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2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숭실대학교 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635056 

간이식 수혜자의 이식 스트레스와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ransplant Stress and Social Adjustment of Liver Transplant Recipients: With a Focu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함아름


저자 함아름
형태사항 xii, 101 p. ; 26cm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숭실대학교 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2012. 2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2
소장기관 숭실대학교 도서관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간이식 수혜자의 이식 스트레스가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사회적 지지가 이식 스트레스와 사회적응의 관계에서 조절 효과를 가지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총 132명으로 한국간이식인협회와 간이식인 온라인 까페에서 표집하였으며, 간이식 후 3개월이 지나고 만 19세 이상의 성인 간이식 수혜자이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살펴보면 간이식 수혜자들의 사회적응 수준은 대체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식 스트레스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식 스트레스와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사회적 지지는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첫째, 간이식 수혜자의 사회적응 수준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사회적 역할을 잘 수행하고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하위영역별로는 ‘확대가족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이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간이식 수혜자가 가장 많이 경험하는 이식 스트레스는 ‘앞으로의 건강, 질병경과 등이 불확실함’이었고, 그다음으로 ‘치료로 인한 경제적인 부담’이 나왔다. 또한 연구 대상자 대부분이 가장의 역할과 책임을 지고 있어 가족에 대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간이식 수혜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 수준은 보통이상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의 지지를 가장 크게 인지하고 있었다.
넷째, 간이식 수혜자의 이식 스트레스가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이식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이식 수혜자들은 사회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이식 스트레스와 사회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즉, 간이식 수혜자들이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게 되면 이식 스트레스가 높다하더라도 이를 잘 극복하고 사회적응을 잘 해나갈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실천과 정책적인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간이식 수혜자와 가족에게 이식 후 사회적응에 관한 전문적인 심리사회적 상담과 교육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와 더불어 간이식 수혜자의 이식 스트레스 감소를 위해 사회복지사는 전문적이고 다양한 지지체계의 확보를 통해 수혜자들이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한다. 수혜자들은 간이식 후 평생동안 치료를 받아야 하므로 신체적 문제에 대해 의료진으로부터 정확한 정보제공을 받을 수 있도록 의료진과 팀웍을 이룬 개입이 필요하다. 연구결과 간이식 수혜자들 대부분이 가정을 책임지고 있는 남성이 많아 가족에 대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었다. 그러나 간이식 수혜자들이 인지하는 사회적 지지 중 가족이 가장 큰 지지원인 것으로 나타나 가족기능 강화를 위한 개입을 통해 수혜자들이 지속적으로 가족의 지지를 받을 수 있게 도와야 한다. 또한 간이식 후 상담 자원봉사를 하고 있는 수혜자들을 잘 교육하고 배치하여 간이식 전, 후에 있는 대상자들의 어려움을 상담하고 지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수혜자와 가족들이 함께 자조모임에 동참하고 자조모임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필요한 지원을 적극적으로 해야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간이식 수혜자들에 대해 외부 후원자원의 연결을 통한 경제적 지원과 이식 수혜자가 5급 장애인으로서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복지정책과 연결시켜 주어야 한다. 또한 사회복지사가 사회사업의 실천을 전문적이고 적극으로 할 수 있도록 장기이식담당 사회복지사의 인력확보가 요구되며, 사회복지사의 활동이 정당한 보험수가로서 인정받을 수 있도록 급여수가를 확대하는 제도적인 지원이 제공되어야 한다. 그리고 간이식 수혜자에 대한 고용과 관련된 차별과 사회적 편견, 엄격한 보험급여 기준 등에 대한 복지 정책과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표본의 크기와 모집의 한계가 있어서 연구결과를 간이식 수혜자 전체로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즉, 간이식인협회나 온라인 까페에서 활발히 사회적응을 하고 있는 건강한 간이식 수혜자가 응답을 하여 대체로 긍정적인 응답이 나타났을 가능성이 높으며 50대의 남성이 많아 이후에는 충분하고 다양한 사례를 확보하여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간이식 전, 후 사회적응에 대한 비교연구와 간이식 수혜자들의 실직이나 구직에 대해 도움을 줄 수 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목차
Ι. 서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주제어
간이식, 조절효과, 사회적 지지, 이식 스트레스, 사회적응, 사회복지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3388 18 인체실험 인간 배아줄기세포 유래의 혈액모세포 및 기능성 혈관세포 분화 방법과 특성 연구/ 길창현 2016  358
3387 2 생명윤리 사형제도의 위헌성 / 허완중 2018  357
3386 15 유전학 인체유래물질의 재산권의 허용범위와 그 이용을 위한 관련법규의 정비방안 / 이정현, 박인걸 2010  357
3385 18 인체실험 미국, 유럽, 일본과 우리나라의 소아 임상시험 제도 및 현황 비교 분석 / 박선영 2017  356
3384 9 보건의료 한국의 예술치료와 호스피스 완화의료 / 김창곤 2015  356
3383 20 죽음과 죽어감 실존주의 철학에서의 죽음 이해와 죽음교육 / 신교남 2018  355
3382 14 재생산 기술 비배우자간인공수태술에 대한 의학적 · 법적 문제점 / 김향미 2007  355
»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이식 스트레스와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함아름 2012  355
3380 5 과학 기술 사회 지능형 로봇 활용, 어디까지 왔나? / 권웅기, 김훈태 2017  354
3379 1 윤리학 한스 요나스의 생태윤리에 대한 연구 : 『책임의 원칙』을 중심으로 / 윤동진 2003  354
3378 15 유전학 법과학적 활용을 위한 식물 유전자검사 시험법 연구 / 한시내 외 2016  354
3377 19 장기 조직 이식 소아 간이식 / 최하주 1997  354
3376 1 윤리학 인공지능의 도덕적 지위와 관계론적 접근 / 신상규 2019  353
3375 4 보건의료 철학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인간중심돌봄의 실천과 환자안전역량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허아영 2019  353
3374 20 죽음과 죽어감 생애말기 환자의 커뮤니티 케어에 대한 연구 /김수정 2018  353
3373 14 재생산 기술 체외 수정 시술을 시행하는 여성에서 항인지질 항체가 체외 수정 시술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 /박은주 2001  353
3372 18 인체실험 미국 FDA의 의약품 위해평가 완화전략 구성 요소 분석 / 양관재 2012  353
3371 15 유전학 위험소통을 통한 신뢰가 위험인식에 미치는 효과 : 유전자조작기술, 나노기술, 체세포복제기술에 대한 전문가그룹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김찬원, 송해룡, 김원제 2015  353
3370 2 생명윤리 첨단생명의료분야에 있어서 인폼드 컨센트 법리의 전개와 윤리위원회의 역할 / 이정현 2008  353
3369 1 윤리학 인공지능(AI) 치명적자율무기(LAWs)의 법적·윤리적 쟁점에 대한 기초연구 / 한희원 2018  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