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9
발행년 : 2013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 임상간호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283638 

간이식 수혜자의 자가간호이행, 사회적 지지, 생리학적 지표

= Relationships among self-care, social support, and biomarkers in liver transplant recipients / 김현경


저자 김현경
형태사항 vi, 92장 : 삽화 ; 26 cm
일반주기 지도교수: 최모나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 임상간호전공 2013. 8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3
소장기관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


 
초록
간이식 수혜자는 평생 복용해야하는 면역억제제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자가간호이행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간이식 수혜자를 대상으로 자가간호이행과 사회적 지지, 생리학적 지표를 파악하고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2013년 4월 12일부터 5월 29일까지 서울 소재 Y대학 병원에서 간이식 수술을 받고 외래를 내원한 수혜자 118명으로 평균나이는 56.2세, 남자가 76.3%였다. 자가간호이행 측정도구 40문항, 사회적 지지 측정도구24문항으로 설문조사하였고, 생리학적 지표는 전자의무기록에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 사후검정, Pearson's correlat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간이식 수혜자의 자가간호 이행점수는 총 172.11점(±14.76)으로 지각된 경제상태가 높을수록(F=3.960, p=.022), 수술 후 경과 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가 3년 이상 5년 미만인 경우보다(F=3.096, p=.018), 이식 수술 전 동반 질환이 없었던 경우가 있었던 경우보다(t=2.207, p=.029) 자가간호 이행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간이식 수혜자의 사회적 지지점수는 총 109.26점(±11.19)으로 주 돌봄 제공자가 없는 경우보다 배우자인 경우가(F=4.206, p=.017), 공여자가 자녀인 경우와 뇌사자인 경우가 형제자매, 친척, 친구, 지인인 경우 보다(F=5.379, p=.002) 사회적 지지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간이식 수혜자의 생리적 지표와 자가간호 이행점수, 사회적 지지 점수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간이식 수혜자의 자가간호이행, 사회적 지지, 생리학적 지표의 관련성을 살펴 본 결과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자가간호이행 점수가 높았다(r=.361, p=<.001). 본 연구결과에서 간이식 수혜자들의 자가간호이행은 사회적 지지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지각된 경제상태와 수술 후 경과 기간에 따라 자가간호 이행정도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자가간호이행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수술 후 경과 기간에 따른 자가간호 이행정도와 사회적 지지를 파악하고 각 간이식 수혜자에게 영향력이 있는 가족을 자가간호이행에 참여하도록 하는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간호중재의 개발이 필요하겠다. 수술 후 경과 기간과 경제적 여건이 장애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지속적인 자가간호이행의 필요성에 대한 교육, 동기부여에 초점을 두어야 하며 전문간호사는 간이식 수혜자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의료팀과 유기적으로 소통하면서 다학제적 중재를 해야 하며 이 과정에 가족을 포함시켜 최대효과를 볼 수 있도록 상담, 교육, 지지의 역할을 해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29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의 수술 후 영양상태가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 하지수, 최스미 2013  1249
28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환자의 이식 후 고혈당 발생현황과 혈당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 예측 / 제민영 2008  912
27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부분 간이식후 1개월내 총빌리루빈 재상승 환자에서 Biliary Canalicular Transporter 유전자 mRNA 발현 / 최종영, 조세현, 윤승규, 양진모, 한준열, 안병민, 이영석, 이창돈, 차상복, 정규원, 선희식, 김소연, 김동구 2003  756
26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부분 간이식수혜자와 뇌사자 간이식수혜자 간의 삶의 질 비교 / 김금희 2003  652
25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후 발생되는 문제점과 대책 : 간이식후 간암의 재발에 대한 대책 / 김동구 2003  605
24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간이식 공여자의 수술 전 이식간 용적과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영상학적 검사의 유용성 / 주만기 2007  585
23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술 환자에서 혈당 수치가 임상 경과에 미치는 영향 / 유석하 2014  521
22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여성의 임신과 출산 경험 / 하희선, 임경춘, 홍정자, 김인옥, 전미경, 정재심, 이순행, 손행미, 이명선, 이승규 2013  490
21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환자 간호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정도와 학습요구 / 민지혜 2015  472
20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간이식 수혜자의 스트레스와 삶의 질과의 상관관계 연구 /윤혜진,김금순 2013  441
19 19 장기 조직 이식 두개의 이식편을 이용한 성인 생체 부분 간이식에서 발생한 담도 합병증에 대한 치료 / 정재필 2004  427
18 19 장기 조직 이식 응급 간이식의 준비 / 박지연 2016  418
»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자가간호이행, 사회적 지지, 생리학적 지표 / 김현경 2013  373
16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이식 스트레스와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함아름 2012  355
15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경험 / 김옥현 2001  343
14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부분 간이식 공여자의 술전 담문계 해부학적 변이 진단을 위한 적정 자기공명영상 기법 / 임준석 2007  333
13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간이식 수술에서 이식간 재관류 후 급성 저체온기 동안의 심실부정맥의 심전도상 징후 변화 / 박수경 2015  329
12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삶의 질 예측모형 / 김은만 2004  318
11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의 삶의 질과 치료지시 이행 / 두윤숙 2005  306
10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자기관리 구조모형 / 전미경 2016  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