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법학회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845323 

연구논문 : 주민등록번호 변경규정 마련을 위한 입법적 과제 -헌법재판소 2015. 12. 23. 2013헌바68 중심으로-
= Articles : Legislative task for the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change -The Constitutional Court 2015. 12. 23. 2013헌바68- / 김종세


 
제어번호 101845323
저자명 김종세 ( Jong Se Kim )
학술지명 법학연구
권호사항 Vol.61 No.- [2016] 
발행처 한국법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22(22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6년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한국학술정보

 
초록
정부는 1968년부터 주민등록번호를 발급하기 시작했다. 정부는 인구 변화를 집계하기 위해 모든 국민들에게 주민등록번호를 발급해 왔으며, 이 주민등록번호에 대한 체계는 규정으로 정해져 있다. 현행법에 있어서 국내 각종 웹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의무적으로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해야 한다. 그러나 국민들을 가장 걱정스럽게 한 것은 자신들의 주민등록번호가 유출되었다는 점이다. 최근 발생한 해킹 사태에 대해, 정부는 현재 주민등록번호 제도를 폐지하고 국민들에게 새로운 13자리의 새로운 주민등록번호를 부여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온라인에서 사생활을 더 보호하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정부는 주민등록번호를 사용하는 현 시스템을 새 온라인 신원확인 시스템으로 바꾸는 방안을 도입할 것이라고 밝히기도 하였다. 법이란 사회의 요구에 의하여 제정되고 시행된다. 고도의 정보사회로 변화하고 있는 헌법현실을 무시하고 과거에 집착하는 것은 오히려 기본권보장에 역효과가 발생할 수도 있다. 개인정보의 유출과 오남용 등으로 인한 피해가 갈수록 커지고 있는 것도 현실에서 새로운 주민등록증 도입이나 주민등록번호 변경에 있어서 사전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차단하는 조치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더욱이 주민등록번호의 사용에 있어서 본래의 목적에 따라 행정목적 등 공적 부문에서 사용되도록 관련 법과 제도를 정비하는 것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논문에서 다루는 헌법재판소의 심판대상은 주민등록번호 변경에 관한 규정을 두지않고 있는 현행 주민등록법 제7조가 개인정보자기결정권 등 기본권을 침해하여 위헌인지 여부이다. 이에 대해 헌법재판소는 현행 주민등록법 제7조가 헌법에 합치되지 않으며, 해당 조항은 2017년 12월 31일을 시한으로 법이 개정될 때까지만 적용된다고 결정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헌법재판소 판례를 중심으로 한 주민등록번호 변경규정을 마련하기 위한 입법적 과제를 살펴보고 있다.


주제어
주민등록번호  , 주민등록증  , 주민등록번호제도  , 입법적 과제  , 개인정보자기결정권  ,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 Certificate of resident registration  , Community Social Security  , Legislative task  , Personal information self-determination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68 20 죽음과 죽어감 대만 『환자 자주 권리법』에 대한 연구 / 엄주희 2019  264
67 20 죽음과 죽어감 타이완 「안녕완화의료조례」 법제화의 시사점 / 양정연 2014  283
66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의 중단: 정당화가능성과 방향 / 이주희 2012  288
6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 법제화의 전제조건에 대한 검토 -세브란스병원사건에 대한 법원 판결의 의미와 시사점- / 이상용 2012  306
64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에 대한 연구 / 박종익 2012  319
6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중단의 허용범위 제한에 관한 헌법적 검토 / 김현귀 2015  320
62 15 유전학 유전자진단정보와 보험법적 문제 / 박은경 2013  327
61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의 치료중단과 환자의 자기결정권 / 김혁돈 2006  329
60 20 죽음과 죽어감 연구논문 : 연명치료중단의 허용성과 법제화에 대한 고찰 / 김성규 2014  334
5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과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고찰 / 정화성 2017  339
58 1 윤리학 의약품 품목허가제도의 자기결정권, 보건권 침해 여부 : 약사법 제31조 제8항 등 위헌확인을 중심으로 / 차승현 2013  344
57 12 낙태 낙태논쟁 속 법담론의 탈관계성 비판 : 낙태죄 헌법소원을 중심으로 / 이선순 2014  345
56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의 중단 / 점승헌 2013  345
55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의 치료의무와 환자의 죽을 권리에 대한 형법적 연구 :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입법론의 방향 / 정효성 2010  348
54 19 장기 조직 이식 인체유래물 기증자의 동의 및 동의철회의 법적 문제 / 이한주 2016  348
53 15 유전학 인체유래물질의 재산권의 허용범위와 그 이용을 위한 관련법규의 정비방안 / 이정현, 박인걸 2010  357
52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의 도덕적 근거와 시행방안에 관한 연구 / 문노을 2014  361
51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법제화에 관한 최근동향 / 주호노 2013  364
50 18 인체실험 말기 암 환자에 대한 임상시험과 피험자의 자기결정권의 본질 / 송영민 2014  370
49 12 낙태 13세 이상 미성년자의 성적 자기결정권 / 이수진 2015  3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