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03
발행년 : 2001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연세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7932323 

간이식수혜자와 배우자에 대한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liver transplant recipients and their spouses / 이혜진


저자 이혜진
형태사항 vii, 70p. : 도표 ; 26 cm.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2001. 2
KDC 512.8 4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01
소장기관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학술정보원,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


 
초록
본 연구는 간이식 수혜자와 배우자가 겪는 경험을 사례별로 관찰하고 분석하여 기술한 사례연구 방법을 통하여 간이식 수혜자와 배우자가 경험하는 내용을 토대로 이들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경제적 변화 뿐 아니라 영향을 미치는 사건을 파악하였다. 이는 현재 증가하고 있는 간이식 환자를 의료인이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며 간이식 환자간호를 위한 간호사의 역할확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간호의 이론정립에도 토대를 마련할 뿐 아니라 배우자의 경험을 알아봄으로써 가족 간호의 방향도 모색하고자 본 연구가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2000년 10월 1일부터 10월 30일 사이에 서울시내 S종합병원에 입원한 간이식 수혜자 7명과 그의 배우자 7명이었고, 자료수집 방법은 준구조화된 질문을 이용해 3회간의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대상자의 동의하에 녹음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Miles&Huberman(1984)가 제시한 사례연구 분석방법에 의해 분석되었다.
간이식 수혜자와 배우자의 경험을 살펴 본 결과 기간에 따라 7단계로 경험이 나뉘는 양상을 볼 수 있었다. 즉, 질병진단 후 질병경험의 기간인 1단계, 질병이 악화되어 몇 개월뿐이 살지 못한다는 말을 들은 후 죽음을 기다리는 기간인 2단계, 이식을 권유받고 이식을 하기로 결정하는 기간인 3단계, 이식을 결정 후 공여자를 찾는 기간인 4단계, 공여자를 찾은 후 공여자의 이식절차를 밟는 기간인 5단계, 이식수술을 위해 수술실로 가는 기간인 6단계, 이식수술을 마치고 병실로 올라온 후 퇴원 전까지의 기간인 7단계이며 이때 나타난 수혜자와 배우자의 경험들은 다음과 같다.
1. 수혜자의 사례를 살펴보면, 1단계에는 질병으로 인한 신체적 중상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진단에 대한 환자의 개개인의 반응인 후회, 절망감, 놀라움, 미안함 등이 나타났고, 2단계에는 죽음에 당면한 심정이 주로 표현되어 부정, 절망감, 포기감, 분노, 걱정들이 나타났으며, 3단계에는 이식을 권유받았을때의 기대감과 수혜갈등이 나타났고, 4단계에는 장기를 구하는 과정에서 오는 걱정이 주를 이루었다. 5단계에는 공여자에 대한 심리적 반응이 주를 이루었고 6단계에서는 수술을 앞두고 불안과 가족과의 이별과 관련된 걱정이 보여졌으며 7단계에서는 질병치유 기간동안 도움을 준 사람들에 대한 반응과 수술에 대한 만족감, 안도감이 주로 나타났다.
2. 배우자의 사례를 살펴보면 1단계에서는 병간호로 인해 나타나는 신체적, 경제적, 사회적 어려움이 나타났고 2단계에서는 수혜자가 경험하는 것과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3단계에서는 이식수술에 대한 기대가 주로 보여졌다. 4단계에서는 수혜자의 경험과 비슷하여 공여자를 못찾아서 느끼는 절망감을 보였고 5단계에서는 공여자에 대한 걱정과 부담이 주를 이루었다. 6단계에서는 수술을 받는 배우자와 공여자에 대한 걱정과 불안이 나타났으며 7단계에서는 수술을 무사히 마치고서 나타나는 안도감과 공여자에 대한 고마움, 경제적 어려움을 주로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환자는 신체적으로 견디기 힘들 정도로 질병이 악화되었을 때, 죽음에 임박했을 때, 공여자가 없을 때, 수술실에서 수술을 기다릴 때, 실직 등의 경제적 어려움을 경험할 때 많은 위기감과 절망감을 경험하였고, 이식에 대해 처음 권유받았을 때, 가족구성원이 공여를 결정할 때, 배우자가 지지해줄 때 만족감과 희망을 경험하였다. 그리고, 배우자는 환자가 경험하는 것을 함께 경험하는 양상을 보였는데 환자보다는 많은 단계에서 생계와 양육에 대한 부담감을 표현하였고, 성관계 장애와 지지체계에 의지하는 양상도 보였다. 환자가 절망감이나 두려움을 나타내었을 때 함께 절망감과 두려움을 느끼면서 애정과 함께 희망을 주려는 의지를 나타내었기 때문에 1차 간호제공자로써 배우자와 가족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부각시키며 이식환자에게 가족간호의 중요성을 보여주었다.
즉, 간이식을 경험하는 수혜자와 배우자의 정서적, 경제적, 사회적, 영적 측면에 대한 충분한 배려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이 결과에 입각한 중재방안의 수립 및 의료인의 자세확립이 요구되고 있으며, 수혜자가 이식수술 후에 남은 여생을 보람있고 건강하게 영위할 수 있도록 계속적인 관심과 격려, 지지가 요구된다.

 

목차
I. 서론
II. 문헌 고찰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논의
VI. 결론 및 제언


주제어
간이식수혜자, 간이식, 배우자, liver transplant recipients, spous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83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 수혜자의 가족 및 의료인 지지와 희망이 사회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김옥수 외 2016  232
82 19 장기 조직 이식 응급 간이식의 준비 / 박지연 2016  418
81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신장 공여자의 공여 후 적응 경험 / 강다해솜 외 2016  18236
80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술 환자에서 혈당 수치가 임상 경과에 미치는 영향 / 유석하 2014  520
79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간이식 공여자의 수술 전 이식간 용적과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영상학적 검사의 유용성 / 주만기 2007  585
78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환자 간호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정도와 학습요구 / 민지혜 2015  470
»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수혜자와 배우자에 대한 사례연구 / 이혜진 2001  287
76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자가간호이행, 사회적 지지, 생리학적 지표 / 김현경 2013  372
75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경험 / 김옥현 2001  343
74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의 삶의 질과 치료지시 이행 / 두윤숙 2005  306
73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이식 스트레스와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함아름 2012  355
72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자기관리 구조모형 / 전미경 2016  295
71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 가족의 삶의 질 영향요인 / 김소영 2016  243
70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사회적 지지, 치료지시 이행, 건강관련 삶의 질 / 송정미 2015  237
69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자가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정현정 2015  248
68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부분 간이식수혜자와 뇌사자 간이식수혜자 간의 삶의 질 비교 / 김금희 2003  652
67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부분 간이식 공여자의 술전 담문계 해부학적 변이 진단을 위한 적정 자기공명영상 기법 / 임준석 2007  333
66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에 있어서 간동맥 재건을 위한 특수 미세혈관수술교육의 효과 : 미세수술교육부터 임상적용까지 / 허위광 2010  95
65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후 발생하는 감염 합병증: 장기 추적 성적 / 구태연 2008  1287
64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 이식 후의 원발성 피부암 발생률 분석 / 박경훈 2010  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