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03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서울대학교 대학원 : 간호대학 간호학과 (박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066556 

간이식 수혜자의 자기관리 구조모형 /  전미경



기타서명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Self-Management for Liver Transplant Recipients
저자 전미경
형태사항 129p.: 삽화 ; 26 cm
일반주기 참고문헌 수록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간호대학 간호학과 2016. 2
DDC 610.73 22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6
소장기관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초록
간이식은 간경변증, 전격성 간부전 등의 간질환이 진행되어 더 이상 내·외과적 치료법에 반응하지 않아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 할 수 없을 때 시행되는 수술로, 우리나라는 만성 B형 간염 유병률과 간암의 발생률이 높아 세계에서 4번째로 많은 간이식 수술이 시행되고 있다. 간이식 수혜자는 간이식 수술 후에도 평생 동안 원인질환의 재발 방지 치료 및 면역억제제 투약 등으로 환자 역할을 지속하게 되어, 변화된 삶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자기관리를 꾸준히 해야 한다. 본 연구는 Deci와 Ryan의 자기결정성이론을 기반으로 간이식 수혜자의 자기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포함된 가설적 모형을 구축한 후 변수들 간의 경로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간이식 수혜자의 자기관리 관련 변수들은 근간이론과 문헌고찰을 근거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외생변수는 보건의료 전문가의 자율성 지지, 이식관련 특성, 질병인식이며, 내생변수는 자율성, 유능성, 가족 관계성, 우울, 자기관리이다. 보건의료 전문가의 자율성 지지, 이식관련 특성, 질병인식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거나 자율성, 유능성, 가족 관계성, 우울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자기관리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고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2015년 8월 16일부터 9월 1일까지 서울 소재 일개 종합병원에서 간이식 후 외래 추적관찰 중인 간이식 수혜자 275명이었다. 자료 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SPSS 23.0과 AMOS 2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를 살펴보면, 기초부합지수(goodness of fit index, GFI)는 .961, 수정부합지수(adjusted goodness of fit index, AGFI)는 .913, 비교적합지수(comparative fit index, CFI)는 .964, 표준부합지수(Normed fit index, NFI)는 .926, 터커-루이스지수(Tucker- Lewis index, TLI)는 .931, 근사오차평균제곱의 이중근(root mean squared error of approximation, RMSEA)은 .055, 간명부합지수(parsimonious goodness of fit index, PGFI)는 .433, 간명표준부합지수(parsimonious normed fit index, PNFI)는 .487로 권장수준을 만족하여 가설적 모형이 자료에 잘 부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적 모형에서 설정한 19개 경로에 대한 가설 중 12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지지되었다. 이 모형은 간이식 수혜자의 자기관리를 59.4% 설명하였으며, 모형에서 최종 내생변수인 자기관리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보건의료 전문가의 자율성 지지, 유능성, 가족 관계성, 우울이었다. 보건의료전문가의 자율성 지지와 질병인식은 유능성, 가족 관계성, 우울을 매개로 자기관리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나, 이식관련 특성은 자기관리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의료 전문가의 자율성 지지, 이식관련 특성, 질병인식은 간이식 수혜자의 자율성, 유능성, 가족 관계성, 우울을 27.1%, 17.5%, 21.0%, 21.1% 설명하였다. 이 연구를 기반으로 간이식 수혜자의 자기관리를 증진시키기 위해서 간이식 수혜자의 유능성을 증대시키고 현재의 건강상태를 긍정적으로 인식을 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가족 관계성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가족기능 강화를 위한 가족 상담이나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자기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우울을 조기발견 할 수 있도록 하고, 문제 발견시 적극적 중재를 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자기관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보건의료 전문가들은 대상자와의 신뢰관계 형성과 환자 중심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의료진 교육이나 의사소통 향상 프로그램 중재 등의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목차
Ⅰ. 서론
Ⅱ. 문헌 고찰
Ⅲ. 연구의 이론적 기틀 및 가설
Ⅳ. 연구 방법
Ⅴ. 연구 결과
Ⅵ. 논의
Ⅶ. 결론 및 제언


주제어
간이식, 자기관리, 자기결정성이론, 구조모형, 간이식 수혜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83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 수혜자의 가족 및 의료인 지지와 희망이 사회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김옥수 외 2016  232
82 19 장기 조직 이식 응급 간이식의 준비 / 박지연 2016  418
81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신장 공여자의 공여 후 적응 경험 / 강다해솜 외 2016  18236
80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술 환자에서 혈당 수치가 임상 경과에 미치는 영향 / 유석하 2014  520
79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간이식 공여자의 수술 전 이식간 용적과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영상학적 검사의 유용성 / 주만기 2007  585
78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환자 간호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정도와 학습요구 / 민지혜 2015  470
77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수혜자와 배우자에 대한 사례연구 / 이혜진 2001  287
76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자가간호이행, 사회적 지지, 생리학적 지표 / 김현경 2013  372
75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경험 / 김옥현 2001  343
74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의 삶의 질과 치료지시 이행 / 두윤숙 2005  306
73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이식 스트레스와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함아름 2012  355
»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자기관리 구조모형 / 전미경 2016  295
71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 가족의 삶의 질 영향요인 / 김소영 2016  243
70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사회적 지지, 치료지시 이행, 건강관련 삶의 질 / 송정미 2015  237
69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자가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정현정 2015  248
68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부분 간이식수혜자와 뇌사자 간이식수혜자 간의 삶의 질 비교 / 김금희 2003  652
67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부분 간이식 공여자의 술전 담문계 해부학적 변이 진단을 위한 적정 자기공명영상 기법 / 임준석 2007  333
66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에 있어서 간동맥 재건을 위한 특수 미세혈관수술교육의 효과 : 미세수술교육부터 임상적용까지 / 허위광 2010  95
65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후 발생하는 감염 합병증: 장기 추적 성적 / 구태연 2008  1287
64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 이식 후의 원발성 피부암 발생률 분석 / 박경훈 2010  418