찰 / 김종덕 2016  231
211 1 윤리학 일본의 임차인 주거안정 확보를 위한 정책적 선택 -일본의 임차인 주거안정을 확보하기 위한 집세 채무보증업무의 적정화 및 월세 등의 추심행위 규제 등에 관한법률(안) 제정과 관련하여- / 김상진 2016  610
210 1 윤리학 연구논문 : 약관의 설명의무의 대상 및 면제범위에 관한 판례의 입장에 대한 소고 / 김원규 2016  236
209 1 윤리학 기업범죄에 있어 대향적 관여자의 형사책임 / 홍태석 2016  222
208 1 윤리학 한,중,일 3국의 학교폭력에 대한 비교 / 이현승 2016  134
207 1 윤리학 형사사법정보의 이용,제공 실태 및 입법적 개선방안 / 김기범 2016  153
206 1 윤리학 유비쿼터스 컴퓨팅환경하에서 디지털 포렌식 수사절차에 관한 연구 / 권양섭 2016  251
205 1 윤리학 공정거래법상 행정지도에 따른 부당한 공동행위에 대한 법적 검토 / 유성희 외 2016  293
204 1 윤리학 일조권에 관한 법적 검토 / 이재삼 외 2016  519
203 1 윤리학 일본 개정 행정불복심사법에 관한 고찰 -공정성과 준사법절차를 중심으로- / 박웅광 2016  324
» 1 윤리학 연구논문 : 주민등록번호 변경규정 마련을 위한 입법적 과제 -헌법재판소 2015. 12. 23. 2013헌바68 중심으로- / 김종세 2016  449
201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간이식 공여자의 수술 전 이식간 용적과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영상학적 검사의 유용성 / 주만기 2007  585
200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부분 간이식수혜자와 뇌사자 간이식수혜자 간의 삶의 질 비교 / 김금희 2003  6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